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규회석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2초

추낙답(秋落畓) 토양(土壤)에서 생육(生育)한 수도(水滔)에 대(對)한 규회석(珪灰石)의 효과 (The Effect of Wollastonite on Rice Plant Grown on an Akiochi Soil)

  • 박영대;김영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1-71
    • /
    • 1968
  • 1. 추낙답토양(秋落畓土壤)에 생육(生育)한 수도(水稻)는 엽(葉)이 아래로 늘어지나 규산물질(珪酸物質)(규산가리(珪酸加里),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및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으로 수도(水稻)의 엽(葉)은 현저해 직립(直立)되었다. 2. 정조중(精租重)은 규산물질(珪酸物質)의 시용(施用)으로 증가(增加)하며 규회석(珪灰石)의 비효는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보다 못하지 않았다. 3. 규회석(珪灰石)의 비효는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하는 것이 좋으며 질소(窒素)의 증시효과는 규회석(珪灰石)의 증시(增施)에 의(依)하여 현저하다. 4. 수도(水稻)의 규산함량(珪酸含量)은 규산물질(珪酸物質)의 시용(施用)으로 증가(增加)하며 규산물질중(珪酸物質中)에서도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이 수도(水稻)의 규산함량(珪酸含量)을 가장 많이 증가(增加)시켰다. 수도(水稻)의 규산함량(珪酸含量)은 규회석(珪灰石)을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하는 것이 증가(增加)하며 또 규회석(珪灰石)의 시용량(施用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증가(增加)하였다. 한편 수도(水稻)의 철(鐵) 및 질소함량(窒素含量)은 규산물질(珪酸物質)의 시용(施用)으로 감소(減少)되었다. 5. 규산물질(珪酸物質)의 시용(施用)은 엽도열병(葉稻熱病), 수수도열병(穗首稻熱病) 및 호마엽고병(胡麻葉枯病)의 발병(發病)을 저하(低下)시키며 규산물질중(珪酸物質中)에서도 규회석(珪灰石)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 6. 엽도열병(葉稻熱病)의 이병율(罹病率)은 질소(窒素)의 증시(增施)에 비례(比例)하여 증가(增加)하나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으로 현저히 경감(輕減)되며 이 현상(現象)은 만식재배시(晩植栽培時)에 더 현저하다. 7. 호마엽고병(胡麻葉枯病)의 이병율(罹病率)도 규회석(珪灰石)의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현저히 경감(輕減)하였다.

  • PDF

규회석(珪灰石)의 가용성(可溶性) 규산함량(珪酸含量)이 수도(水稻)의 규산흡수(珪酸吸收)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Wollastonites on Silica Uptake by Rice Plant)

  • 이윤환;최대웅;한기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21-226
    • /
    • 1973
  • 현(現) 비료(肥料) 공정규격(公定規格)에 보증성분(保證成分)이 미달(未達)되는 규회석(珪灰石)의 비효(肥效) 및 규회석(珪灰石)의 가용(可溶) 규산분석법(珪酸分析法)을 검토(檢討)코져, 가용규산함량(可溶珪酸含量)이 상이(相異)한 수종(數種)의 규회석(珪灰石) 및 규회석(珪灰石)과 가용성규산(可溶性珪酸)을 함유(含有)하지 않은 암석(岩石)의 혼합분말(混合粉末)을 광재(鑛滓)와 대조(對照)하여 벼에 대한 재배시험(栽培試驗)을 수행(遂行)하여 규산(珪酸)의 흡수량(吸收量)을 조사(調査)하고, 공시(供試) 규회석(珪灰石)을 수종(數種)의 완형용액(緩衡溶液)에 침출(浸出)하여 규산가용율(珪酸可溶率)과 식물체(植物體)가 흡수(吸收)한 규산함량(珪酸含量)과 상관관계(相關關係) 및 규회석(珪灰石)의 X-선회절분석(線回折分析)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가용성(可溶性) 규산함량(珪酸含量)(N/2 HCl)이 높은 규회석(珪灰石)일수록 식물체중의 규산함량 및 흡수량(吸收量)을 증가(增加)시켰다. 2. 광재(鑛滓) 처리구(處理區)의 벼 짚중(中) 규산흡수량(珪酸吸收量)은 가용성(可溶性) 규산함량(珪酸含量)이 4.1%인 규회석분말구(珪灰石粉末區)와 같이 가장 낮았다. 3. 가용성(可溶性) 규산함량(珪酸含量)이 높은 규회석(珪灰石)에 잡석(雜石)을 혼합(混合)하여 시비(施肥)하여도 수도체(水稻體)의 규산함량(珪酸含量)은 동량(同量)의 가용성규산함량(可溶性珪酸含量)을 함유(含有)한 규회석(珪灰石)과 같은 효과이었다. 4. 각종(各種) 완형용액(緩衡溶液)에 침출(浸出)된 가용규산(可溶珪酸)과 짚중(中) 규산함량(珪酸含量) 및 흡수량(吸收量)과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는 정(正)의 상관(相關)이었으며 N/2염산(鹽酸) 침출규산(浸出珪酸) 분석법(分析法)도 규회석(珪灰石)의 규산분석법(珪酸分析法)으로써 충분(充分)히 사용(使用)될 수 있는 방법(方法)이었다. 5. 규회석(珪灰石)의 X-선(線) 회절(回折)은 규회석(珪灰石)의 조성(造成)을 찾아낼 수 있으며, 결정(結晶)이 불량(不良)한 규회석(珪灰石) 일수록 가용규산함량(可溶珪酸含量)이 높았다.

