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 긴장성 발성장애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기능성 음성장애의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of Functional Dysphonia)

  • 진성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5-78
    • /
    • 2014
  • 기능성 음성장애는 후두에 구조적 혹은 신경학적 병변이 없이 음성발성에 장애가 있는 질환으로, 의학적인 부분만으로 설명하기가 어려운 장애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진단에 많은 혼란이 있을 수 있는 논쟁의 여지가 많은 음성질환이다. 기능성 음성장애의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인 muscle tension dysphonia는 후두 근육과 후두 주변 근육의 지나친 긴장에 의해서 발생하는 음성장애로, 비록 후두 내/외근의 운동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는 것이 muscle tension dysphonia의 가장 첫 번째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고, 특정의 개인적인 인성의 특징(personality traits)들도 발생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 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이들 근육이 도대체 어떻게 문제가 되는 지에 대해서는 사실 아직까지 완전하게 설명하기에는 곤란한 점이 많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muscle tension dysphonia를 하나의 질환으로 보기보다는 기능성 음성장애의 문제점들을 설명하는 진단적 지표(diagnostic label)로 보는 경향이 많으며, 기능성 음성장애와 기질적 음성장애(organic voice disorder)를 아우르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도 있다. 따라서 기능성 음성장애에 대한 분류나 발생기전에 대한 의견들은 아직까지 논란이 되는 부분들이 많은 상태이고, 기능성 음성장애를 더 잘 이해하고 이 질환을 성공적으로 치료해 나갈 수 있는 중요한 요인들을 찾아낼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초고속 성대촬영기(High-Speed Digital Imaging)를 이용한 말더듬인과 근 긴장성 발성장애인의 /이/모음 발성 시 성대 진동 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Vocal Fold Vibratory Behaviors Shown in the Phonation of the /i/ Vowel between Persons who Stutter and Persons with Muscle Tension Dysphonia Using High-Speed Digital Imaging)

  • 정훈;안종복;박진향;최병흔;권도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권4호
    • /
    • pp.195-20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high-speed digital imaging (HSDI) to compare vocal vibratory behaviors of persons who stutter (PWS) and persons with muscle tension dysphonia (PMTD) for uttering the /i/ vowel in a bi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vocal fold vibratory behaviors of PWS. This study surveyed seven developmental PWSs and seven PMTD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two groups' vocal fold vibratory behaviors, of seven PWSs, three were found to be close vocal tract (VC) and four were found to be combination vocal tract (VCB). Of the seven PMTDs, one was found to be VC, and the other six were found to be VCB.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voiceprin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pen vocal tract (VO) found in normal groups in research conducted by Jung, et al. (2008b) appeared in both groups of this study. Even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voiceprint before vocalization. Second, a VKG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wo groups' vocal cord contact quotient. As a result, the PWS group's vocal cord contact quotient changed gradually from an irregular one at the initial vocalization stage to a regular one. The PMTD group continued the tension at the initial vocalization. Putting together all of these results, there is a difference in vocal fold vibratory behaviors between PWSs and PMTDs when they speak. Thus, there was a difference in muscular tension between the two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