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전위

Search Result 14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Design of Control System for Myoelectric Signal Driving Type Myoelectric Hand Prosthesis (근전위 신호구동형 전동의수의 제어시스템 설계)

  • Choi, Gi-Won;Lee, Myung-Un;Ra, Sun-Gil;Choe, Gyu-Ha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2 no.3
    • /
    • pp.248-257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control system for driving myoelectric hand prosthesis according to myoelectric signal generated in the human muscle. A surface myoelectric sensor for measuring myoelectric signal is designed a skin interface and a processing circuit according to myoelectric signal output property. The control system consists of two controller for driving dual motor, torque sensor for measuring out torque of motor, slip sensor for detecting slip of torque. The experimental results proved the proposed control system.

A Study on the Changes in Motor Unit Action Potential, EMG Power Spectrum, and Pressure Pain Threshold of Masticatory Muscles during Sustained Fatiguing Contraction (피로를 유발하는 지속적인 근수축 동안 저작근의 운동단위전위, 근전도 power spectrum, 압력통각역치 변화에 대한 연구)

  • Kim, Cheol;Kim, Young-Jun;Kim, Kyung-Ny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3
    • /
    • pp.261-276
    • /
    • 2001
  • 본 연구는 구강안면동통 중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근육성 동통의 주 원인인 저작근의 과활성으로 유발된 근육의 피로 시에 운동단위전위, 압력통각역치, 근전도 power spectrum의 변화 양상과 이들 척도간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두개하악장애의 병력 및 현증이 없고 정상적인 구치부 교합관계를 가진 평균연령 25.8세인 36명의 정상 성인(남자 26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교근과 전측두근의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 전후의 압력통각역치 및 운동단위전위를 측정하였고 인내시간까지의 근수축 동안 근전도 power spectrum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 후 교근과 전측두근의 압력통각역치는 수축 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압력통각역치는 수축 전과 수축 후 모두에서 전측두근이 교근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으나 성별간의 차이는 전측두근의 수축 후 압력통각역치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3.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말기의 중간주파수는 수축초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전측두근의 수축초기 중간주파수와 수축말기 중간주파수 모두 교근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4. 교근은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 전에 비하여 수축 후의 운동단위전위의 지속시간,진폭, 면적, 상의 4가지 척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전측두근은 진폭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 척도, 즉 지속시간, 면적, 상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5. 교근과 전측두근의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 전의 압력통각역치와 운동단위전위 척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교근에서는 수축 후의 압력통각역치와 운동단위전위의 지속시간, 진폭, 면적, 상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위의 실험결과를 통해 근육피로 검사에 압력통각역치, 근전도 power spectrum 검사 외에 근육수축의 기능적 최소 단위인 운동단위전위의 분석 또한 유용할 수 있고 추후 만성으로 진행된 근막동통환자와 정상 대조군간의 운동단위 수준에서의 비교연구와 근피로에 더욱 민감한 운동단위전위의 다른 척도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Surface Myoelectric Sensor for Myoelectric Hand Prosthesis (근전의수용 소형 표면 근전위 센서의 개발)

  • Choi, Gi-Won;Sung, So-Young;Moon, Inhyu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2 no.6
    • /
    • pp.67-76
    • /
    • 2005
  • This paper proposes a compact-sized surface myoelectric sensor for the myoelectric hand prosthesis. To fit the surface myoelectric sensor in the socket for the myoelectric hand prosthesis, the sensor should be a compact size. The surface myoelectric sensor is. composed of a skin interface and a single processing circuit that are mounted on a single package. The skin interface has one reference and two input electrodes, and the reference electrod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wo input electrodes.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types of sensors with the circle- and bar-shaped reference electrode, but all input electrodes are the bar-shaped. The metal material of the electrodes is the stainless steel (SUS440) that endures sweat and wet conditions. Considering the conduction velocity and the median frequency of the myoelectric signal, we select the inter-electrode distance (IED) between two input electrodes as 18mm, 20mm, and 22 mm.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consists of a differential amplifier with a band pass filter, a band rejection filter for rejecting 60Hz power-line noise, amplifiers, and a mean absolute value circuit. We evaluate the proposed sensor from the outpu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IED and the shape of the reference electrode.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show the surface myoelectric sensor with the 18mm IED and the bar-shaped reference electrode is suitable for the myoelectric hand prosthesis.

Study on a test method for the endurance of myoelectric hand prosthesis (근전의수의 내구성 시험방법에 대한 연구)

  • Choi, K.W.;Mun, M.S.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5 no.1
    • /
    • pp.11-15
    • /
    • 2011
  • This paper propose the test method for a performance of the myoelectric hand prosthesis(MHP)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yoelectric signal generated in the human muscle. The MHP consists of a mechanical hand, a surface myoelectric sensor(SMES) for a measuring myoelectric signal, a control system and a charging battery. The two commercialized MHP is tested for the grip endurance property. The test results is not difference a noise and a grip force. The proposed test method is proved the reliability of MHP by the endurance test.