  • PDF

특이산성토(特異酸性土)(답(沓))에 생육(生育)한 수도(水稻)에 대(對)한 규회석(珪灰石) 및 MnO2의 효과 (The Effect of Wollastonite and Manganese Dioxide on Rice Grown on a Flooded Acid Sulfate Soil)

  • 박영대;김영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3-28
    • /
    • 1970
  • 김해(金海) 특이산성(特異酸性) 토양(土壤)(답(畓))에 대(對)한 규회석(珪灰石) 및 $MnO_2$의 효과를 Pot 시험(試驗)으로 실시한 결과(結果) 1. 특이산성토양(特異酸性土壤)(답(畓))에서 문제시(問題視)되는 토양용액(土壤溶液) 중의 Al함량(含量)은 pH의 상승과 더불어 감소되며 이러한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는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으로 더 현저하며 이와 같은 토양(土壤)에 규회석(珪灰石)을 시용(施用)하거나, 혹은 토양(土壤)을 담수상태(湛水狀態)로 하여 토양(土壤)의 pH를 상승시키면 수도(水稻)에 대(對)한 Al해독(害毒)은 문제(問題)가 되지 않으리라 생각 된다. 2. 삼요소(三要素)만을 시용(施用)한 Pot에 생육(生育)한 수도(水稻)가 Fe-toxicity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며 생육(生育)이 부진한 이유(理由)는 식물체(植物體) 중의 Fe와 S의 함량(含量)이 높은데 기인(起因)하며,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으로 식물체(植物體)중의 Fe와 S의 함량(含量)이 현저히 낮아졌고, 또 수도(水稻)의 생육(生育)도 정상적이었다. 3. 토양용액(土壤溶液) 및 식물체(植物體)중의 Fe 함량(含量)은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으로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특이산성토(特異酸性土)에서 문제(問題)시되는 Fe-toxicity는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으로 피(避)할 수 있다. 4. 규회석(珪灰石)에 병용한 $MnO_2$는 규회석(珪灰石) 단용(單用)보다 식물체(植物體)중의 Fe함량(含量)을 낮추지 못하였다. 5.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은 건물중(乾物重)과 정조수량(精租收量)을 증가(增加)시켰고 규회석(珪灰石)과 병용한 $MnO_2$는 규회석(珪灰石) 단용(單用)보다 수당립수(穗當粒數)와 등숙율(登熟率)을 증가(增加)시켰다. 6.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특이산성토(特異酸性土)(답(畓))에 생육(生育)한 수도(水稻)의 생육(生育)이 부진한 주원인(主原因)의 하나가 Fe-toxicity라 생각되며 이와 같은 답토양(畓土壤)에는 규회석(珪灰石)을 시용(施用)하므로서 Fe의 해독작용(害毒作用)을 억제(抑制)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수도(水稻)에 있어서 가리(加里)의 시용(施用)이 규회석(珪灰石)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otash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of Wollastonite on Rice)

