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균

Search Result 19,192,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장염 Vibrio 균의 월동에 관한 연구

  • 장동석;김영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8.10a
    • /
    • pp.207.4-207
    • /
    • 1978
  • 여름철에 빈번히 발생하는 세균성 식중독의 주요 원인세균의 하나인 장염 Vibrio 균에 대한 연구 보고는 국내외적으로 많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수온이 $10^{\circ}C$ 이하인 겨울철에는 일반적으로 검출되지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균의 활동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 용호만 일대에서 평균기온이 $0^{\circ}C$ 부근인 1978년 1월과 2월에 해수, 저질패류를 채취하여 시험한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1) 해수 500mι씩을 membrane filter paper로 처리하여 증균배양한 결과 10회중 3회에서 장염 Vibrio 균이 검출되었다. 2) 저질의 경우는 8회중 7회, 패류의 경우에서는 10회중 2회에서 이 균이 분리되었다. 3) 결론적으로 장염 Vibrio 균은 연안의 저질에서 활동하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여름철이 아닌 겨울철에도 생선어패류에 있어서는 장염 Vibrio 균에 의한 식중독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음을 알수 있었다.

  • PDF

S-R Vari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Mastitic Cows, Diarrheal Pigs and Diarrheal Chickens (젖소유방염, 돼지 및 닭의 설사중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S-R 변이와 항균 요법제의 감수성)

  • 정희곤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23 no.3
    • /
    • pp.50-55
    • /
    • 1997
  •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약 4개년 동안 전남 지역에서 사육하고 있는 가축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유방염으로 의심이 되는 젖소 970두 중에서 180두(18.6%)가 유방염에 이환되었으며, 돼지 2,400두 중에서 84두(3.5%)가 설사증에 이환되었고, 닭 1,010수중에서 9수(0.9%)가 설사증에 이환되었다. 대장균의 분리율을 조사한결과, 유방염에 이환되어 있는 젖소 180두중 37두(20.6%)에서 대장균이 분리되었으며, 설사증에 이환되어 있는 돼지 84두중 51두(60.7%)에서 대장균이 분리되었고, 설사증에 이환되어 있는 닭 9수중 5수(55.6%)에서 대장균이 분리되었다. Acriflavine을 이용하여 대장균의 S-R변이를 조사한 결과, S-R변이는 mercuric chloride, cysteine, caffeine, glucose, nicotine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중 mercuric chloride가 가장 감수성이 높았다. 대장균의 항균요법제에 대한 감수성은 naxcel, linsmycin, cephalexin, gentamycin등이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는데, S-R변이 후에는 감수성이 일반적으로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 PDF

LGG와 장건강: LGG의 섭취가 호흡기감염과 장질환에 미치는 효과

  • Korpela, Riitta
    • Food Science and Industry
    • /
    • v.44 no.1
    • /
    • pp.59-62
    • /
    • 2011
  • 전세계적으로 감염성 질환은 주요한 건강 문제이다. 장내 미생물 균총은 해로운 미생물로부터 숙주를 보호할 뿐 아니라 면역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점이 바로 프로바이오틱스 즉, 건강에 도움을 주며 살아있는 미생물로 정의되는 기본 개념을 탄생시켰다. Lactobacillus rhamnosus GG(이하 LGG) 균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연구된 프로바이오틱스 균종 중 하나로서, 확인된 효능의 대부분은 주로 위장관 질환에 관한 것이다. 몇몇 연구를 통해 급성 수양성 설사의 치료, 항생제 관련 증상의 예방, 그리고 여행자 설사에 대한 LGG균의 효과가 밝혀졌다. LGG균은 소아에서 호흡기 감염의 발생을 줄이거나 그 합병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많은 연구를 통해 LGG 균, LC705, 그리고 프로피오니박테리움 PJS균을 모두 포함한 복합 유산균 제제인 $LGG^{(R)}$ Extra가 위장관 불편감을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GG균의 사용은 감염성 질병의 관리와 위장관 건강을 얻는데 있어 안전하고 쉬운 방법이라 하겠다.

