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귀마개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5초

실내 충격소음에서의 주파수별 귀마개 차음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mpulse Noise for the Blocking Earplug Performance by Frequency Levels)

  • 송기혁;정성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427-42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170 dB 수준의 충격 소음원에서 주파수별 귀마개의 차음성능을 확인하고, 주파수 특성과 패턴 형상을 분석하는데 있다. 충격 소음에서의 주파수별 귀마개 차음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충격 소음원 분석을 위한 설비를 구축하였다. 차음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Ear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차음성능을 검증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충격 소음원이라 할지라도 대부분 140 dB 수준의 고충격 소음원이였으나, 본 연구는 그보다 더 높은 수준의 충격 소음원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 주파수별 충격소음의 차음효과는 평균 30 dB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한정된 샘플링으로 인해 통계학적 추 검정 과정을 수행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 PDF

소음 감쇠기를 이용한 청각의 뇌기능 자기공명영상 (A Study of the Effect of Acoustic Noise Attenuator on Auditory Functional MRI)

  • 김상환;김인성;이재준;박지애;이영주;여종록;배성진;이상흔;장용민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9권2호
    • /
    • pp.134-139
    • /
    • 2005
  • 목적 : 청각의 뇌기능 영상 검사 시 소음 감쇠기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소음 감쇠기는 실리콘 이어폰, 귀마개 그리고 마스크로 구성하였다. 마스크와 귀마개는 방음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는 부드러운 재질의 폴리우레탄 시트와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500 Hz의 순음 자극에 대한 청각의 뇌기능 자기공명영상 실험은 4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다음의 세가지 경우로 구별하여 시행하였다: 첫째, 마스크와 귀마개, 이어폰을 모두 착용한 경우, 둘째, 귀마개와 이어폰만을 착용한 경우 그리고 마지막으로 소음 감쇠기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이다. 데이터 획득을 위하여 고성능 경사자계 시스템이 갖추어진 1.5 T 자기공명영상장치에서 BOLD 자기공명 영상기법을 사용하였다. 영상 데이터는 SPM 99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활성화 지도를 획득하였다. 결과 : 소음감쇠기의 모든 구성요소를 사용한 경우 활성화는 주로 일차 청각중추에서만 집중되어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다. 귀마개와 이어폰만을 착용했을 때는 청각의 뇌 활성화 영역이 일차 청각중추와 이차 청각 영역에 분산되어 나타는 결과를 얻었으며 마지막으로 소음감쇠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청각영역이 오른쪽의 일부만이 활성화 되었다. 결론 : 마스크, 귀마개, 이어폰으로 구성된 소음 감쇠기는 청각의 뇌기능 영상 검사 시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청각 보호 장구의 실내 충격소음 차음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door-Impulse Noise Attenuation Effect for the Hearing Protection Devices)

  • 정성학;송기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7-4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170 dB 수준의 충격 소음원에서 주파수별 귀마개의 차음성능을 확인하고, 주파수 특성과 패턴 형상을 분석하는데 있다. 충격 소음에서의 Combat Arm Earplug와 3M Form types 1100 Earplug의 주파수별 귀마개 차음성능을 산출하였다. 차음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B&K Head and Torso Simulator와 Ear Simulator를 제작하여 충격 소음원의 주파수별로 차음성능을 비교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충격 소음원이라 할지라도 대부분 140 dB 수준의 고충격 소음원이였으나, 본 연구는 그보다 더 높은 수준의 충격 소음원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 주파수별 충격소음의 차음효과는 평균 28.58 dB 인 것으로 나타났다.

귀마개 적용이 수술 소음으로 인한 불쾌감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arplug Wear on Patients' Displeasure and Anxiety Caused by Operation-Induced Noises)

  • 김상립;김영경
    • 임상간호연구
    • /
    • 제17권3호
    • /
    • pp.319-328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nursing interventions clinically applicable to relieve displeasure and anxiety of patients having an operation in which loud noise was unavoidable. Methods: Participants were 34 patients scheduled to have a total knee replacement. They were assigned to either the control (17 patients) or experimental (17 patients)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0.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survey included noise-control earplugs, a noise level meter (TES-1358) and a structured scale measuring degree of noise perception, displeasure and anxiety.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x^2$-test, and t-test with the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Hypothesis 1: 'The displeasure levels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patients wearing earplugs will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patients without earplugs' was accepted (t=-20.769, p<.001). Hypothesis 2: 'The anxiety levels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patients wearing earplugs will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patients without earplugs' was accepted (t=-6.298, p<.001).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wearing of earplugs for patients having a surgical operation with loud noises is recommen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lieve patient displeasure and anxiety during their surgical operations.

