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 위축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7초

보툴리눔 톡신 교근 주입 후 발생한 전방 개교합 증례보고 (Case report : Anterior Open bite after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on Masseter Muscles)

  • 유지원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4호
    • /
    • pp.325-331
    • /
    • 2013
  • 보툴리눔 톡신은 신경독소로, 운동신경 말단부위에서 분비되는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차단하여 근육의 위축을 유발하게 된다. 의학계 및 치의학계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 것을 시도하고 있다. 치과영역에서는 저작근 수축, 심한 이갈이, 안면 틱, 구강안면 운동장애, 교근비대의 치료 등 과활성 근육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악안면 영역에 보툴리눔 톡신을 주입하고 난 뒤 발생되고 있는 합병증으로는, 자연스럽지 못한 안면표정, 통증의 증가, 두통 등이 유발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교근부에 보툴리눔 톡신 주입 후 발생된 전방 개교합 증상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다수다얼성 옥수수의 동위효소 특성 (Isozymic Characteristics of Multiple-Ear and Tiller Maize Lines)

  • 이희봉;최봉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3
    • /
    • 1987
  • 다수다얼성 옥수수의 동위효소 특성을 구명하고 자얼성성 품종을 비교하여 생육단계에 따라 여러 조직을 6% polyaclamide gel을 사용 peroxidase와 esterase 동위효소 패턴을 관찰하였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숙한 옥수수의 엽, 간, 업소. 근 및 미숙종자의 조직에서 독특한 peroxidase의 동위효소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2. 암조건에서 7일간 자란 다수다얼성 계통의 중심주와 초엽조직은 peroxidase 도위효소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효과적이었다. 3. Esterase의 동위효소에 대한 활성은 양친의 경위가 그들의 교잡종보다. 밴드수나 활성이 높았다. 4. Esterase에 대한 밴드는 암조건인 7 일 유묘상태의 중심주, 초엽, 미숙종자에서 뚜렸한 차이가 있었다. 5. 효과적인 동위효소 관찰을 위해서는 성묘보다는 유묘조직이 유리하게 보였다. 6. 흑조위축병에 감염된 옥수수 잎은 PX나 EST 동위효소에서 모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 PDF

말초신경 손상에 의한 신경병증성 통증으로 유발된 쥐 뒷다리근 위축 (Hindlimb Muscle Atrophy of Rat Induced by Neuropathic Pain)

  • 최명애;김경화;안경주;이경숙;최정안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88-95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neuropathic pain by peripheral nerve injury on mass and Type I and II fiber cross-sectional areas on hindlimb muscles of the neuropathic pain model rat. Method: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body weight 200-220 g) were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a neuropathic pain group (n=7) that had a ligation of the left L5 spinal nerve, a control group (n=5), a naive rat without any procedures. Withdrawal threshold, activity, body weight and food intake were measured daily. At 8 days after neuropathic pain, all rats were anesthetized and the soleus and plantaris muscles were dissected from the both hindlimbs. Body weight, food intake, muscle weight and Type I and II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sected muscles were determined. Result: The neuropathic pain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s (p<.05)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rats, in diet intake, body weight, muscle weight and Type II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left (affected side) soleus and plantaris muscles, and the right (unaffected side) muscle weight of plantaris and Type II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the soleus muscle. Conclusion: The hindlimb muscle atrophy occurs in both affected and unaffected side due to neuropathic pain by the peripheral nerve injury. The hindlimb muscle atrophy of the affected side is more pronounced than that of the unaffected side.

  • PDF

고관절 전치환술(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환자의 수술후 활동저하가 하지근 위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decreased activity following THRA on circumference, volume and strength of normal and operated lower extremities)

  • 채영란;최명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5-128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 of circumference, volume and strength of normal and operated lower extremities on 3rd, 7th, 10th, and 14th days of postoperation following THRA compared with their condition on preoperation day. Subjects consisted of 13 male and 7 female Patients operated with THRA between the age of 20 and 69 years with a mean age of 38.55(SD=15.1). Circumference of upper and lower leg was measured by tape, leg volum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formula (Moor & Thornton, 1987) with measurement of 8 circumferences of leg. Leg strength was measured by pressing the center of digital health meter in supine posi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Circumference of operated thigh decreased significantly at 14 following THRA compared with preoperative value, while that of normal thigh decreased significantly at day 3, 7, 10 and 14 after THRA compared with preoperative value. 2. Circumference of midcalf in both operated and normal limb decreased significantly at day 3, 7, 10 and 14 following THRA compared with preoperative value. 3. Leg volume of operated lower limb decreased significantly at 10, 14 following THRA compared with preoperative value, while that of normal limb decreased significantly at day 7 & 10 after THRA compared with preoperative value.4. Leg strength of operated limb decreased significantly at day 3, 7, 10, 14 following THRA compared with preoperative value.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normal leg strength was shown following THRA. 5. Circumference of midcalf differed significantly at day 14 after THRA between normal and operated extremity.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a decreased activity after THRA caused muscle atrophies in normal and operated extremity.