  • 박영선;박천서;김영섭;고재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0
    • /
    • 1970
  • 수도(水稻)에 있어서 가리(加里)의 시용(施用)이 규회석(珪灰石)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기 위(爲)하여 Pot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고 정조수량(精租收量)을 증가(增加)시킨 원인(原因)을 수량(收量) 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 수도(水稻)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토양(土壤) 및 식물체분석성적면(植物體分析成績面)에서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가리(加里)의 효과는 규회석(珪灰石)이 시용(施用)되었을 때에 더 커지며 규회석(珪灰石)의 시용량(施用量)이 많을수록 가리(加里)의 요구량(要求量)도 많아진다. 2. 가리(加里)와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은 토양(土壤) 및 고중(藁中)의 가리(加里), 석회(石灰) 및 규산(珪酸)의 농도(濃度)를 증가(增加)시키며 $SiO_2/N$$K_2O/N$의 비율(比率)을 높여 정조수량(精租收量)을 증가(增加)시켰다. 3. 규회석(珪灰石)을 300kg/10a 이하(以下) 시용(施用)하였을 때에는 가리(加里)는 8kg/10a 에서 수량(收量)이 제일 높았으나 규회석(珪灰石)이 600kg/10a 시용(施用)되었을 때에는 가리(加里) 16kg/10a에서 수량(收量)이 제일 높았다. 4.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은 주당수수(株當穗數)와 수당립수(穗當粒數)는 감소(減少)시키고 등숙율(登熟率)과 천립중(千粒重)은 증가(增加)시키는 경향(傾向)이며 규회석(珪灰石) 시용(施用)으로 증가(增加)된 고중(藁中)의 CaO와 $SiO_2$는 주당수수(株當穗數)와 수당립수간(穗當粒數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었으나 등숙율(登熟率)과 천립중(千粒重)과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5. 가리(加里)의 시용(施用)은 주당수수(株當穗數)와 수당립수(穗當粒數)를 증가(增加)시키는 경향(傾向)이며 가리시용(加里施用)으로 증가(增加)된 고중(藁中)의 $K_2O$와 수당립수(穗當粒數)와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6. 질소(窒素)의 흡수량(吸收量)은 가리(加里)와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며 $SiO_2/N$ 비율(比率)은 가리(加里)와 규회석(珪灰石)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한다. 7. $K_2O/N$ 비율(比率)은 가리(加里)를 시용(施用)할수록 증가(增加)되며 가리무시용구(加里無施用區)에서는 규회석(珪灰石) 시용량(施用量)에 따라 감소(減少)하였다.

  • PDF

볏짚과 규회석(珪灰石) 시용(施用)이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Rice Straw and Wollastonite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the Rice Plant)

  • 정광용;조성진;김재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8-155
    • /
    • 1985
  •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볏짚과 규회석(珪灰石)의 효과(效果)를 규명코져 볏짚은 무시용(無施用)과 88g/pot(1000kg/10a)로 2수준, 규회석(珪灰石)은 무시용(無施用)(50ppm), 27(150ppm), 85(300ppm), 135g/pot(450ppm조절량) 4수준을 각각 다르게 처리하고 pot 시험(試驗)을 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볏짚이나 규회석(珪灰石) 단용(單用)을 수도(水稻)의 초기생육(初期生育)을 억제(抑制)시켰으나 이들의 병용구(倂用區)에서 이상적인 초형(草型)으로 발달(發達)되어 특히 최고분운기(最高分芸期) 이후(以後)에 효과(效果)가 매우 커서 정조수량(正租收量)이 증가(增加)되었다. 2. 볏짚 무시용구(無施用區)는 규회석(珪灰石) 27g/pot구(區)에서 모두 정조수량(正租收量)이 많았고 볏짚 시용구(施用區)에서는 시용당년(施用當年)에는 규회석(珪灰石) 85g/pot구(區), 그리고 다음해의 잔효구(殘效區)에서는 규회석(珪灰石) 135g/pot구(區)에서 정조수량(正租收量)이 가장 많아 볏짚시용(施用)은 규산(硅酸)의 요구량(要求量)을 증가(增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처리간(處理間)에 최고수량(最高收量)을 낸 구(區)는 시비년도(施肥年度)에는 볏짚+규회석(珪灰石) 85g/pot구(區)로서 대조구(對照區)보다 25%의 정조수량(正租收量)이 증대(增大)되었다. 볏짚과 규회석(珪灰石)의 잔효(殘效)를 본 익년도(翌年度)에서는 볏짚+규회석(珪灰石) 135g/pot구(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30%의 증가(增加)를 보여 볏짚이나 규회석(珪灰石) 단용(單用)보다 병용효과(倂用效果)가 컸었다.

