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균근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168초

18S rDNA를 이용한 인삼(Panax ginseng)의 내생균근 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Colonizing Panax ginseng Using 18S rDNA Sequence)

  • 어주경;김동훈;정현숙;엄안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182-186
    • /
    • 2004
  • 아바스큘라 내생균근(arbuscular mycorrhizae, AM) 균은 대부분의 육상식물 뿌리와 공생하며,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균이다. 인삼은 다년생 식물로서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약재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8개 지역에서 인삼을 채집하여 AM 균을 염색을 통하여 형태적으로 관찰하고,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뿌리내에 공생하는 다양한 AM 균을 확인하였다. 인삼의 뿌리에 감염되어 있는 AM 균을 염색하여 형태적으로 관찰한 결과 감염률이 낮고 흐리게 염색되었다. 또한 균사와 vesicle 이 발견되었고 이들은 Arum type 으로 판단되지만 arbuscule을 관찰하지 못했기 때문에 Arum-type으로 단정하기는 어려웠다. 식물 내에 공생하는 AM균들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하여 채집된 인삼의 뿌리에서 내생균근 균의 DNA를 AM균에 특이적인 18s rDNA primer를 이용한 nested PCR을 수행하여 AM 균의 18S rDNA중 일부를 확보하였다. 증폭된 DNA는 클로닝을 통해서 개별 내생균근 균 종의 염기서열들로 분리하였고, 이들은 AluI, HinfI과 같은 제한 효소를 사용하여 RELP하였다. RELP 패턴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각 그룹에서 1개씩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염기서열은 기존의 서열과의 유사성과 계통 관계의 분석을 통하여 모두 AM균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다음 2개의 종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Paraglomus brasilianum, Glomus spurcum이 중 Paraglomus에 속하는 종인 P. brasil-ianum. 이 인삼의 뿌리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어 이들 균과 인삼과의 특이적 관계에 관하여 추측할 수 있었고, G. spurcum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된 염기서열들이 계통도 상에서 특이한 분지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분지에 대해서는 확충된 염기서열들과 비교 분석과 같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재배방식이 상이한 포도 재배지 토양의 Arbuscular균근균 포자밀도와 감염특성 (Colonization Characteristics and Den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in the Different Cultivated Grape Soils)

  • 손보균;조주식;리우양팽;이도진;김홍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76-481
    • /
    • 2007
  • 친환경 재배지 토양과 관행토양간 토양화학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토양 유효인산 함량은 친환경 재배지 토양이 관행 재배지 토양과 비교하여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토양 관리방법에 따른 균근균 포자밀도는 친환경 재배지 토양이 건토 30 g 당 140여개의 포자밀도를 나타낸 반면 관행 재배지 토양은 60여개 내외의 포자밀도를 보였다. 각 토양 화학성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pH, EC, OM, $Av.P_2O_5$, K Ca+Mg), CEC에 대한 관행재배지 토양의 균근균 포자밀도는 각각 $-0.48^*$, -0.05, $0.48^*$, -0.12, -0.13, 0.31의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반면, 친환경 재배지 토양에 대한 균근균 포자밀도는 각각 $-0.68^*$, $0.69^*$, $0.96^{**}$, $0.75^*$, $0.63^*$, $0.92^{**}$의 상관계수를 보여 모든 무기성분이 유의성을 보였다. 뿌리의 균 조직은 주로 내부균사가 많았으며, 수지상체와 낭상체는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지역별로는 친환경 재배관리를 한 순천과 천안에서 다소 높은 수준의 감염정도를 나타냈다.

포트배양에 의해 증식된 Arbuscular 내생균근 균의 한국 미기록종 기재 (Descriptions of Some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Produced under Artificial Conditions and Collected in Korea)

  • 이상선;엄안흠;이운학;김명곤;김성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5-93
    • /
    • 1993
  • 우리나라 9개 지역의 81개 토양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각각의 토양은 Arbuscular균근 균의 증식을 위한 포트배양의 접종원으로 사용되었고 5속 22종의 AM균이 배양되었다. 이들 중에서 2속 5종은 한국미기록종으로 기재되었다 ; A. morrowiae, A. rugosa, A. longula, Gl. fecundinatum, Gl. formosarum. 또한 Glomu속의 3종은 동정되지 못하였으며, 잘 못 기재된 Glomus clarum을 재기재하였다.

  • PDF

식물 근권토양에서 분리한 수지상균근균 (Notes on Some Unrecorded Spec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Collected from Rhizospheres of Plants in Korea)

  • 이은화;이정윤;어주경;가강현;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6-31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목본식물의 근권에서 수지상균 근균을 분리하여 배양하였다. 형태 및 18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총 4개 속 5개 종의 수지상균근균을 동정하였으며 이들 균은 현재까지 국내미기록종이다; Acaulospora cavernata, Claroideoglomus luteum, Diversispora aurantium, D. trimurales, Rhizophagus irregularis. 각 종의 형태적 특징 및 계통관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지상균 근균의 다양성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포 습지에 분포하는 수지상균근균 포자의 다양성 (Spore Diver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Upo Wetland)

  • 고강문;박혁;가강현;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9-27
    • /
    • 2019
  • 우포 습지에 서식하는 식물의 근권 토양에서 수지상균근균(AMF) 포자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포자는 형태적 특성과 18S rDNA 염기서열의 분자적 분석을 이용해 동정하였다. 그 결과 6속 9종의 AMF 포자가 분리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종 다양성 지수를 계산하여 분석한 결과 습지에서 AMF 포자의 종 다양성은 식물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국내 미기록종 1종을 확인하였으며, 확인된 종은 Diversispora epigaea이다. 미기록종 AMF 포자의 형태적 특성 및 분자적 분석의 결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외생균근 트러플 생산의 세계적 현황 (International Situation of Ectomycorrhizae Truffle spp. Production)