  • PDF

해외건설 실적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및 시장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national Market Share Expansion Based on Derived Problems from Performance Record Analysis on Overseas Construction)

  • 최준열;전락근;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109-117
    • /
    • 2006
  • 외환위기 이후 서서히 회복하던 국내 건설시장은 정부의 지속적인 부동산 규제 정책으로 최근 들어 급속히 위축되어 가고 있다. 반면 해외건설시장은 세계경제의 성장과 더불어 WTO(World Trade Organization)체제 출범이후 시장개방이 가속화되어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고, 또한 최근의 고유가로 인한 중동을 중심으로 한 산유국들의 발주량 증가는 국내건설업체들에게 해외 진출의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건설업체들은 해외시장에서 선진국의 기술력과 중국 등 후발국의 추격으로 입지가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1970년대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 해외건설 수주실적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건설산업이 지나온 흔적들을 하나씩 살펴보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건설업체들의 문제점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나타난 현재 우리나라 해외건설시장의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해외건설시장 확대에 도움이 되는 분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미역 추출물과 알긴산의 근육손실 억제 효능 (Undaria pinnatifida Extracts and Alginic Acid Attenuated Muscle Atrophy in TNF-α Induced Myoblast Cells through MAFbx Signaling Cascade)

  • 최상윤;김미나;이현희;허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7-143
    • /
    • 2021
  • 근육 위축증은 근섬유의 손상으로 인한 근육세포의 감소에 의해 일어나며 심장질환, 당뇨, 각종 노인성 만성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미역 추출물 및 이의 성분인 알긴산의 근육세포보호, 근육감소억제 및 근육재생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미역 추출물 및 알긴산을 분화된 C2C12 myoblast 세포에 처리한 결과 TNF-α에 의한 근육섬유의 감소가 억제하였고murf1과 MaFbx의 발현량도 감소하였다. 또한, 마우스에 미역 추출물 및 알긴산을 10주간 급여한 결과 cardiotoxin에 의한 다리부종이 감소하였으며 근육단백질인 MyHC와 PGC-1α의 발현량이 증가 하였다. 따라서 미역 추출물 및 알긴산은 근감소 억제 및 근육재생 효과를 나타내어 기능성소재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야간 이갈이와 교근비대 환자의 보툴리눔 독소 주사 효과 (Nocturnal Bruxism and Botulinum Toxin Effect on the Subjects with Masseteric Hypertrophy)

  • 손승만;정기정;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3호
    • /
    • pp.337-346
    • /
    • 2007
  • 본 연구는 교근비대의 중요한 기여요인으로 간주되는 이갈이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이갈이 습관의 유무에 따른 BTX-A 주사후의 임상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을 위해 양측성 교근비대를 가진 지원자 중, 야간 이갈이 습관을 가지고 있는 지원자 5명과 이갈이 습관이 없는 지원자 5명을 선택하여 BTX-A(Allergen Inc., $Botox^{(R)}$)를 25 unit씩을 양측 교근에 각각 주사하였다. BTX-A의 교근주사 후에 나타나는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주사 전과 주사 후 2주, 4주, 8주, 3개월, 6개월 9개월에 각각 검사를 시행하여 초음파를 이용한 전측두근과 교근의 두께 측정, 전치부와 구치부의 최대교합력 측정, 교합력의 변화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비교하였다. 교근에 BTX-A를 주사한 후에 이갈이군과 비이갈이군 모두 초음파검사에서 교근의 두께가 감소되어 3개월 정도에 가장 현저한 위축 소견을 보였으며 이후 점차 회복되어가는 양상을 보였다(p<0.001). 비이갈이군과 비교하였을 때 이갈이군에서 교근두께의 회복이 더 현저하였으나, 주사 후 9개월에도 치료전과 비교했을 때는 여전히 근위축이 관찰되었다. 구치부 최대교합력도 교근두께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전측두근과 전치부 최대 교합력은 주사 후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보여 주지 않았다(p>0.05). 피검자가 스스로 느끼는 교합력은 주사 2주 후에 가장 저하되었다가 점차 빠르게 회복되어 6개월에서 9개월 사이 이전의 상태로 회복한 반면 교합력측 정기로 측정한 구치부 최대교합력의 상대적 변화는 최대교합력이 원래의 상태로 회복되지 못했음을 보여주었다. BTX-A 주사로 인한 상대적인 구치부 최대교합력의 저하는 비이갈이군에서 더욱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이 실험의 결과는 이갈이는 BTX-A 주사 후에 발생한 교근 위축과 교합력 감소가 원상태로 회복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갈이 등의 이상기능 습관을 가진 교근비대 환자의 BTX-A 주사효과를 보다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 주사와 함께 습관조절을 위한 교합장치의 사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구력 운동이 급성기 뇌졸중 쥐의 뒷다리근 질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durance exercise during acute stage on hindlimb muscles of stroke induced rat)