Development of an Electrolarynx Controlled by EMG (근전위 제어형 전기 인공후두의 시작)

  • 민혜정;봉정표;최홍식;윤형로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6.11a
    • /
    • pp.91-91
    • /
    • 1996
  •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전기 인공후두는 손으로 인공후두를 경부에 장착하고, 음의 intensity와 pitch를 변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손가락으로 조절해야만 하는데, 실제 회화 중에 잘 조절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음질과 명료도가 나쁘며, 발성을 의도했을 때 자유롭게 발성하는 것도 어렵다. 또한 회화 중에는 한손은 항상 전기 인공후두를 위해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흉골설골근 근전위에 의해 제어되는 인공후두를 제작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중략)

  • PDF

Electromyo-potential Response to Electric Stimulus Excitation at a Human Antebrachial Joint (인체 주관절에서 전기자극 가진에 의한 근전위 응답)

  • Hong, Jong Han;Kim, Jin Oh;Lee, Dong Chan;Park, Kwang H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23 no.1
    • /
    • pp.9-16
    • /
    • 2013
  • This paper experimentally deals with the excitation by functional electrical stimulus(FES) and the response of electromyo-potential at the muscles of antebrachial joint in a human body. The excitation of FES, which results in the contraction of the muscles and thus the flection of the joint, shows that the flection angle of the joint is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stimulus current. The response of electromyo-potential measured according to the FES shows the linearly-proportional relation between the joint torque and the electromyo-potential. The results can be used for active motion of joint rehabilitation.

생체신호제어 운동기능 회복기술의 현황

  • 류제청;문무성
    • Journal of the KSME
    • /
    • v.44 no.1
    • /
    • pp.72-78
    • /
    • 2004
  • 이 글에서는 생체신호제어 운동회복 기술의 필요성, 기술의 개요, 생체 모방형 액추에이터 개발 현황, 근전위 제어 시스템, 뇌-기계 인터페이스 제어시스템, 하이브리드 보행보조 시스템 등에 대해 소개한다.

  • PDF

23KV Y배전방식연구 2

  • 민정근
    • 전기의세계
    • /
    • v.15 no.4
    • /
    • pp.27-38
    • /
    • 1966
  • 본 고에서는 앞으로 신설된 배전계통에서의 고저압혼독시 전위상승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A항의 검토에서 고목계통의 실측치와 D.C. board에 의한 계산치 사이에 약 10-20%의 오차는 있으나 계산치로써 전위상승을 추정할 수 있음을 알았음으로 신설될 23kv Y및 11.4kv Y배전방식에 대하여 계산한다.

  • PDF

하중운반체계의 동역학적 연구

  • 서국웅;이창민;김정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117-123
    • /
    • 1998
  • 본 연구는 하중운반 보행시 지면반력에 미치는 하중운반체계의 효과에 관한 생체역 학적 연구로써 지면반력기, EMG system등을 이용하여 동역학적인 분석을 하였다. 피실험자는 2명이며, 무부하시와 하중운반시 지면반력의 동역학적인 변화, 근육의 활동전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20kgw, 30kgw의 하중운반 체계에서 비효율적인 보행동작으로 나타났으며, 30kgw의 운반체계는 지면에 큰 충격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비복근, 전경골근, 내측광근, 외측광근의 활동전위는 부하의 증가에 따라 크게 나타았으며, 전경골근의 경우는 20kgw의 등 뒤쪽 부하시 활동전위가 감소되었다.

  • PDF

성악가와 비성악가에서의 음도에 따른 성대외근의 surface EMG activity 변화

  • 손영익;윤영선;추광철;김선일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8.11a
    • /
    • pp.198-198
    • /
    • 1998
  • 성악발성 시 전문적인 성악가와 비전문가에서 성대외근의 수축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성대외근이 성악발성에 갖는 중요성을 파악하고,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성악발성 숙련도의 판정이나 성악인의 음성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양음악을 전공한 지 10년 이상 된 20-30대의 소프라노 4인을 성악가 군으로, 비전공자 여성 4인을 대조군으로 하여, E3 부터 C6 내의 9개 음을 낮은 음부터 시작하여 차례로 /이/ 모음을 수초간 발성하게 하였다. Multi-Mode Program (UP) Plus (Nicolet, Viking IV)와 1개 채널의 음성신호 및 3개 채널의 surface electrode를 이용하여 발성 시설골상근, 설골하근, 견갑설골근의 활동전위를 측정한 뒤, 단위시간 당 근전위 진폭의 합을 구하여 두 군간에 그 양상을 비교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