• 제목/요약/키워드: 글리세롤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3초

개선된 thin-layer chromatography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중의 글리세롤 정량분석 (Improvement in Thin-layer Chromatography in a Quantitative Assay of Glycerol in Biodiesel)

  • 이상은;최우석;강도형;이현용;정경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37-541
    • /
    • 2013
  • Biodiesel 중의 glycerol을 분석하기 위하여 TLC를 이용하여 몇 가지 보고된 이동상에서 glycerol을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 acetonitrile : distilled water (85:15, v/v)를 이동상으로 하여 TLC를 수행하였을 경우에 짧은 시간에 명확한 glycerol band를 확인할 수 있었다. X축의 glycerol 농도를 log scale로 하고, TLC의 glycerol 이미지 면적을 Y축으로 하여 3.0-0.0625 (%, w/v)의 glycerol 농도범위에서 표준곡선을 작성할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0.2 (%, w/v)의 glycerol을 포함하는 biodiesel 시료에서 유의성 있게 glycerol을 정량분석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hemical assay, enzymatic assay를 이용한 glycerol 분석과 비교하여 매우 유사한 결과이며, TLC를 이용한 biodiesel 중의 glycerol 정량법은 특별한 분석기기를 사용할지 않아도 되는 편리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생각되어진다.

Algae유로부터 디글리세롤 함유 기능성 유지의 효소적 합성 중 구성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Compositional Changes of Functional Oil from Algae Oil during the Lipase-Catalyzed Production)

  • 조은진;조경현;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59-1063
    • /
    • 2005
  • 조류(microalgae, from Schizochytrium sp.)로부터 DHA가 풍부하고 이취가 적은 지질을 획득하고 이를 옥수수유와 기질로 이용, Lipozyme IM(from Rhizomucor miehei) 촉매하에 TAG형태로 합성된 재구성지질(SL)을 이용하여, 효소적 glycerolysis반응에 의해 DAG와 MAG함유 기능성 유지를 생성하였다. Normal-phase HPLC 분석 결과, 48시간 동안 합성 된 DAG와 MAG의 함량은 각각 33.6과 $18.7\%$이었으며, 지방산 분석 결과에서 DHA는 각각 10.7과 $8.1 mol\%$의 함량을 보였다. 합성에 있어서 2에서 48시간에 따라 생성되는 DAG와 MAG의 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반응 시간 증가에 따라 그 생성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alpha},\;{\gamma}$$\delta-tocopherol$의 총 함량은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편광 간섭을 이용한 광도파로 기반의 표면 굴절률 센서 (Polymer Waveguide Based Refractive Index Sensor Using Polarimetric Interference)

  • 손근식;권순우;김우경;양우석;이형만;이한영;이성동;이상신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3-19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폴리머 광도파로 상부에 $TiO_2$(Titanium dioxide)박막이 증착된 굴절률 센서를 구현하였다. 제작된 센서를 이용하여 글리세롤의 굴절률 변화에 따른 출력광의 편광 간섭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박막 두께에 따른 편광 간섭의 민감도 변화를 확인하고,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특히 $TiO_2$가 20 nm 증착된 광도파로에서 $2{\pi}$의 위상차를 갖는 굴절률 변화는 $1.8{\times}10^{-3}$이다.

Neurospora crassa 유전자에 의한 Saccharomyces cerevisiae coq7 돌연변이의 회복 (Restor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coq7 Mutant by a Neurospora crassa Gene)

  • 김은정;김상래;이병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33-942
    • /
    • 2003
  • Coenzyme Q은 긴 isoprenoid 사슬을 갖는 quinone의 유도체이다. Coenzyme Q는 진핵생명체의 미토콘드리아의 내막과 원핵생명체의 세포막에 위치하는 전자전달계에 존재하는 지용성 물질이며, 또한 항산화제로의 기능도 갖는다. Coenzyme Q는 Saccharomyces cerevisiae의 호기적 성장에 필수적이며, coq 돌연변이체는 발효가 불가능한 탄소 원에서의 성장이 불가능하다. S. cerevisiae의 $coq^7$p 효소들과 유사성을 나타내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Neurcspora crassa cDNA를 효모의 발현 벡터에 삽입하였다. N. crassa COQ7의 예상 서열은 S. cerevisiae의 효소와 58% homology를 보였다. N. crassa $coq^{-7}$ 유전자의 S. cerevisiae $coq^7$ 형질전환체는 야생형 균주와 유사한 성장률을 보였다. 형질전환 균주들은 발효가 불가능한 탄소원인 글리세롤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배양하였을 경우에도 정상적인 성장을 나타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인 linolenic acid를 성장 배지에 첨가하여도 야생형 균주와 유사한 생존율이 관찰되었다.