  • PDF

규회석-증류수 현탁액을 이용한 고농도 CO2 가스의 탄산염 광물화 (Mineral Carbonation of High Carbon Dioxide Composition Gases Using Wollastonite-distilled Water Suspension)

  • 송해정;한상준;위정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42-35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CO_2$ 포집 및 저장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25-65^{\circ}C$ 범위의 온도 및 대기압에서 비교적 높은 $CO_2$ 조성을(15-50 vol%) 갖는 가스 중 $CO_2$를 고정화하기 위해 규회석($CaSiO_3$)-증류수 및 초산 현탁액을 이용한 직접적 습식 탄산염 광물화를 수행하여, 각 현탁액에서의 Ca 침출률과 $CO_2$ 흡수 특성 및 탄산화율에 대해 규명하였다. 규회석-증류수 현탁액의 탄산화 결과 규회석 표면에 고정화된 탄소를 확인하였고 $CO_2$ 조성이 높을수록 저장량은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CO_2$ 조성이 50%일 때 규회석 내 Ca 침출률은 13.2%, 탄산화율은 약 10.4%지만 같은 조건에서 규회석-초산 현탁액의 침출률은 약 63%, 탄산화율은 1.39%로 확인되었다.

벼에 대(對)한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비종별(肥種別) 시용효과(施用效果) (Effects of Different Silicate Fertilizers on Rice Plant)

  • 이기상;하호성;안상배;허범량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2-37
    • /
    • 1986
  • 벼에 대(對)한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鑛滓珪酸質肥料)의 시용효과(施用效果)를 검토(檢討)하기 위(爲)해 유효규산함량(有效珪酸含量)이 56ppm정도(程度)인 사양토(砂壤土)에서 3년간(年間)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시용(鑛滓硅酸質肥料施用)은 생육초기(生育初期)에는 분얼(分蘖) 및 초장(草長)을 억제(抑制)하나 생육후기(生育後期)에는 분얼수(分蘖數)를 늘리고 초장(草長)을 길게 했었다. 2.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시용(鑛滓硅酸質肥料施用)으로 수량(收量)은 증대(增大)되었으며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鑛滓硅酸質肥料施)를 동일량(同一量)으로 시용(施用)했을 때의 수량증대효과(收量增大效果)는 같았다. 3. 수확기(收穫期) 식물체(植物體)의 규산흡수이용율(珪酸吸收利用率)은 광재규산질비료(鑛滓硅酸質肥料) 시용(施用)보다 규회석시용(硅灰石施用)에서 더 높았다. 4. 시험후(試驗後) 토양중(土壤中) 유효규산잔존율(有效珪酸殘存率)은 규회석시용(硅灰石施用)보다 광재규산질비료(鑛滓硅酸質肥料施) 시용(施用)에서 높았다. 5. 시험후(試驗後) 토양중(土壤中)의 유효규산함량증가(有效珪酸含量增加)는 규회석(硅灰石) 및 광재규산질비료(鑛滓硅酸質肥料施)에 관계(關係)없이 0.5N-HCl 가용규산성분함량(可溶珪酸成分含量)으로 1kg/10a 시용시(施用時) 약(約) 2.3ppm 증가(增加)되었다. 6. 식물체(植物體)의 $SiO_2/N$비(比)가 클수록 목도열병(稻熱病) 이병율(罹病率)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퇴화염토에서 수도생육에 대한 질소와 규회석의 시용효과 (Effect of Wollastonite and Nitrogen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Rice Plant)

  • 김규진;이주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9-286
    • /
    • 1981
  • 비옥도가 낮은 해성충적토인 퇴화염토답에서의 실소수준을 달리한 조건하에서 규회석의 시용량을 달리하였을 때 이들이 수도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영향을 구명코자 시도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규회석의 시용효과는 전반적으로 N 12kg/10a 구보다 실소량을 증시한 Nl6kg/10a 구에서 뚜렷한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2. 류회석 처리구는 수도생육 경과중의 하엽고사 및 도열병피해의 경감, 유효다비율 및 등숙비율의 향상, 정조천립중을 높일 수 있였다. 3. 출수기 엽위별 SiO_2의 함량에 있어서는 규회석 시용구이 낮은 200kg/10a 수준에서는 지엽으로부터 차엽의 순으로 함량이 낮아지고 있었으나 400kg/10a 이상의 시용구에서는 단위에 따라 함량의 변이가 크지 않았다. 4. 출수기 도체내의 SiO_2함량과 등숙률(r =0.613) 및 지엽내의 SiO_2함량과 등숙률(r=0.407)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였다. 5. 수상조사결과 규회석 처리가 일차지경이나 이차지경의 분화 및 퇴화에는 그댜지 크게 영향하지 않은 것으로 보였으나 홍화의 분화 및 퇴화에 영향하고 있음이 인정되었다. 6. 수량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실소률 증비한 N16kg/10a 수준에서 증수효과가 뚜렷하였고 규회석 시용률에 있어서는 400/200kg\leq200\leq400 < 600kg/10 a 순으로 증수되었다.

