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극지 환경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특집 - 남극 기지 건설 현황 및 전망 - 혹독한 자연환경을 극복한 세종기지, 국내 건설사(史)에 한 획 그어 - (제2남극기지 건설 올 하반기 가시화)

  • Lee, Jong-Su
    • 월간 기계설비
    • /
    • s.234
    • /
    • pp.45-53
    • /
    • 2010
  • 지난 1988년 2월 남극반도 남쉐틀랜드 군도의 킹조지섬과 넬슨섬으로 둘러싸인 맥스웰만 연안에 건설된 남극세종과학기지. 우리나라는 지구상의 유일한 비오염 지역인 극지 연구를 위해 세종기지를 건설하고 연구활동을 벌이고 있다. 세종기지 건설은 현대그룹의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중공업이 수행했다. 세종기지는 과학사적 의미와 함께 혹독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고 건설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국내 건설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시설물이다. 이제 제2남극대륙기지 건설이 추진 중이다. 현재 건설 후보지 정밀 조사 중으로 정밀조사가 끝나면 건설사 선정 등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제2남극대륙기지 건설에 어떤 건설사 및 설비건설업체가 참여할지 주목된다. 한국해양연구원 극지연구소가 제공한 자료와 건설사 취재 등을 토대로 세종과학기지 건설과정을 살펴보고 제2남극대륙기지 건설계획을 전망해본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Ocean - Ice Shelf Interaction: Water Mass Circulation in the Terra Nova Bay, Antarctica (해양-빙붕 상호작용을 고려한 남극 테라노바 만에서 수괴 형성과 순환의 수치 시뮬레이션)

  • Taekyun, Kim;Emilia Kyung, Jin;Ji Sung, Na;Choon Ki, Lee;Won Sang, Lee;Jae-Hong, Moo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v.44 no.4
    • /
    • pp.269-285
    • /
    • 2022
  • The interaction between ocean and ice shelf is a critical physical process in relation to water mass transformations and ice shelf melting/freezing at the ocean-ice interface. However, it remains challenging to thoroughly understand the process due to a lack of observational data with respect to ice shelf cavities. This is the first study to simulate the variability and circulation of water mass both overlying the continental shelf and underneath an ice shelf and an ice tongue in the Terra Nova Bay (TNB), East Antarctica. To explore the properties of water mass and circulation patterns in the TNB and the corresponding effects on sub ice shelf basal melting, we explicitly incorporate the dynamic-thermodynamic processes acting on the ice shelf in the Regional Ocean Modeling System. The simulated water mass formation and circulation in the TNB region agree well with previous studies. The model results show that the TNB circulation is dominated by the geostrophic currents driven by lateral density gradients induced by the releasing of brine or freshwater at the polynya of the TNB. Meanwhile, the circulation dynamics in the cavity under the Nansen Ice shelf (NIS)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TNB. The gravity-driven bottom current induced by High Salinity Shelf Water (HSSW) formed at the TNB polynya flows towards the grounding line, and the buoyance-driven flow associated with glacial meltwater generated by the HSSW emerges from the cavity along the ice base. Both current systems compose the thermohaline overturning circulation in the NIS cavity. This study estimates the NIS basal melting rate to be 0.98 m/a, which is comparable to the previously observed melt rate. However, the melting rate shows a significant variation in space and time.

Characteristic of in-situ ocean optical data in Kongsfjorden, Svalbard during Arctic summer (August 2006) (북극 스발바드섬 콩스피오르덴만의 여름(2006년 8월) 기간 해양광학적 특성 연구)

  • Moon, Jeong-Eon;Ahn, Yu-Hwan;Yang, Chan-Su;Park, Byong-Kw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210-215
    • /
    • 2007
  • 북극 다산기지가 있는 니알슨 인근 해역인 Kongsfjorden만은 일부 해역이 해빙으로 덮혀 있는 반폐쇄적인 만으로 수심이 평균 200m 이상 된다. 이곳 북극 지방은 하절기 라도 태양의 고도가 낮아 해색위성분야의 극지활용에 대한 가능성 여부도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극 다산기지가 위치한 스발바드 군도의 니알슨 주변 해역(Kongsfjorden 해역)을 중심으로 2006년 8월 현장관측된 자료들을 유사한 시기의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현장관측된 자료들과 비교/분석하여 해양환경적 특성과 해수광학적인 특성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북극 지방에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해색위성자료의 극지활용이 가능한지를 검토하였다. 해수의 광 특성으로, 니알슨 주변 해역의 ${\alpha}^*_{ph}(440)$ 최대값은 $0.1m^2/mg$으로 한반도 주변해수의 ${\alpha}^*_{ph}(440)$ 최대값보다 약 2배정도 높게 측정되어 플랑크톤의 광 흡수효율이 중위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lpha}^*_{ss}(440)$ 값은 $0.04-0.1m^2/g$으로 동중국해와 유사하며,한반도 주변해수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것은 Kongsfjorden 해역의 부유물질(SS) 구성성분이 동중국해와 유사한 무기광물 입자로 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lpha}_{dom}(400)$ 값은 $0.08-0.25m^{-1}$로 한반도 주변해수의 ${\alpha}_{dom}(400)$이 값과 유사하고 연안해역의 ${\alpha}_{dom}(400)$ 값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 $E_d(460)$의 평균값은 Konsfjorden 해역 $40mW/cm^2/{\mu}m$, 동중국해 $120mW/cm^2/{\mu}m$, 황해남부 $110mW/cm^2/{\mu}m$, 남해연안 $100mW/cm^2/{\mu}m$, 진해만 $100mW/cm^2/{\mu}m$이었다. 이와 같은 현장관측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북극 다산기지 주변 해역의 해수광학적인 환경 특성은 용존유기물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볼 때 대양(Open Sea)의 광 특성과 유사하였다. 또한 북극지방에서 태양의 해수 입사 광량은 중위도의 약 40%정도이지만 해색위성자료의 극지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Prevention Technologi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IMO action in Arctic Ice-covered Waters (극지해역에서의 환경오염 방지 기술 및 IMO 동향)

