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대주택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노형래
    • 건축사
    • /
    • 2호통권382호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안동 도진마을의 근대기 주택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rn Housing Type of Do-Jin Village in An-Dong)

  • 박정훈;유재우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5-48
    • /
    • 2009
  • Traditional villages formed their own indigenous residential culture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nature and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Since the influential factors have changed in modern period, the forms of housing have gradually changed and were also replaced by new types. This study aims to view the changes of the traditional housing in modern period through case studying the traditional village. The result can be used as a preliminary data for another research.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Do-Jin village, Buckhoo-myun, in An-Dong which has a regional particularity and diversity of housing forms.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한동수
    • 건축사
    • /
    • 2호통권382호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공작연맹 주택전시회에서의 근대주택 조형 실험에 관한 연구 - 브르노, 브레슬라우, 빈, 프라하에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erimental Design of Modern Housing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Cases in Werkbund Housing Exhibitions in Brno, Breslau, Vienna and Prague -)

  • 전남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12-2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novative and experimental housing design alternatives in the transition period to the modern era and to discuss about the motivation of modern architectural form. Thu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lanning concepts and the meaning of new design of the four Werkbund dwelling Exhibitions in eastern Europe reflecting the demands of modern times. Second, I analyzed how the formative experiment appeared as a stereoscopic mass design and as a architectural composition in exterior. Experimental trials at housing exhibitions were to respond to the demands for the new forms, which required a new approach to modern style and aesthetics. The major features of formative experim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w housing design have escaped from the historically descended style. Secondly, through the operation of volume and surface modern dwelling created a formative conformation. Finally, the shape and the surface replaced the decoration. In conclusion, the works of modern architects can be said to have achieved the harmony between 'purpose of expression' and 'technical purpose' in realizing the 'Zeitgeist' that corresponds to the paradigm of modern housing.

1920년대 근대적 디벨로퍼의 등장과 그 배경 (The Advent of Korean Developers during the 1920s)

  • 구경하;김경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75-687
    • /
    • 2014
  • 일제하 경성부의 근대식 한옥 개발은 조선인 디벨로퍼의 주도로 1920년대에 본격화되었다. 이들이 등장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인의 이주와 조선인의 이농으로 인구가 급증했다. 특히 일본인의 근거지가 청계천 이북으로 확장되면서, 지가가 상승하고 기존 필지를 분할하는 압축적인 개발이 나타났다. 둘째, 식민지 당국의 주거대책 부재로, 조선인의 주택난이 극심하였다. 셋째, 조선인 건설업자들은 토목공사 입찰에서 배제되어 조선인 대상 주택을 주로 건설하였다. 정세권 선생의 건양사와 같은 근대적 디벨로퍼들은 토지 매입, 분필, 주택 설계와 개발, 분양 등 근대적 부동산 개발 방식을 통해 조선인에게 근대식 한옥을 공급했다. 이들의 활동으로 1920~30년대 경성부에 10~40평형대의 근대식 한옥 단지가 형성되었다.

  • PDF

근대주택의 색채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Design of Modern Houses)

  • 주서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호
    • /
    • pp.34-40
    • /
    • 2000
  • In modern period, the houses are the most outstanding works by architects in which they develop their architectural identical theory and new color design concept has been established with the appearance of modern new art. This study is to summarize and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design in 9 outstanding modern houses according to the historic artistic period, from 'arts and craft movement' to modernism. The result will re-analyze theory on the history of modern houses and support the identity of the modern houses. The research method is based on book review and in detail, the analysis on color design were proceeded by comparison with color picture of interior space of the houses.

  • PDF

근대기 인천지역 주거건축 연구 (A Study about House Building Modern times in Incheon City)

  • 손장원;차동원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24-31
    • /
    • 2005
  • In the study results, Incheon region, a classic house was consistently built in spite of having been the barrier which a foreign dwelling flowed into until 1960's. And met me in our dwelling habit and changed and used a house built by the Japanese. That is, the traditional dwelling format worked with a spindle accepting other dwelling culture and can do it. It was a too social change and was able to confirm the fact that it extended a room as necessary or it improved a classic house and used as West back various way whom it got cold, and exchanged it to a kitchen of a cause and effect life.

  • PDF

한스 셔로운의 주택설계에 나타난 근대 기능주의 - 바이센호프 주택을 중심으로 - (Hans Scharoun's House Design and Modern Functionalism - A House at Weissenhofsiedlung -)

  • 황보봉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3-10
    • /
    • 2005
  • German architect Hans Scharoun (1893-1972) has long been known as an Expressionist Architect, but recent scholarships reveal that his architectural pieces represent a profound idea of modern functional building. In this context, his architectural tendency can be constructed as an advanced functionalism.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Germany, many young architects were not given chances to build due to economic hardship after World War I, and they were naturally led to imagery sketch designs for future architecture. Scharoun began with utopian fantasies as one might easily notice through his watercolor paintings in the Glass Chain period, but further developed his vision into a more concrete idea on organic building which he believed to be a modem functionalism. This paper intends to exemplify Scharoun's modern functionalism through a detailed analysis of his design of Weissenhofhaus presented at Stuttgart Deutscher Werkbund Exhibition in 1927. Weissenhofhaus is often rebuked for its expressionist qualifies by famous critics such as Sigfried Giedion and Nikolaus Pevsner, but the house also suggests other possibilities within the Modern Movement in Architecture. In particular, Weissenhofhaus is chosen for its historical importance linking two world war eras in German modern architecture.

조선박람회 출품주택의 건축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본의 박람회 출품주택과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Exhibited Houses at the Choseon Exhibition(1929)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Exhibited Houses in Japan -)

  • 정순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2호
    • /
    • pp.7-25
    • /
    • 2008
  •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ree houses of Choseon Exhibition. Exposition/exhibitions were thought to be a model for the world. It shows the real status of the development, and thinking with visions at that times; therefore, exhibited house models would be a good source for what to be considered for the ideal houses of that times. Through the study, we could find out as belows. 1. The houses exhibited conserved the sitting-on-floor living style, otherwise the most proposals for house improvement suggested a chair-and-table style because of its hygienic quality and integration of the life at home and at work(school, too). 2. The spacial scheme for-family prior over for-guest was emphasized, but models at the exhibition were structured with Japanese traditional spacial program, such as Jashiki(座敷), Kyakunoma(客の間) or Tsuginoma(次の間), which were all Tatami-floored. 3. Through this exhibition, it is clarified that the architectural society in colonial Korea also tried to improve the modern housings, not only direct reception of the developed proposals. These houses was planned with the acceptance of the locality, such like Ondol, a floor heating facility which the Japanese engineer improve the efficiency. 4. Also these exhibited houses became a start to recognize a house as a product, and spurred on commercialization. As the result, we could find out that these exhibited houses accepted the modern housing proposals selectively, and that even if the exhibitions shows the advance in usual these houses were planned with the very conservative notions.

  • PDF

미국 로드아일랜드 뉴포트 맨션의 절충주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lecticism of Newport Mansions in Rhode Island)

  • 김진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7-40
    • /
    • 2009
  • 미국 뉴포트의 주택들은 20세기를 전후로 하는 시기에 당시 최상류층의 휴양용 저택들로서, 미국의 절충주의 건축을 대표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는 주택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유럽의 건축적 전통과 영향을 절충주의적 철학에 따라 자신들의 형식으로 완성한 양식상의 전개를 살펴보고자 한다. 단순히 외국의 건축으로서 보다는 전통적 건축보다 외국의 영향에 의한 근대건축 문화를 이룩한, 우리나라의 건축 양식적 문제를 상호 비교하여 살펴보는 한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