  • PDF

수도(水稻)의 축산폐수피해(畜産廢水被害)에 대(對)한 물관리(管理) 및 개량제(改良劑) 시용효과(施用效果) (The Effect of Irrigation Control and the Application of Soil Ameliorators on Rice Yield by the Irrigation of Livestock Waste Water)

  • 이민효;김복영;김규식;박영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3-129
    • /
    • 1987
  • 수도(水稻)의 축산폐수(畜産廢水) 피해(被害)에 대한 물관리(管理) 및 개량제(改良劑) 시용효과(施用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사양토(砂壤土)에서 2년간(年間) pot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시험(試驗) 1> 물관리(管理) 및 개량제(改良劑) 시용효과(施用效果)(1985) 1. 수도수량(水稻收量)은 상시담수구(常時湛水區)가 간단관수구(間斷灌水區) 보다 많다고 개량제(改良劑) 시용(施用)으로 증수(增收)되는 경향(傾向)이였으며 개량제중(改良劑中) Zeolite와 규회석(硅灰石)이 효과(效果)가 좋았음. 2. 고중(藁重) 및 식물체중(植物體中) 질소함량(窒素含量)은 시용질소(施用窒素) 및 폐수관개량(廢水灌漑量)이 많을수록 증가(增加)하였으나 개량제(改良劑) 시용(施用)으로 감소(減少) 하였음. <시험(試驗) 2> 규회석(硅灰石) 시용효과(施用效果)(1986) 3. 수도수량(水稻收量)은 규회석(硅灰石)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증수(增收)되었으며 규회석시용(硅灰石施用)에 의(依)한 증수원인(增收原因)은 등숙율(登熟率) 및 수당입수(穗當粒數)의 증가(增加)에 있었고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이 3g/pot (관행(慣行))구(區)에서는 규회석(硅灰石) 60g/pot 시용(施用)이 적량(適量)으로 생각되었다. 4. 불임수수(不稔穗數)는 시용질소(施用窒素) 및 폐수중(廢水中) 질소농도(窒素濃度)가 증가(增加)됨에 따라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규회석시용(硅灰石施用)으로 크게 감소(減少)되었다.

  • PDF

특이산성토에 대한 석회 및 규회석의 효과 (The Effect of Lime and Wollastonite on an Acid Sulfate Soil)

  • 박내정;박영선;이규하;김영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32
    • /
    • 1972
  • 특이산성토양에서 석회 및 규회석의 효과를 검토하고 규회석중에 있는 석회와 규산의 개발 효과를 분리 해석하기 위하여 석회 및 규회석을 석회당량을 기준으로 처리하여 포장 벼 재배시험과 실내정온 담수시험을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석회물질로서 석회 및 규회석을 석회당량으로 시용했을때는 산성중화 효과는 꼭 같았다. 2. 석회는 반응성이어서 실내에서 토양과 잘 섞을경우에는 $25^{\circ}C$에서 3일이면 거의 중화점에 이르고 포장에서는 2주일전에 시용하여도 이앙묘에 알카리해를 주어 현저히 생육초기 분얼수을 감소시켰으나 규회석은 반응성이 약하여 1~2주후에 중화점에 이르렀고 포장에서도 전연 알카리 피해를 주지 않았다. 3. 석회, 규회석 모두 토양 및 토양용액중의 Al 함량을 같이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나 $Fe^{2+}$은 일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포장에서 이들의 피해증상이 미미하게 나타나는 정도로 이들 유해물질 감소에 의한 증수효과는 크게 인정되지 않았다. 4. 석회시용은 토양중 규산의 유효도를 현저히 높였고 수도체중 $SiO_2$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켰으며 규회석은 석회효과 이외에도 자체에서 $SiO_2$를 방출하여 수확기 볏짚중 $SiO_2$ 함량을 더욱 증가시켰다. 5. 따라서 석회물질시용시 식물체중 규산의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서 목도열병 이병율을 감소시키고 등숙율을 높임으로서 증수효과를 얻을수 있었다. 6. 석회, 규회석중 어느하나를 시용함으로서 다른것의 효과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7. 규회석은 생육초기 분얼수 증가에 현저한 효과가 있었으나 유효경비율의 감소로 주당수수의 증가는 없었다. 8. 이들 석회물질은 수당입수를 어느 정도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