  • Kang, Jae-Sung;Kim, Ki-Pyoung;Kang, Ho-Keun;Kim, Dae-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6a
    • /
    • pp.237-239
    • /
    • 2011
  • 최근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는 "극지를 운항하는 선박에 대한 안전기준(Polar Code)"를 제정하여 결정하기로 하였으며, 2012년까지 완료하여 법제화하기로 하였다. 이는 최근의 극해 지역의 연속적인 사고의 심각성에 대한 대비책의 일환이다. 2004년도에 알라스카 앞바다에 침몰한 Selendang Ayu 는 6600만 톤의 콩, 170만 리터의 연료유와 55,564 리터의 MDO 및 다른 오염물질을 바다에 유출하였다. 이는 주변의 동물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쳤고, 아직까지도 유출되어진 오염물질들을 완전히 처리하지 못한 상태이다(Arctic marine shipping assessment, Arctic council 2009.). 즉, 기름이 유출을 하면 방재시설이 다른 육상에서 오기 전까지는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사고 지역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며, 유빙이나 극한의 온도는 방재 작업을 더욱 힘들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극해와 같은 해역에서 기름이 유출 하였을 때에 대응하는 방법, 즉 현존하는 기계적인 복구 방식, 점화식 처리 방식 과 유처리제 방식을 소개하고, 그에 대한 국제규정 및 기술 발전 동향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 PDF

A Study of Applicability of Monitoring System through Polar Environment around the King Sejong Station, Antarctica (극지환경을 고려한 남극 세종과학기지 계측시스템 적용성에 관한 연구)

  • Park, Keunbo;Kim, Young 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2 no.2
    • /
    • pp.43-53
    • /
    • 2013
  • Environmental monitoring analysis were analyzed for the period from 1988 to 2007 near King Sejong Station. Extreme environment structure behaviors(Marine Biology Lab.) were evaluated using monitoring sensors developed commercial sensors. Also when installing the sensors ambient environment of the King Sejong Station, to analyze the measured data and the comparative behavior of the structure were analyzed. As a environmental monitoring analysis result at King Sejong Station temperature, sensors were installed to withstand about $-25.6^{\circ}C$ or less and 49.5m/s. They were needed that the height of 225.0cm or more to be installed during the installation. For several monitoring sensors used in Antarctic, temperature, snow and strong winds were very sensitive to the atmospheric environment. Quite often a camouflage(animals and humans) would make it necessary to provide housing for monitoring sensors. Therefore, protection system developed for these sensors were to protect the sensors and data logger. Protection system the newly developed, is economical, easy to install even in harsh environments.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one year, consider electrode applicability of the protection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the behavior of the structure is also predictable.

Ionospheric and Upper Atmospheric Observations in Korea (국내 우주환경 자료 보유 현황: 전리권/고층대기)

  • Lee, Changsup;Lee, Woo Kyoung;Division of Solar and Space Environment of KSSS,
    • Journal of Spa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 /
    • v.1 no.2
    • /
    • pp.199-216
    • /
    • 2021
  • In 2020, the solar and space environment division at the Korea Space Science Society surveyed the status of data archives in solar physics, magnetosphere, and ionosphere/upper atmosphere in Korea to promote broader utilization of the data and research collaboration. The survey includes ground- and satellite-based instruments and developing models by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in Korea.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reports the status of the ground-based instruments, data products in the ionosphere and upper atmosphere, and documentation of them. The ground-based instruments operated by the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and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include ionosonde, Fabry-Perot interferometer in Arctic Dasan stations, Antarctic King Sejong/Jang Bogo stations, and an all-sky camera, VHF radar in Korea. We also provide information on total electron content and scintillation observations derived from 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station networks in Korea. All data are available via the webpage, FTP, or by request. Information on ionospheric data and models is available at http://ksss.or.kr. We hope that this report will increase data accessibility and encourage the research community to engage in the establishment of a new Space Science Data Ecosystem, which supports archiving, searching, analyzing, and sharing the data with diverse communities, including educators, industries, and the public as wells as the research scientist.

과학의 불가사의-풀리지 않는 수수께끼6-다른행성에도 생명체가 있을까?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6 s.349
    • /
    • pp.32-34
    • /
    • 1998
  • 지금까지의 탐사결과 지구를 제외한 다른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찾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미국화성탐사선 패스파인더가 보내온 자료에선 화성의 지질환경이 지구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미생물 같은 생명체의 존재가능성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또 지구상에서 화산구나 온천, 극지 등 가혹한 환경에서도 미생물들이 번창하고 있는 것이 발견돼 이런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