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부 온도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초

딸기의 뿌리 및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근부온도의 영향 (Effect of Root Zone Temperature on Root and Shoot Growth of Strawberry)

  • 전하준;황진규;손미자;최동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4-19
    • /
    • 2008
  • 저온기의 딸기 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아키히메(章姬)'품종을 재료로 딸기의 뿌리 발달에 미치는 저온의 영향과 지하부의 온도와 관련된 지상부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18^{\circ}C$의 근온처리구에서 1차근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8^{\circ}C$의 저온에서 뿌리의 신장률이 가장 낮았으며, 특히 측근의 수와 길이가 가장 저조하였다. 근부의 온도는 지상부의 생육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서, 낮은 근권 온도에서는 지상부의 생체중, 엽면적, 엽장, 엽폭 및 엽수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지하부 온도관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딸기 촉성재배농가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aline Stress 하에서의 사료작물의 광합성 및 호흡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of Forage Plants under Saline Stress)

  • 김충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62-369
    • /
    • 1990
  • 염해의 기작을 구명코저 몇가지 작물을 공시하여 해수처리가 광합성, 근호흡 및 증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추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온도차이에 따른 상대증발산량과 상대광합성량은 처리후 4일간의 일변화에서 그 반응이 상이하였으나 공시작물 4종 모두 저온구(11-16$^{\circ}C$)에서 고온구(22-24$^{\circ}C$)보다 높았다. 2. 상대증발산량과 근호흡량의 상관에서는 orchard grass는 r=0.996$^{**}$ , alfalfa는 r=0.828$^{*}$ , white clover에서는 r=0.996$^{**}$ 을 나타냈으나 tall fescue에서는 상관관계를 인정할 수 없는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3. OED(증산억제제) 처리에 따르는 증발산량과 근호흡량은 전공시 작물이 해수처리구가 수도수처리구보다 근호흡 및 증발산량을 감소시켰으며, OED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zeolite구가 모래구 보다 적었다. 4. 해수처리에 다른 근부의 피해상태는 orchard grass 및 tall fescue에서는 근부의 피층이 갈변하였고 alfalfa와 white clover에서는 피층부분이 수분침수에 의해 변색되었다.

  • PDF

우리나라 농업상 중요한 선충류에 관한 연구 (I) 온실화훼류의 근부에서 발생되는 수종의 선충에 관하여 (Studies on the Important Nematodes in Korea 1. Some Nematodes Found in the Soil around the Root of Floral Plants in the Green-house)

  • 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권
    • /
    • pp.27-37
    • /
    • 1963
  • 최근 농작물에 대한 각종 선충류의 피해가 주목되어 있는 실성에 비추어 필자는 선충류연구의 기초적 과제로서 온실내의 화훼류 근부에서 발견되는 선충류 중 농업상 비교적 중요하다고 인정되는 종류와 그밖에 몇 종류에 대하여 형태적인 특징을 기술하였다. 즉 취급된 종류들은 다음과 같다. 1. Meloidogyne arenaria Chitwood 2. Scutellonema coheni Andrassy 3. Paurodontus gracilis Thorne 4. xiphinema americaum Cobb 5. Rhabditis sp 6. Cephalobus sp 7, Diplogaster sp 그리고 이상 7종류의 기주식물 및 기생정도를 보면 Meloidogyne arenaria Chitwood는 Begonia에 만 기생하였고 그밖에 화훼류에는 기생을 볼수 없었다. Scutellonema choeni Andrassy는 꽃치자, 소펄, 이마리 리스, 제브리나에 가장 많이 발견되었고, Paurodonthus gracilis Thorne는 동백나무, 청목. 지내고사리, 카네이션, 충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Xiphinema americanum Coob는 산호수, 서향, 코피나무, 시크라맨, 용설란, 동백 등에서만 발견되었으나 그중에 용설란, 동백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다. Rhabditis sp.는 초본류 화훼류의 대부분에서 발견되었으나 그중에도 산세배리아에서 가장 많았다 Diplogaster sp는 대부분의 화훼류에서 발견되었으며 그중에 크로톤에 비교적 많았다. Cephalobus sp.는 전반적으로 발견되었으며 발견정도는 모두 비슷하였다. Monhystera app. , Mononchus spp. , Dorylaimus app. 등도 조사란 과반수의 화훼류들에서 발견되었으나 특히 많이 발견되는 화훼류는 없었다. 이상 선충류중 근류를 형성하여 피해가 가장 주목되는 Mceloidogyne arenaris Chitwood에 대해서 온실내에서 그의 유일한 기주식물인 Begonia의 품종별 기생정도를 비교조사한 결과 semperflorens 품종에 가장 기생률이 높았고 metarica 품종은 중정도였으며 erytholopylla와 argento-guttata 품종들에는 기생이 없었다. 이 점은 매우 의의있는 사실로서 앞으로 더욱 연구할 과제로 삼았다. 끝으로 Sanceberia에서 많이 발견되는 Rhabditis sp를 $18^{\circ}C$, $25^{\circ}C$, $30^{\circ}C$, $35^{\circ}C$의 동온도별의 incubator에서 사육한 결과 본 종의 생육적온이 $30^{\circ}C$라는 사실을 알았다.