  • 장현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8권1호
    • /
    • pp.55-62
    • /
    • 2006
  • Tuber melanosporum(Perigord black truffle)와 T. aestivum(Burgundy truffle) 등 유럽의 트러플은 아주 고귀한 식품이며 세계적으로 kg당 수백 달러에 팔리고 있다. 이들 지하경 버섯은 미남중부의 산림과 공생하면서 공익을 끼친다. Tuber melanosporum(Perigord black truffle)와 T. aestivum(Burgundy truffle)은 뉴질랜드와 미국의 혼합기술결과로 제한된 범위에서 재배되어 왔다. 튜버종은 상호적으로 백색과 상록 참나무류와 헤즐럿의 기주체의 뿌리에서 외생균근으로 자란다. Tuber melanosporum(Perigord black truffle)와 T. aestivum(Burgundy truffle)은 미남중부 지역에서 환경적인 필요조건을 가지고 있다. T. melanosporum은 재배에 있어서 기후적 토양적 조건이 더욱 인위적인 조치를 많이 취하여 하므로 훨씬 고가이다.

콩에 대한 근류균과 균근균의 혼합 접종효과 (Dual Inoculation Response of Soybean with Rhizobium And Mycorrhiza)

  • 강위금;박향미;이재생;고지연;이용환;전원태;김민태;좌재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25-331
    • /
    • 2012
  • 콩재배시 질소와 인산질 양분의 공급원으로서 근류균과 균근균의 접종효과를 질석충진 포트와 포장토양에서 검토하였다. 영남지역 32개 밭토양에서 포자발아력이 우수한 균근균 Acaulospora sp., Gigaspora sp., Glomus sp. 3종을 분리하여 각각의 포자 10개를 질석으로 충진한 포트에 $1{\times}10^8$ cells의 근류균 Bradyrhizobium japonicum YCK 213과 함께 다장콩과 은하콩에 접종했을 때 콩의 착협기 지상부 건물중과 뿌리혹무게는 다장콩의 Glomus sp. 접종구에서만 유의적인 ($P{\leqq}0.05$) 증가를 보였다. 이 Glomus sp.를 pH 5.2, 유효인산 464 mg $kg^{-1}$, 토착 B. japonicum $1{\times}10^3$ cells, 그리고 균근균 포자가 $10{\pm}0.2$개 분포하는 적황색토에서 인산과 칼리만 시용하고 질소를 결재한 상태로 $4.8{\times}10^6$ cells의 B. japonicum YCK 213과 10개의 Glomus 포자를 다장콩 2립에 접종한 결과, 콩의 수량은 질소 3 - 인산 ($P_2O_5$) 3 - 칼리 ($K_2O$) 3.4 kg $10a^{-1}$의 관행시비구(275.2 kg $10a^{-1}$)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절대수량으로 볼 때 근류균 단독접종구는 2.4%, 근류균과 균근균 혼합접종구에서는 3.9% 증가되었다.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모래밭버섯과 비단그물버섯 균근균(菌根菌)으로 접종(接種)한 리기테다소나무 묘목(苗木)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Growth of Pinus rigida × taeda Seedlings Inoculated with Ectomycorrhizal Fungi, Pisolithus tinctorius and Suillus luteus)

  • 고민규;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4호
    • /
    • pp.453-459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산성우(酸性雨) 수목(樹木)의 생장(生長)과 균근(菌根)의 형성(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그리고 균근형성(菌根形成)이 기주식물(寄主植物)의 산성우(酸性雨)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수행(遂行)하였다. 리기테다소나무의 종자(種子)를 토양소독(土壤消毒)한 화분(花盆)에 파종(播種)하고, 모래밭버섯균(Pt) 비단그물버섯균(Sl)의 균계(菌系)로 접종(接種)한 후. pH 3.0, 4.5, 6.4의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황산(黃酸)과 실산(室酸)의 3:1 교석(橋釋))로 관수(灌水)하면서 5개월간(個月間) 야외(野外)에서 생육(生育)시켜서 생장량(生長量), 균근형성(菌根形成) 및 엽피해율(葉被率) 등을 조사(調査)하였다. Pt균(菌)을 화분전체(花盆全體)에 혼합(混合)시켜 접종(接種)한 경우(境遇), 묘목(苗木)의 묘고생장(苗高生長)이 접종(接種)하지 않은 비교구(比較區)보다 45-90% 증가(增加)하였으며, Pt균(菌)을 band 형태(形態)로 토양(土壤)에 섞어 접종(接種)한 경우(境遇)에는 효과(效果)가 감소(減少)하였다. pH 4.5 산성우(酸性雨)를 사질토양(砂質土壤)에 처리(處理)한 경우(境遇), 묘고생장(苗高生長)을 10-55% 촉진(促進)시킨 반면(反面)에, pH 3.0 산성우(酸性雨)는 묘고생장(苗高生長)에 큰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 pH 4.5 처리(處理)는 T/R율(率) 증가(增加)시키고, pH 3.0은 T/R율(率)을 감소(減少)시켰다.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는 균근형성율(菌根形成率)에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으며, Pt균(菌) 접종(接種)은 pH 3.0과 4.5의 산성우(酸性雨)에 의(依)한 엽피해율(葉被害率)을 28-58% 감소(減少)시켰다. Sl균(菌)도 묘고생장(苗高生長)을 촉진(促進)시키고 엽피해율(葉被害率)을 감소(減少)시켰으나, 그 효과(效果)는 Pt균(菌)보다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