말라카이트 그린의 색엷음 현상을 이용한 글리세롤의 정량: 바이오디젤 내 반응물 분석의 적용 가능성 (Quantification of Glycerol by Malachite Green Fading Phenomenon: Application in Reaction By-Product of Biodiesel)

  • 이미화;이영철;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6권5호
    • /
    • pp.471-476
    • /
    • 2011
  • Nowadays biodiesel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has been becoming an important issue as a desired alternative of energy products because of non-toxic, biodegradable properties, and lower exhaust emissions. During esterification of fatty acids or transesterification of oils and fats with short chain alcohols by the alkali-catalyzed methanolysis, FAME and unrefined glycerol are generated. Quantification of glycerol as a by-product is important because of a determinant of biodiesel quality. However, the glycerol analysis by gas chromatography (GC) method has laborious works with sample preparation, long time and cost of sample analysis. Thus, there is a need to analyze glycerol more simply. Herein we demonstrate that the colorimetric assay for glycerol analysis conducted by UV-vis spectrophotometer at the wavelength 617 nm whose peak is maximum intensity of malachite green, resulting in the red-shift occurred proportionally as a function of glycerol amount. Thus, it is considered the solvent media for malachite green fading for biodiesel production: (1) water, (2) MeOH, and (3) EtOH. The resulting findings show that the peak intensity at 617 nm in glycerol-malachite green mixture had a relationship between glycerol concentration and degree of peak shift as increase in pure glycerol concentration approximately at pH 7.0. However, when it was measured the unrefined glycerol concentration by diluting and adjusting with water to buffer (pH 7.0), it was not observed the absorption peak at 617 nm because of impurities and OH ions. In case of glycerol from biodiesel production factories, glycerol concentration could be successfully measured.

탈지 대두박 소재 가식성 생고분자 필름의 개발 (Defatted Soybean Meal-Based Edible Film Development)

  • 이한나;백희정;민세철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305-31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DSM을 이용하여 단백질 추출이나 정제없이 식품에 적용 가능성이 있는 가식성 필름을 개발하였다. HPH 처리는 표면이 매끄럽고 균일한 형태의 필름을 형성시켰고, 필름의 WVP값을 감소시켜 수분 방벽 효과를 높였다. 필름 내 글리세롤 농도 증가는 WVP값을 전반적으로 높였다. 농산물 가공 부산물인 DSM으로 제작된 가식성 필름은 새로운 식품 소재로서 상업적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효소 촉매를 이용한 고산가 폐유지 유래 바이오디젤 합성 (Enzymatic Biodiesel Synthesis of Waste Oil Contained High Free Fatty Acid)

  • 전철환;임광묵;김재곤;황인하;나병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48-1056
    • /
    • 2018
  • 비식용 원료인 Palm Acid Oil, 동물성 폐유지 등은 상대적으로 자유 지방산 함량이 높기 때문에 일반적인 염기 촉매를 이용한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에 적합하지 않다. 효소 촉매를 이용하면 염기 촉매에서 해결할 수 없는 몇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비가 작고, 바이오디젤 부산물인 글리세롤 회수가 쉬우며, 자유 지방산 함량이 높은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대한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화 효소 촉매를 이용하여 1 ton/day 용량의 반응기에서 비식용 폐유지를 바이오디젤로 합성하였으며, 반응 공정의 변수를 최적화하였다.