  • PDF

고추에서 Napropamide 및 Pendimethalin에 대한 약해요인(藥害要因) 구명(究明) (Determination of Factors Affecting Injury of Pepper Cultivars to Napropamide and Pendimethalin)

  • 김만호;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21-328
    • /
    • 1987
  • 토양처리(土壤處理) 제초제(除草劑)인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을 고추재배(栽培)에 사용(使用)할 때 약해(藥害) 발생요인(發生要因)을 구명(究明)하여 약해(藥害)를 감소(減少)시키는데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조사(調査)하고자 근부침지(根部浸漬)에 따른 고추 품종간(品種間) 생장반응(生長反應)과 토성(土性),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 토양온도(土壤溫度) 및 파종심도(播種深度)에 따른 고추 품종간(品種間) 약해정도(藥害程度)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1. Napropamide는 근부침지(根部浸漬)에서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의 최상위엽(最上位葉) 생장(生長)이 크게 억제(抑制)되지 않았다. 2. Pendimethalin은 근부침지(根部浸漬)에서 최상위엽(最上位葉) 억제(抑制)가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에서 현저히 심했다. 3.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사토(砂土)에서 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피만계통(系統) 품종(品種)에서 더욱 심하였고 양통(壤土)에서 약해(藥害)는 적었다. 4.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높을수록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적은 경향(傾向)이었으며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에서는 그 경향(傾向)이 현저하였다. 5 파종심도(播種深度)가 깊으면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다소(多少) 적은 경향(傾向)이었으며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의 고농도(高濃度)에서 그 경향(傾向)은 더욱 뚜렷하였다.

  • PDF

마감재 종류 및 두께 변화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드의 내화특성 (Fire Resistance of High-Strength Concrete Corresponding to the Finishing Material Kinds and Thickness)

  • 정홍근;배장춘;이성연;한창평;한민철;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473-47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기존 건축물에 석고보드류 정도로 마감되어 있는 기둥부재를 가정하여, 마감재 종류 및 두께에 따른 내화특성을 검토하였다. 내화시험 후 폭렬현상으로 모든 시험체에서 주근부까지 폭렬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이력 특성으로는 35 ${\sim}$ 60분에서 9.5 T, 3.5 T(2ruq), 12.5 T, 15 T, 내화 12.5 T의 순으로 100${\sim}$200 $^{\circ}C$ 부근에서 급격한 온도상승을 나타내므로서 보다 내화성능이 우수한 마감재의 시공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배양기간, 온도, pH가 인삼 근부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 (Zinssm.) Scholten의 균사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cubation Period, Temperature and pH on Mycelial Growth of Cylindrocarpon destructans (Zinssm.) Scholten Causing Root-rot of Ginseng)