수면안대와 귀마개 적용이 중환자실 관상동맥질환자의 수면양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ye Protective Device and Ear Protective Device Application on Sleep Disorder with Coronary Disease Patients in CCU)

  • 구윤정;고효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82-592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n eye protective device and ear protective device application on sleep disorder with coronary disease patients in CCU.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set up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subjects were coronary disease patients in the CCU of a tertiary hospital.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20 in the group with an eye protective device, 18 in the group with an ear protective device, 17 in the group with an eye protective device and ear protective device and 20 in the control group. The data was analyzed by $X^2-test$, ANOVA, Repeated measures ANOVA, Sheffe-test, Simple main effect and Time contrast using SPSS Win 12.0. Results: The hypothesi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leep quantity among the four groups' was supported (F=1,342.71, p=.000). The hypothesi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general sleep patterns among the four groups' was supported (F=3,638.73, p=.000). In addition the hypothesi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gree of sleep among the four groups' was supported (F=1,616.61, p=.000). Conclusion: It is cost effective and a simple eye protective device and ear protective device should be applied to patient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and characteristics in the clinical setting.

방음 보호구 종류별 소음저감 효과에 대한 주관적 반응 (Subjective Responses to the Anti-noise Effect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Soundproof-protector)

  • 김대군;김재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10호
    • /
    • pp.891-899
    • /
    • 2010
  • Since the working machine generates an excessive loud noise as much as its use-purpose and dimension, those damages are occurring to the exposed workers such as unpleasant sense, stress and occupational hearing-impaired. Accordingly, as one of the measures for prevention such loud noise, various soundproof protection tools were developed. However, such soundproof protection tools were presented the physical measured value only, it is real state that the psychological study result with regard to the soundproof effect which the workers are actually feeling, is not existing. On such point of view, with the object on the typical earplugs and earcaps among the soundproof protection tools, this study has ever tried a subjective evaluation about the degree of soundproof effect through Psycho-acoustics experiment. It is considering that such study result could be utilized as the useful material when establishing the soundproof measure for the workers in the future.

군대 청력 보호구(귀마개) 사용 및 착용 안전효과 실태조사 (The Research of Safety Effects by using a Hearing Protection(Ear Plug) in the Military)

  • 황성호;주묘경;박재범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03-106
    • /
    • 2013
  • During a military service, noise has unusual characteristics, and constitutes a serious hazard to hearing of military service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use of hearing protection and to assess the safety effects of hearing protection by using a ear plug in military. A total of 208(the army : 101, an air force : 107) serviceman were studied utilizing a questionnaire to know how many serviceman use the hearing protection and a total of 202(the army : 110, an air force : 92) serviceman were also studied using a ear fit validation device to assess the safety effects of hearing protection by using a ear plu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rmy have low used of hearing protection than an air force because of the low frequency of the noise exposure in the army. Personal attenuation rate was increased with 8 dB after fitting educa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use of proper hearing protection and fitting education was more suitable for military servicemen who were being exposed of the noise in domestic military.

만성적 소음노출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코호트연구 (Cohort Study for the Effect of Chronic Noise Exposure on Blood Pressure among Male Workers)

  • 차태준;김장락;강위창;양승림;이충렬;유철인;이지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3호
    • /
    • pp.205-213
    • /
    • 2002
  • 장기간의 소음노출에 의한 혈압상승 또는 고혈압의 발생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결과가 다양하고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는 혈압에 대한 소음의 영향을 보다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 일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유사 노출군의 코호트를 구성하고 9년간의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소음노출수준별로 혈압의 연도별 변화경향을 파악하고, 혼란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혈압의 변화에 대해 소음노출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부산지역의 일개 금속제품 제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530명의 남자 근로자를 1991년부터 1999년까지 혈압을 9년간 매년 계속 추적조사 하였으며, 조사 대상자들을 근무여건과 노출되는 소음수준(noise level category, 이하 NLC로 약함)에 따라 NLC-I (사무실 근로자, 60dB(A) 미만으로 노출, 155명), NLC-II(현장 기술지원자 및 검사원, 소음에 비정기적으로 노출, 75명), NLC-III (현장근로자, 85 dB(A)이하로 노출, 귀마개 또는 귀덮개를 착용, 167명), NLC-IV (현장근로자, 85 dB(A) 초과 노출, 귀마개와 귀덮개를 동시에 착용, 133명) 의 4군으로 구분하였다. 추적기간동안 소음수준별 혈압은 분산 분석을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혼합선형모형을 이용하여 추적기간동안(1992-1999년)의 보정된 통합평균혈압을 구하고 소음노출수준별로 비교하였다. 고려된 혼란변수는 기준연도(1991년)의 연령, 흡연여부, 음주량, 운동, 고혈압 가족력,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과 체질량지수의 변화였다. 기준연도의 혈압과 혼란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각 연도별 혈압을 비교한 결과 수축기혈압은 9년째에서, 확장기 혈압은 2년째에서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조군의 평균 혈압이 전반적으로 증가되었다. 추적기간동안 혼란변수를 보정한 통합수축기 혈압은 대조군인 NLC-I과의 차이가 NLC-II는 1.7 mmHg, NLC-III는 2.0 mmHg, NLC-IV는 3.8 mmHg이었고, NLC-IV의 경우 그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확장기혈압의 경우에는 소음노출수준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남성근로자에서 장기간의 소음노출은 혈압의 상승에 독립적인 영향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HRV를 이용한 자기공명영상 소음의 시간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 평가 (Evaluation on the stress using HRV according to elapsed time of MRI noise)

