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귤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7초

귤응애에 대한 팔라시스이리응애의 포식특성 (Characteristics of Predation of Neoseiulus fallacis (Acarina: Phytoseiidae) on Panonychus citri (Acari: Tetranychidae))

  • 김동환;김상수;김광식;현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5-152
    • /
    • 2006
  • 감귤의 중요 해충인 귤응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목적으로 귤응애에 대한 팔라시스이리응애의 포식특성을 조사하였다. 25$^{\circ}C$ 항온조건에서 귤응애의 알, 유충, 전약충, 후약충에 대한 팔라시스이리응애 암성충의 1일간 포식량은 각각 20.1, 26.1, 18.2, 7.4개체로 유충에 대한 포식량이 가장 많았다. 온도에 따른 포식량 조사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포식량이 증가하였으며, 이 때 팔라시스이리응애가 귤응애 알을 포식한 후의 출산능력(팔라시스이리응애 출산 알수/포식된 귤응애 알수), 즉 전환율은 10$^{\circ}C$를 제외하고는 0.09로 일정하였다. 잎 절편의 지름을 각각 20, 40, 60 mm로 하여 귤응애 알을 먹이로 공급했을 때 1일간 포식량은 각각 21.1, 17.3, 16.7개로 잎 면적이 증가할수록 포식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팔라시스이리응애는 귤응애 알, 유충, 약충을 먹이로 공급하였을 때 먹이밀도가 증가할수록 포식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그 증가율은 점차 감소하는 Holling의 기능반응 H형의 특성을 보였다. 이상의 시험결과 팔라시스이리응애는 귤응애의 생물적 방제 인자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귤응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Amblyseius fallacis의 방사수준 (Release Level of Amblyseius fallacis Garman (Acarina: Phytoseiidae) for Biological Control of Panonychus citri McGregor (Acari: Tetranychidae) on Citrus)

  • 김동환;김광식;현재욱;임한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3-240
    • /
    • 2003
  • 항온$.$항습 조건에서 Amblyseius fallacis의 접종밀도별 귤응애에 대한 밀도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16 : 1(Panonychus citri :A.fallacis) 이상의 비율로 접종한 경우에 귤응애의 밀도가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그리고 귤응애의 초기 밀도가 잎 당 0.5마리와 1마리일 때 20:1로 1-2회씩 방사한 결과, 모든 처리에서 A.fallacis의 밀도는 다소 높게 형성되었으나 귤응애에 대한 뚜렷한 억제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정상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비닐하우스의 감귤나무에서 귤응애가 잎 당 0.1-0.2마리 정도일 때 10:1로 2회 방사한 경우에는 A.fallacis의 밀도도 높게 형성되었으며, 유기합성농약을 살포한 처리구와 동일할 정도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이리응애가 서식하는 곳은 수관 내부이므로 수관 내부와 외부의 환경차이를 조사한 결과,주간에는 수관내부가 외부에 비해 기온은 낮고, 상대습도는 높기 때문에 A.fallacis의 서식에 다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온은 7.2$^{\circ}C$ 이상, 상대습도는 18.5% 이상까지도 차이가 있었다.

유자에서 귤응애의 천적종류와 주요종의 발생소장 (Natural Enemies of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 McGREGOR, and Seasonal Occurrence of Major Predators on Yuzu tree (Citrus Junos))

  • 김규진;최덕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3-19
    • /
    • 2000
  • 유자과원에 발생하는 주요해충인 귤응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해 천적의 종류 및 주요 포식성 천적의 시기별 발생량을 '96년부터 '98년까지 3년동안 전남 고흥지역에서 조사하였다. 귤응애의 천적으로는 Oligota kashimirica benifica, 깨알반날개(O. yasumatsui), 꼬마무당벌래(Stethorus punctillum), 칠성풀잠자리붙이 (Chrysopa pallens), 꼬마남생이무당벌레(Propylea japonica), 애꽃노린재(Orius sauteri), 응애총채벌레(Scolothrips takahashii),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그리고 관총채벌레류 1종으로 총 5목 7과 9종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우점천적은 깨알반날개류와 꼬마 무당벌레였다. 유자과원에서 깨알반날개류는 5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발생하며 년 4~5세대를 경과하였고, 4세대인 9월 상순에 연중 최대발생량을 보였다. 꼬마무당별레는 5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 발생하며 년 3세대 경과하였고 6월 하순~7월 중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먹이인 귤응애와 포식자인 천적의 시기별 밀도변동을 볼 때 9월까지는 귤응애의 발생상황에 따라서 포식자의 발생밀도도 증감하는 시기적 일치 경향을 보였으나, 10월 이후 귤응애의 밀도가 증가하는 반면에 포식자의 밀도는 급격히 감소하여 불일치 현상이 나타났다.