  • 조대휘;안일평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81-187
    • /
    • 1995
  • Cylindvocarpon destmtalns isolate CY-92-01, pathogen of root-rot of Panax ginseng showed t the maximum mycelial growth on the Czapek solution agar among the thirteen kinds of media. Five isolates (Isolate CY-92-01, CY-92-03, CY-92-07, CY-94-01, CY-94-02) of C. destructan from various growth stages of p. ginseng recovered from several geographical sites also showed maximum growth in the Czapek-Dox broth compared with potato dextrose broth and V-8 juice broth. Rapid growth rate was maintained until 12 days after inoculation on the Czapek-Dox broth and mycelial weight was somewhat constant until 20 days. After 30 days of incubation, the mycelial weight began to decrease. The fungal growth occurred from 5$^{\circ}C$ to $25^{\circ}C$ and optimum temperature for growth was 2$0^{\circ}C$. Mycelial weight orderly decreased at 15, 25, 10, and 5$^{\circ}C$. Quantitative measurement was impossible at 5$^{\circ}C$. No fungal growth was occurred at the temperature higher than 3$0^{\circ}C$. Growth was observed at all tested pH ranges from 2.8 to 8.0. Optimum pH for growth was 4.0~5.0 followed by pH 3.3~3.5 and 5.4~6.0. The least growth occurred at pH 2.8.

  • PDF

직파(直播)벼의 제초제(除草劑) 약해(藥害) 요인(要因)과 회복(回復)에 관한 연구(硏究) - I. 약해(藥害)의 변동(變動) 요인(要因) (Factors and Recovery of Herbicide Phytotoxicity on Direct - seeded Rice - I. Variation Factors of Phytotoxicity)

  • 임일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2-300
    • /
    • 1996
  • 벼 담수직파시 제초제에 의한 약해의 원인을 구명하고자 온도, 용액의 pH, 수심, 토성 및 영양(營養)의 유무(有無) 등의 조건하에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20/$11^{\circ}C$에서 30/22$^{\circ}C$에서보다 벼 생육 억제 정도가 컸으며, 특히 근부(根部)에서 현저히 컸다. Dimepiperate 및 molinate 처리는 저온 (20/$11^{\circ}C$) 고온(30/$22^{\circ}C$) 에서 생육억제 정도가 컸으며 경엽부(莖葉部)에서 현저하였다. 2. 무영양(無營養) 조건에서는 bensulfuron methyl 처리에서, 영양(營養)조건 에서는 pyrazosulfuron-ethyl의 처리에서 생육 억제 정도가 컸다. 3. pH3.5, 5.5, 7.5 및 9.5 용액에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시 벼 생육은 pH3.5 및 5.5의 낮은 pH에서 저조하였으며, 무처리 대비한 생육 억제정도는 bensulfuron methyl 처리는 pH5.5 및 7.5에서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pH7.5 및 pH9.5에서 낮았다. 4. 수심 6cm의 심수조건에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시는 근부(根部)의 생육이, dimepiperate 및 molinate의 처리는 경엽부(莖葉部)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특히 dimepiperate처리는 90% 정도 억제되었다. 또한 pyrazosulfuron-ethyl+molinate의 처리에서 bensulfuron methyl+dimepiperate 처리보다 경엽부(莖葉部)의 억제정도가 컸다. 5.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무비구는 식양토에서, 시비구는 사양토에서 생육저해 정도가 컸으며, bensulfuron methyl 처리는 사양토에서 생육이 저조한 경향이었다.

  • PDF

폴리론 화이버 공법의 현장적용을 위한 Mock-up Test (Mock-up Test for Field Application of a Polylon Fiber Method)

  • 권해원;손호정;지석원;이병훈;한민철;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405-408
    • /
    • 2008
  • 본 연구는 폴리론 화이버 공법의 현장 적용을 위한 Mock-up 실험으로, 폴리론 화이버 0.05%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및 내화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슬럼프플로우 및 공기량은 모두 목표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화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양생 조건에 따른 압축강도는 모두 설계기준강도 60 MPa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화특성으로, 시험체의 표면부에 일부 약간의 박리 폭렬 현상이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는 양호한 내화성능을 나타내었다. 온도이력 특성으로, 3시간 내화시험 후 주근부 최고온도 $531{\circ}C$, 평균온도 $405{\circ}C$로 국토해양부의 내화기준을 만족하였다.