  • 안경주;이윤경;임지회;최스미;최명애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권2호
    • /
    • pp.67-8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indlimb muscle atrophy in stroke induced rat and determine the effect of endurance exercise on body weight, weight of hindlimb muscle during 7 days after stroke induction. Thirty four male Sprague-Dawley rats with 200-270g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 control, control+exercise(Con+Ex), stroke, and exercise after stroke(St+Ex) group. The control group and Con+Ex group received sham operation and the stroke group and St+Ex group received right MCA occlusion operation by using silicon-coated probe. The Con+Ex and St+Ex groups ran on a treadmill for 20min/day at 10m/min and $10^{\circ}grade$. Daily body weight and diet intake were measured every morning for 7 days. Cerebral infarction of stroke and St+Ex groups were identified by staining with TCC for 30minutes. The data were analyzed by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using the SPSSWIN 9.0 program. Body weight of the control group at the 7th day increased by 18.3% significantly from the first day of experiment, that of the stroke group at the 7th day decreased by 6.7%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day of receiving right MCA occlusion operation. Body weight of the Con+Ex group at the 7th day increased by 10.3% significantly form the first day of experiment, that of St+Ex group at the 7th day also increased by 13.4%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day of receiving right MCA occlusion operation. The total amount of diet in stroke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St+Ex and that of control group. In stroke group the wet weight of both sides of soleus, plantaris, and gastrocnemius muscle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The relative weight of affected(left) plantaris and gastrocnemius muscle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ight of affected and unaffected soleus, plantaris, and gastrocnemius muscles were not significant in stroke group. The wet weight of right gastrocnemius muscles in Con+Ex group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The relative weight of right gastrocnemius muscl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wet weight of St+Ex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the stroke group in both sides of soleus, plantaris, and gastrocnemius muscles. The relative weight of affected plantaris muscl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the stroke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weight of affected and unaffected soleus, plantaris, and gastrocnemius muscles were not significant in St+Ex group. Body weight and wet weight of soleus, plantaris, and gastrocnemius muscles in the St+Ex group did not recover to the values of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endurance exercise during acute stage of stroke can reduce muscle atrophy related to denervation, inactivity and undernutrition.

  • PDF

스테로이드 치료 후 회복기의 규칙적인 운동이 쥐의 스테로이드 유발성 위축 뒷다리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gular exercise during recovery period following steroid treatment on the atrophied hindlimb muscles induced by steroid in rats)

  • 최명애;변영순;황애란;김희승;홍해숙;최스미;서화숙;이경숙;박미정;신기수;안경주;이윤경;임지회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4권1호
    • /
    • pp.85-99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low intensity regular exercise following steroid treatment could attenuate steroid-induced muscle atrophy. Thirty-eight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65{\sim}175g$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 control group(C), dexamethasone administration group(D), sedentary normal saline administration group(C+Se), exercise after normal saline administration group(C+Ex), sedentary group after dexamethasone administration(D+Se), exercise group after dexamethasone administration(D+Ex). Either dexamethasone(5mg/kg) or normal saline was injected for 7days accordingly. Exercise was started at 10m/min on the $10^{\circ}$ grade treadmill and gradually increased up to 15m/min by the 7th day for 60minutes/day($20min{\times}3$). The data were analyzed by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using the SPSS WIN 9.0 program. Body weight, muscle weight and myofibrillar protein content of both plantaris and gastrocnemius, Type I, II muscle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plantaris, and Type II muscle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gastrocnemius in 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 group(p<0.05) respectively. Hindlimb muscle weight, myofibrillar protein content of both plantaris and gastrocnemius. Type I muscle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soleus and Type I, II muscle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plantaris in D+Ex group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ose of D+Se group. Myofibrillar protein content of both plantaris and gastrocnemius, Type I muscle fiber cross-sectional area of plantaris in D+Ex group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ose of C+Se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regular low-intensity exercise during recovery period after steroid treatment might facilitate the recovery from steroid-induced muscle atrophy.

  • PDF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 환자에서 다열근과 척추기립근의 지방 침투율과 골다공증 관련 인자의 상관 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and the Fat Infiltration Rate of the Multifidus and Erector Spinae Muscles in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Patients)

  • 전득수;백종민;최지욱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18-323
    • /
    • 2020
  • 목적: 근감소증에 중요한 요소인 척추 주변 근육 감소를 수치화한 총 지방 침윤율(total fat infiltration rate, TFI rate)과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및 관련 수치와의 상관 관계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요추의 압박 골절 진료를 본 환자들 중 1)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 T score -2.5 g/cm2 미만으로 골다공증을 진단받고, 2) 요추 골절로 경피적 척추성형술(vertebroplasty) 또는 경피적 풍선척추성형술(kyphoplasty)을 받았으며, 3) 요추의 한 분절만 골절된 4) 1년 이상 추시한 환자 9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TFI는 Image J 프로그램으로 자기공명영상을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열근(multifidus) 및 척추기립근(erector spinae)의 TFI와 골다공증 요소들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다열근및 척추기립근의 평균 TFI는 14.66±10.16이었다. 척추 BMD는 고관절 BMD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TFI와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고관절 BMD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한 비타민 D 수치는 척추 BMD와 고관절 BMD에서 모두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TFI와는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 근육량은 근감소증 환자뿐만 아니라 골다공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도 도움이 되므로 주의깊게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비타민 D를 증가시키는 것은 근육 위축의 진행을 늦출 수 있으므로 이로써 골절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