  • PDF

조경수의 병해충 - 귤을 가해하는 해충 -

  • 최광식
    • 조경수
    • /
    • 통권107호
    • /
    • pp.18-20
    • /
    • 2008
  • 일본이 원산지이며 제주도에서는 과수로 그리고 내륙의 도심지에서는 실내 정원수, 분재 등으로 인기가 매우 높다. 6월에 흰색의 꽃을 피우며 길이는 2cm로 짙은 향기가 있다. 9월에 구형의 열매가 녹색을 띠며 10월에는 황색의 열매가 우리의 마음을 안정하게 해준다. 귤은 꽃, 설익은 녹색 열매, 질 익은 황색 열매 모두가 짙은 향기를 가지고 있어 인기가 높다. 특히 늦은 겨울에도 열매를 볼 수 있어 적막한 도시민의 정서에 도움을 주는 과수이다. 이러한 귤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깍지벌레류와 진딧물류의 피해가 심하며 이들에 대한 생태 및 방제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온주밀감에서 귤응애의 이항표본조사법 개발 (Binomial Sampling Plans for the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Acari: Tetranychidae) on Satsuma Mandarin Groves in Jeju)

  • 송정흡;이창훈;강상훈;김동환;강시용;류기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97-202
    • /
    • 2001
  • 제주지역의 온주밀감 과수원에서 귤응애(Panonychus citri (McGregor)) 밀도에 대해 잎당 응애수를 2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이항표본조사법은 잎당 귤응애의 밀도와(m)와 귤응애가 T마리보다 많이 존재하는 잎의 비율($P_{T}$)과의 관례를 기본으로 하며, T는 경험적 이항분포모형 [$ln(m)-{\alpha}+{\beta}ln(-ln(1-P_{T}))$]에서의 tally threshold로서 본 연구에서는 1, 3, 5, 7을 사용하였다. 표본단위 수의 증가는 T와 관계없이 이항분포 모형의 정확도에 영향이 거의 없었던 반면에 T는 값이 증가함에 따라 표본수를 증가시켜도 정확도가 낮아졌다. 이항분포모형의 정확도는 T=1일 때 가장 높았으며, 최적의 tally threshold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항표본조사의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독립된 표본을 추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온주밀감원에서 귤응애 밀도추정에는 T=1인 경우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귤응애 밀도를 분류하기 위한 이항표본조사과정을 개발하여 action threshold가 귤응애 밀도가 잎당 2마리일 때의 이항표본조사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 PDF

성페로몬 트랩에 유인된 수컷 성충에 의한 귤애가루깍지벌레의 연중 발생특성 (Seasonal Phenology of the Cryptic Mealybug, Pseudococcus cryptus (Homoptera: Pseudococcidae) Based on Attraction of Adult Males to a Sex Pheromone Trap)

  • 송정흡;최경산;홍순영;이신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07-213
    • /
    • 2012
  • 최근 들어 하우스재배 감귤을 중심으로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귤애가루깍지벌레에 대해 효율적인 발생예찰과 함께 방제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합성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시기별 발생특성을 조사하였다. 귤애가루깍지벌레의 수컷 성충은 합성 성페로몬뿐만 아니라 색에도 반응하였다. 성페로몬의 농도는 5.0 mg까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인력이 높았다. 귤애가루깍지벌레 수컷 성충은 연 4회 발생되고 있었으며, 월동 후 수컷 성충이 처음 발생되기 시작하는 시기는 4월 중하순이었다. 수컷 성충발생이 가장 많은 시기는 제 1세대 발생기인 7월 상중순이었다. 성페로몬트 랩에 유인된 귤애가루깍지벌레 수컷 성충은 한 세대 내에서 3회의 발생성기가 나타났으며, 이는 귤애가루깍지벌레가 1~3령 약충으로 월동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트랩에 유인된 수컷 성충의 밀도와 나무의 가지당 평균밀도와는 높은 정(+)의 상관을 갖고 있었다. 수컷 성충의 최대 유인시기를 이용하여 1령 약충 발생 시기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그 적산온도는 산란전 기간과 비슷한 350DD이었다.

