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규모내림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nalysis and forecast of runoff in Nakdong river according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유출 분석 및 전망)

  • Shon, Tae-Seok;Kim, Mi-Eun;Joo, Jae-Seung;Im, Ji-Ye;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73-277
    • /
    • 2011
  • 오늘날 기후변화는 기후 시스템을 구성하는 대기, 해양, 생물, 빙하, 육지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작용하여 자연 생태계와 인간의 사회 및 경제 시스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최근 인간의 활동에 의해 야기된 기후변화는 극치적인 기후 현상의 빈도와 강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현상은 수환경 시스템, 하천 생태계와 유역관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른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안정적인 물공급에 어려움을 증대시킬 것으로 전망되며, 현재 이것은 각 분야별로 해결해야 할 범지구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기후변화를 탐지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SRES 배출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의 기후변화 장기시나리오가 필요한데, 이를 위한 기본적인 도구로 전지구기후모형(Global Climate Models, GCMs)이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적 차원의 수자원에의 영향 분석을 위해서는 GCMs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규모에서의 기후 자료로 변환하는 규모내림(downscaling) 기법을 이용한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 분석의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국내에 적합한 GCM의 선정 및 우리나라의 시공간적 기상패턴의 정밀한 구현을 위한 규모내림기법의 적용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현재 뿐 아니라 미래 90년간 (2011년 ~ 2100년)의 기상 자료를 생산하고 이를 SWAT 모형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GCMs-규모내림-SWAT 모형으로 이어지는 시나리오 기반의 기후변화에 대한 낙동강 유역의 유출 분석은 기후변화 연구에 기술적 방법론의 제시와 함께 앞으로 타 유역에의 적용을 통하여 보다 정량적이고 신뢰성 있는 전국 단위의 기후변화에 따른 유출 분석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Byeongseong Stream's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Responses Using CGCM's Future Climate Information (CGCM 미래기후정보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병성천 유역 수문 및 수질반응에 미치는 영향분석)

  • Choi, Dae-Gyu;Kim, Mun-Sung;Kim, Nam-Won;Kim, Sang-D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11
    • /
    • pp.921-931
    • /
    • 2009
  • For the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s for the Byeongseong stream, CGCM 3.1 T63 is selected as future climate information. The projections come from CGCM used to simulate the GHG emission scenario known as A2.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formation from the GCM simulations are converted to regional scale data using the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known as MSPG. Downscaled climate data from GCM are then used as the input data for the SWAT model to generate regional runoff and water quality estimates in the Byeongseong stream. As a result of simple sensitivity analysis, the increase of CO2 concentration leads to increase water yield through reduction of evapotranspiration and increase of soil water. Hydrologic responses to climate change are in phase with precipitation change.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reduce water yields in the period of 2021-2030. In the period of 2051-2060, stream flow is expected to be reduced in spring season and increased in summer season. While soil losses are also in phase with water yields, nutrient discharges (i.e., total nitrogen) are not always in phase with precipitation chang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are a lot of uncertainties in such multiple-step analysis used to convert climate information from GCM-based future climate projections into hydrologic information.

Bias-Correction of Dewpoint Data and Generation of Persisting 12-hour 100-year Return Period Dewpoint under AR5 RCP Scenarios (AR5 RCP 시나리오에 따른 이슬점 자료의 편의보정 및 12-시간 지속 100년 빈도 이슬점의 생성)

  • Lee, Okjeong;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34-23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RCM으로부터 생산된 미래 이슬점자료를 이용하여 편의보정 및 시간적인 규모내림방법의 적용에 있어서 그동안 간과하고 있었던 사항들을 살펴보고, 그러한 부분들에 대한 보완방법을 100년 빈도 12-시간 지속 이슬점 산출과정을 대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기후모델로부터 도출된 자료와, 관측된 자료 사이의 일치성 여부를 먼저 확인하기 위해 기후모델로부터 도출된 자료를 이용하여 과거 관측자료와의 재현성을 평가한다. 또한 기후모델의 여러 가지 한계로 인해 생기는 불일치성을 극복하기 위해 편의보정이라는 절차를 수행하여 모델로 부터 도출된 미래 기후자료를 보정하게 된다.본 연구의 경우 5월부터 10월까지의 자료를 대상으로 매월 1-15일 시기와 16-말일로 나누어 총 12개의 시기별, 지점별(62개 지점)별로 편의보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편의보정 되어진 이슬점 자료를 바탕으로 scale-invariance 기법을 적용하여 일-단위 이슬점자료로부터 시간-단위 이슬점 정보를 추출하였다. 먼저 62개 지점별로 1981-1997년(보정기간) 17년 동안의 과거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시기별 일 이슬점자료로부터 시기별 12-시간 지속 100년 빈도 이슬점을 산출하는 함수관계를 구축한 후 이를 이용하여 1998-2014년(검증기간) 17년 동안의 시기별 일 이슬점 자료로부터 시기별 12-시간 지속 100년 빈도 이슬점을 산출하여, 실제 검증기간의 시간자료를 이용한 12-시간 지속 100년 빈도 이슬점과 비교해 보았다.

  • PDF

Assessing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Components in Nakdong River Basin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수문·수질 변화)

  • Jang, Jae Ho;Ahn, Jong 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11
    • /
    • pp.1121-1130
    • /
    • 2012
  • Projected changes and their impacts on water quality are simulated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stressors. CGHR (T63) simulation on the A1B scenario is converted to regional scale data using a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 and applied to SWAT model to assess water quality impacts in Nakdong River basi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rainfall-runoff and pollutant loading in the future (2011~2100) will clearly increase as compared to the last 30-year average. The rate of pollutant loading increase is expected to continue its acceleration until 2040s. Runoff also shows similar patterns to the precipitation, increasing by 60%. Accordingly, the runoff increase results in escalation of pollutant loading by 35~45% for TSS and 5~20% for T-P. This phenomenon is more pronounced in the upper basin during winter and spring sea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