버섯 균사체로 제조된 반려동물용 개 껌 (Chewable pet treats made from mushroom mycelia)

  • 정용현;임호성;송진희;허희원;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21
    • /
    • 2024
  • 균사 매트를 글리세롤로 가소화 하여 기호성 코팅을 적용한 개 껌은 기존의 균사 매트의 맛과 향이 모두 개선되어 강아지가 무리 없이 시식하는 결과를 보였다. 향후 개선방향으로 질김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해 연육 공정이 포함될 수 있으며, 조섬유 함량을 낮추는 공정도 고려할 수 있다.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친환경 소재 및 공정으로 제조된 균사 매트 기반 개 껌은 물성이 조절되어 출시할 경우 친환경 반려동물용 간식으로써 시장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파밤나방과 배추좀나방의 고온 감수성 차이와 연중 발생 변이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High Temperature and Variation of Seasonal Occurrence between Spodoptera exigua and Plutella xylostella)

  • 김민현;이승희;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7-26
    • /
    • 2016
  • 기후변화는 국내 해충상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가운데 하나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지구 온난화 모델에 따라 남방계 곤충의 서식지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휴면 기작을 가지고 있지 않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과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은 시설재배지를 중심으로 국내에서 월동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두 해충은 계절적 발생 양상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배추좀나방은 이른 봄철과 가을기간에 발생하고 여름 기간 중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에 파밤나방은 늦은 봄철에 나타나기 시작해 가을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남방계 곤충이 계절적 발생 차이를 보이는 것이 이들이 갖는 고온에 대한 감수성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가설을 증명하기 두 곤충의 내열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동일한 열처리($42^{\circ}C$)에서 배추좀나방 유충은 40 분 노출에 100% 사망률을 보인 반면, 파밤나방은 대부분의 유충이 80 분의 노출에서도 생존하였다. 이러한 내열성은 두 곤충 모두 이들의 발육시기에 따라 상이했다. 배추좀나방은 4령 유충과 성충이 가장 높은 내열성을 보인 반면, 파밤나방은 1령 유충에서 가장 높게 나타냈다. 두 곤충 모두는 $37^{\circ}C$에서 30 분간 전 처리 후 고온에 노출시키면 생존율이 뚜렷하게 증가했다. 이러한 내열성유기는 두 곤충 모두 혈림프의 글리세롤 함량 증가와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파밤나방의 경우는 열충격단백질의 발현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는 여름기간 배추좀나방의 발생이 없는 것은 이 곤충의 고온에 대한 높은 감수성에 기인된 것으로 보이고, 반면에 파밤나방은 비교적 높은 내열성을 보유하여 여름 기간에도 발생을 지속시킨 것으로 해석되었다.

인도네시아 열대작물 오일의 Amberlyst-15 촉매 에스테르화 반응 및 바이오디젤 물성 분석 (Esterification of Indonesia Tropical Crop Oil by Amberlyst-15 and Property Analysis of Biodiesel)

  • 이경호;;이준표;이진석;김덕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24-332
    • /
    • 2019
  • 한국과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바이오디젤 같은 바이오연료 보급에 대한 강력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바이오디젤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원료 부족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료 공급 안정성을 개선하고 바이오디젤 생산 가격을 낮추기 위해 비식용이면서 동시에 단위면적당 생산성이 높은 인도네시아 열대작물(R. Trisperma) 오일의 바이오디젤 생산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수확기간이 다른 두 종류의 오일은 많은 불순물과 높은 유리지방산 함량을 가지고 있어 효율적인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해, 에스테르화 반응과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실시하였다. 오일은 반응을 진행하기 앞서 여과와 수분제거 과정을 통해 반응의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에스테르화 반응은 불균질계 산 촉매인 Amberlyst-15를 사용하였으며, 반응 전 오일들의 산가는 각각 41, 17 mg KOH / g이었으나, 에스테르화 반응 후 3.7, 1.8 mg KOH/g으로 약 90% 이상의 전환율을 보이며 유리지방산 함량을 2%이하로 감소시켰다. 이후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은 KOH를 염기 촉매로 사용하여 바이오디젤 합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생성된 바이오디젤은 약 93%의 FAME 함량을 나타냈으며, 총 글리세롤의 함량은 0.43%으로 제품 규격(FAME 96.5%, 총 글리세롤 0.24%)에는 미달되었다. 이는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일반적으로 관찰되지 않는 특이 지방산인 ${\alpha}$-Eleostearic acid가 10.7~33.4% 포함되어 나타나는 특성으로 판단되며, 추가 반응 최적화 및 분리정제 연구 진행으로 연료품질 규격 달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활용되지 못하던 비식용 원료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을 확보할 경우 바이오디젤 보급 확대를 위한 안정적 원료 공급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