농산물 수출입 검역시 병해충 방제를 위한 전자선 조사기술의 응용(사례연구: 귤가루깍지벌레와 복숭아혹진딧물) (Application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for Insect Pest Control in Agricultural Products Quarantine [Case study: Myzus persicae and Planococcus citri (Risso)])

  • 이경애;박민구;조재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2호
    • /
    • pp.141-144
    • /
    • 2014
  • 국가간 농산물의 수출입 검역시 새로운 기술로 인정받고 있는 전자빔 조사시 귤가루깍지벌레와 복숭아혹진딧물의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저선량의 전자선 조사(30, 60, 90 및 120 Gy)는 복숭아혹진딧물과 귤가루깍지벌레의 직접적인 방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발육 및 생식 억제에 크게 영향을 끼쳐 해충에 대한 불활성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같은 결과는 국가간 농산물 수출입 검역현장에서 전자선 조사기술이 메틸브로마이드와 같은 화학적 병해충 방제를 대체할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해 주는 결과이다.

온주밀감에서 률응애의 공간분포분석 및 표본추출법 (Dispersion Indices and Sequential Sampling Plan for the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 (McGregor) (Acari: Tetranychidae) on Satsuma Mandarin on Jeju Island)

  • 송정흡;이창훈;강상훈;김동환;강시용;류기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5-109
    • /
    • 2001
  • 귤응애의 예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제주지역의 온주밀감원에서 귤응애 분산형태에 대해 2개년(1999~2000년)에 걸쳐 잎 표본에 대하여 각 조사일에 평균밀도를 조사하였다. Taylor's power law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산지수를 비교하였으며, 잎 표본 조사에서는 일반적으로 Taylor's power law가 Iwao's patchiness regression보다 평균-분산 관계를 더 잘 나타내었다. Taylor's power law의 기울기와 절편은 조사한 포장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여기에서 얻어진 상수값을 이용하여 잎 표본 조사에 의한 귤응애 약 .성충에 대한 고정정확도수준에서의 표본조사법을 개발하였다. 이 조사법에 대해 resampling 기법을 이용하여 독립된 4개의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실질 고정정확도(D)값이 요구되는 D값보다 항상 낮았으며, 나무당 귤응애 밀도가 8마리 이상에서 필요한 조사 나무수는 18주보다 작았다.

  • PDF

수확 후 과실류에 발생하는 진균독소의 탐색 및 방제 II. 사과, 배, 귤, 포도의 저장중에 발생하는 Penicillium 독소 검출과 방제 (Survey and Control of the Occurrence of Mycotoxins from Post-harvest Fruits. II. Detection and Control of the Occurrence of Penicillium Mycotoxins Producing Pathogen in Storaged Fruits (Apple, Pear, Citrus and Grape))

  • 백수봉;정일민;유승헌;김은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9-54
    • /
    • 2000
  • 1. 저장 중 Penicillium에 이병된 사과, 배, 귤, 포도를 TLC 및 HPLC로 주요독소들을 검정한 결과 patulin만 검출되었고, citrinin은 검출되지 않았다. patulin 독소는 사과에서 $5.68\;{\mu}46.81\;{\mu}g/g$, 배에서 $3.48{\sim}84.71\;{\mu}g/g$, 귤에서 $0.16{\sim}0.27\;{\mu}g/g$검출되었으나 포도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2. 과실류 Penicillium 저장 중 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사과, 배, 귤에 대하여 sodium hypochloride gas처리나 열처리$(37^{\circ}C)$에 의하여 방제효과가 켰으며 특히 열처리$(37^{\circ}C)$는 100%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처리에 의한 장해를 보면 열처리$(37^{\circ}C)$에서는 장해가 발생하지 많았으며 sodium hypochloride gas 처리에는 배, 귤에서 장해가 나타났으나 사과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 PDF

감귤해충의 종합방제에 관한 연구 I. 귤응애의 생태와 천적에 관하여 (Studies on the Integrated Control of Citrus Pests I. Bionomics of Citrus Red Mite and Natural Enemies)

  • 김홍선;문덕영;;장영덕;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13
    • /
    • 1978
  • 감귤해충 종합방제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제주도 서귀포에서 1973-1976년까지 4년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귤응애는 7철 중순에서 8철 중순 사이에 11회의 큰 peak를 나타냈다. 2. 한편 관행살포구에서는 7,8월뿐 아니라 9-11월에도 높은 밀도를 나타냈다. 3. 귤응애의 천적으로 Oligota yasumatsui K., Anysits baccarum L., Hemerobiid sp. Semidalis albate E., Orius sp., Agistemus terminalis Q., 무당벌레류 3종 포식응애 1종등 10종이 발견되었다. 4. 귤응애의 년도별 발생경향을 보며 무살포구에서는 매년 감소하는 경향이고 관행살포구에서는 계속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살균제로서 석회볼드액과 동수화제 처리구는 귤응애밀도가 높았으나 항생제인 Streptomycin은 낮은밀도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