암 예방을 위한 유산균의 효과

  • Reddy Bandaru S.
    • 우유
    • /
    • s.54 fall
    • /
    • pp.20-30
    • /
    • 1993
  • 한국야쿠르트유업은 지난 8월27일 롯데호텔에서 ‘유산균과 건강’이란 주제로 국제학술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암예방을 위한 유산균의 효과(Bandaru S. Reddy 미국 보건연구재단 영양 · 암연구부장), 비피더스균을 이용한 유산균제품의 개발(Denis Roy 캐나다 농업연구소 식품연구개발센터 낙농부장), 유산균의 항암작용에 대한 실험연구(Wilhelm H · Holzapfel 독일 국립 영양연구센터 위생 및 독성연구소장) 등의 주제발표가 있었다. 본지는 이중 ‘암예방을 위한 유산균의 효과’를 전재한다.

  • PDF

유산균 이용의 최근 동향

  • 이정치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7 no.3
    • /
    • pp.36-40
    • /
    • 1991
  • 유산균은 1858년 포도주 산패의 원인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Pasteur에 의하여 그 정체가 처음 밝혀졌지만 인류에 의한 이용은 고대의 농경목축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유산 발효를 이용한 농축산물의 보존, 가공법의 발전은 인류의 식생활 개선에 큰 변혁을 가져왔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산균은 전통적인 발효식품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기능성식품, 장내에서 갖는 우수한 약리 작용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 유산균 발효산물을 이용한 새로운 화장품의 개발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그 이용성이 확대되고 있다.

  • PDF

연구여적 - '송어 김치먹이기'로 양어 혁명

  • Jeong, Ga-Ji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10 s.377
    • /
    • pp.88-91
    • /
    • 2000
  • 백산연구를 통해 송어양식장을 자주 찾던 나는 양식장 주인이 일본제 분말을 송어에게 먹이는 광경을 보았다. 그것은 바로 일본에서 만든 유산균이다. "우리가 먹는 김치에도 훌륭한 유산균이 있는데..."라고 생각한 나는 김치에서 세가지 유산균을 분리해 이를 배양해서 양식장에 보냈다. 내가 보낸 유산균을 먹은 송어들은 건강하게 잔병도 없이 잘 자란다는 것이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군청과 손잡고 자동화 김치공장도 세우게 되었다.

  • PDF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n Different Kimchi (김치 종류에 따른 유산균의 생물학적 및 기능적 특성)

  • Ko, Kang Hee;Liu, Wenli;Lee, Hyun Hee;Yin, Jie;Kim, In 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2 no.1
    • /
    • pp.89-95
    • /
    • 2013
  •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were investigated in mustard stem/leaf kimchi (MK), cabbage kimchi (CK), young radish kimchi (YRK), and cubed radish kimchi (CRK). LAB of young radish kimchi were mainly composed of bacilli in contrast to the other kimchi. 89.2% LAB isolated from all kimchi harbored plasmids. However, LAB had an average of $4.1{\pm}0.5$ plasmid bands in YRK, more than MK, CK, and CRK. Exopolysaccharides were produced by 10.9~11.1% of LAB, and were especially by LAB isolated from radish kimchi. A significant percentage of LAB (69.5%) ha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ne sensitive strain or more. LAB from CK, YRK and CRK ha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Bacillus sp.,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Typhimurium, while the LAB from MK had activities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higher than those from the other kimchi. In YRK and CRK, acid-tolerant LAB were twice as prevalent as those in MK and CK. Bile-tolerant LAB isolated from CRK were more prevalent than other kimchi. When $10^8$ CFU of LAB were added to Caco-2 cells, 12.1% of LAB isolated from all kimchi showed similar adherent activity to Lactobacillus rhamnosus GG. LAB of MK particularly adhered to Caco-2 cells, 2.0~4.1 fold higher than LAB in the other kimchi. From these results,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B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kimchi and LAB existing in kimchi were limited to their respective species.