  • PDF

인삼 근부병균 Cylindrocarpon destructans (Zinssm.) Scholten의 포자 생성에 미치는 배양기간, 온도, pH의 영향 (Effect of Incubation Time, Temperature and pH on the Production of Conidia and Chlamydospore of Cylindrocarpon destrutans (Zinssm.) Scholten Causing Root Rot of Panax ginseng)

  • 조대휘;유연현;오승환;이호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88-95
    • /
    • 1996
  • The effects of media, incubation time, temperature and pH on production of conidia and chlamydospore of Cylindrocarpon destructans (Zinssm.) Scholen causing root rot of Panax ginseng were studied. Microconidia of the pathogen were abundantly produced on V-8 juice agar as a solid substrate with 5.73(log conidia/mm2) and in V-8 broth as a liquid substrate with 6.65 (log conidia/ml) among media tested. No difference was observed on the length of microconidia produced from the media with a range of 9.50∼11.38 $\mu\textrm{m}$. However, tryptic soy agar produced the broadest microconidia (average 5.00 $\mu\textrm{m}$) among the media tested. All the media produced chlamydospores In a range of 1.06∼4.37 (log chlamydospores/mm2) withou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while V-8 juice agar produced the bigger one (18.39 $\mu\textrm{m}$ in diameter) as compared to the tested media. The fungus began to sporulate conidia after three days of incubation and reached maximum at the 8th day. It seemed to be in a stationary phase until 30 days of incubation but was decreased thereafter. Chlamydospore was produced at 4th day after incubation. Maximum production was observed at 8th day and the number seemed to be maintaine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Both conidia and chlamydospore of the pathogen were able to be spoluated at 10∼25$^{\circ}C$. However, optimum temperatures of conidia and chlamydospore formation were 15∼25$^{\circ}C$ and 10∼20$^{\circ}C$, respectively. C. destrmtans produced conida with an wide range of pH from 3.3 to 8.0 and chlamydospore from 2.8 to 8.0. Number of conidia was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pH up to 4.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between 4.0 to 8.0. It seemed to have two optimum pH ranges, 3.3∼4.0 and 7.1∼8.0 for the chlamydospore formation.

  • PDF

인삼근부병 억제토양 및 유발토양의 근권환경 비교 (Comparison of Rhizosphere Environments in Soils Suppressive and Conducive to Ginseng Root Rot)

  • 정영윤;김홍진;오승환;박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2-146
    • /
    • 1984
  • 인삼 근부병 억제토양 및 유발토양의 추출액 배지에서 병원균인 Fusarium solani, Rhizoctonia solani, Phytophthora cactorum, Sclerotinia sp.의 균계생장과 여기에 영향을 미지는 두 토양의 근권환경을 비교하였다. 4병원균 모두 추출액을 열처리하지 않았을 때 유발토양보다 억제토양 추출액 배지에서 생장이 더 억제되였고, $100^{\circ}C$로 처리 하였을 때는 F. solani와 Sclerotinia sp.는 두 토양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R. solani와 P. cactorum은 유발토양에서 균사생장이 더 좋았다. 또 억제토양 추출액의 열처리 온도를 높힐수록 모든 병원균의 생장이 증가되었다. 두 토양의 근권미생물 밀도는 Fusariumtn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전세균, 진균은 모두 억제토양에 밀도가 더 높았으며 이 미생물들에 대한 Fusarium밀도의 비율도 억제토양이 더 높았다. 점토함량은 액제토양이, 모래함량은 유발토양이 각각 더 높았고, 화학성분중 Mg, Na 함량은 유발 토양이 더 많았으며 Ca, Fe, $P_2O_5$도 유의성은 없었으나 억제토양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