  • 예수영;김동현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50-55
    • /
    • 2015
  • 자기공명영상 촬영시 발생되는 소음은 100 dB정도의 큰 소리로 인체에 심리적 생리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 소음에 따른 성인 남녀의 심박동변이률 신호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정도를 분석하였다. 실험 방법은 귀마개를 착용하여 안정상태에서 15분간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였다. 그 후 자기공명영상 장비에서 측정한 약 100dB의 음원을 30분동안 들으면서 동시에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였다. 약 100 dB정도에서의 자기공명영상 소음은 HRV 분석 결과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간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스트레스 상태를 유발하였다. 안정 상태에서 10분까지 최대의 스트레스 상태를 나타내고, 15분부터는 스트레스 정도가 줄어들어 30분에는 안정 상태 보다 높은 스트레스 상태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기초 자료로 하여 자기공명영상 촬영 종사자들은 환자의 청각보호에 관심을 가지고, 자기공명영상 소음에 관한 객관적인 지표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개 채석산업장의 산업보건프로그램 평가 (The Evaluation of Occupational Health Program at a Granite Company in U.S.A.)

  • 이성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74-583
    • /
    • 2002
  • '채석(quarrying)'산업은 노천광산에서 광물을 캐내는 작업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산업을 의미한다. 1900년대에 들어오면서 채석작업에 홈연소기(channel burner)을 이용한 불꽃절개법(flame cutting)이 이용하여 근로자의 먼지 노출이 많이 감소하였다. 채석작업으로 인한 주 된 건강문제는 먼지, 소음, 진동 노출이며, 노천작업장으로 작업환경이 개방되어 있어 환경측정 및 관리가 불가능하므로 개별근로자의 먼지와 소음 노출 측정 및 예방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미국의 일개 채석회사의 근로자 건강관리사업을 평가하였다. 연구자료는 저자가 현장 방문을 통하여 구한 자료와 연구대상 회사의 안전관리자의 의견 및 미국 산업안전보건국 전산자료를 이용하였다. 채석사업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크게 채석작업과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가공작업 및 운반과 보관이며, 미국 산업안전보건국(OSHA)의 표준산업분류(SIC)에서 1411(채석업)과 3281(채석가공업)에 해당한다<표 1>. 연구 대상 사업장에서 이루어지는 산업보건프로그램은 먼지 노출 예방을 위해 석재 채취시 물분사법(water jet quarrying)과 국소환기법을 사용하고 소음 노출 예방을 위해 귀마개를 사용하며 사고 예방을 위하여 안전모와 철모, 보안경, 안전조끼, 보호장갑, 안전끈(harness)을 착용하였다. 평가 결과로 나온 연구 대상 사업장에서 적용하여야 할 산업보건 프로그램은 첫째, 먼지 노출로 인한 건강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근로자 개별 노출 측정을 하고, 둘째 실내가공작업장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먼지와 소음 노출 측정 및 환경측정이 필요하며, 셋째 안전관리를 위해 채석장에 안전표지판을 설치하여야 하며, 실내가공 작업장의 자동이동시스템을 작업별로 채색하여 식별을 용이하게 하여야 하겠다. 또한 이 연구 결과를 영세사업장의 산업간호프로그램인 'Clean 3D'사업에서 적용하여 우리나라 채석사업장 근로자 건강관리를 발전시켜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