Efficient Treatment Methods for Reducing Escherichia coli Populations in Commercially-Available Red Pepper Powder in Korea (국내 유통 고춧가루의 병원성 대장균 오염 및 대장균 저감화 방법)

  • Song, Young-Jin;Park, Se-Won;Chun, Se-Chul;Choi, Mi-Jung;Chung, Koo-Chun;Lee, Si-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1 no.6
    • /
    • pp.875-880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ontamination of pathogenic Escherichia (E.) coli in 50 types of red pepper powders collected domestically. Pathogenic E. coli was confirmed using real-time PCR to confirm the 4 types of EAEC, EPEC, EHEC and ETEC. One sample out of 50 was contaminated with pathogenic E. coli. The type of pathogenic E. coli detected in the sample was EAEC.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lcohol treatment on the reduction of E. coli populations in red pepper powder. The amount of E. coli in the control was $1.2{\times}10^6$ cfu/mL. The amount of E. coli in 10 minutes immersion treatment with 10% alcohol was $1.1{\times}10^6$ cfu/mL. In samples treated with over 20% alcohol, E. coli was not detected. This showed that 10 minutes of immersion in over 20% alcohol might be effective to reduce E. coli.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UV irradiation on E. coli reduction. The number of E. coli in the control group was $5.0{\times}10^5$ cfu/mL. However, the number of E. coli in 45 min of the UV irradiated sample decreased to $1.0{\times}10^3$ cfu/mL, by $10^2$ cfu/mL. In contrast, E. coli was not detected in an over 60 min UV irradiated sample in $10^{-2}dilution$. This study showed that over 20% alcohol treatment and UV irradiation for 60 min was effective to control E. coli in red pepper powder.

Relationship between the Deposition of Tear Constituents and the Adherence of Candida albicans according to Soft Contact Lens Materials and Pigmentation (소프트콘택트렌즈 재질과 착색에 따른 눈물성분 침착과 칸디다균 흡착의 상관관계)

  • Park, So Hyun;Kim, So Ra;Park, Mijung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21 no.3
    • /
    • pp.215-225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how the characteristics of soft contact lens materials and pigmentation affect the adherence of C. albicans on soft contact lenses pre-deposited with tear constituents. Methods: The adherent number of C. albicans on clear soft contact lenses (hereinafter clear lenses) and circle soft contact lenses (hereinafter circle lenses) made of etafilcon A, hilaiflcon B and nelfilcon A, respectively,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deposition of artificial tear. Also, bacteria adherence on lenses were observ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sults: Adherence of C. albica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ens materials. The amount of adsorp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clear lenses and circle lenses made of etafilcon A however, the number of bacteria absorption was bigger in hilafilcon B and nelfilcon A lenses. More absorption of C. albicans was found in the non-pigmented central area compared the pigmented area, and non-pigmented peripheral area has more bacterial absorption than non-pigmented central area. The number of C. albicans decreased in the case that tear protein was pre-deposited. The maintenance of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C. albicans was different according to lens materials thus, etafilcon A has the longest period of its maintenance. Conclusions: It wa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C. albican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ens materials, pigmentation or non-pigmentation, the pigmented area of soft contact lenses.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management method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 albicans.

Microflora of Daekwanryung Highland soil (대관령(大關嶺) 고령지(高嶺地) 토양(土壤)의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 조사(調査))

  • Yun, Sei-Young;Kim, Jeong-Je;Yang, Jae-Wei;Jung, Young-Sang;Choi, Joong-Da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0 no.1
    • /
    • pp.94-98
    • /
    • 199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he soil microflora of Daekwanryung highlands of Kwangwon Province. It was found that soil microorganisms each as Bacteria, Actinomycetes, Fungi, Pseudomonas spp. and Erwnia sp. were mostly in the top 0-15 cm profile. It also was found that soil microflora population was affected in many ways by kind of cropping plant. The number of Erwinia sp. that is one of the soil born plant pathogenic bacteria was more abundant in potato field than chinese cabbage soil. It was also studied difference of mountain and grassland soils from cropping soi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