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굽힘곡선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1초

굽힘 곡선을 이용한 공작기계 주축의 취약부 규명

  • 이찬홍;이후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9-453
    • /
    • 1994
  • 공작기계의 가공정밀도는 공구와 공작물간의 상대변위 크기로서 평가되는데, 이 상대변위는 가공중에 발생 하는 절삭력이 공구-척-주축-기계구조물-안내면-가공테이블-공작물로 이어지는 하중전달 폐곡선을 흐르면서 경로상의 정적, 동적 취약부의 주된 영향을 받아 생기거나 각 요소부품의 변형이 누적되어 생겨난다. 본 연구에서는 주축의 취약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정적으로는 정적 처짐곡선을 이용하고, 동적으로는 진동모우드의 굽힘곡선을 이용하여 주축선단의 처짐에 가장 영향을 많이주는 부위를 파악하였다. 취약부의 개선방법으로는 주축지름을 변화시켜 주축선단 근처에서 굽힘이 집중되지 않도록 유도하였다. 그리고 구조개선의 효과를 확인 하기 위해서 기존 주축시스템과 개선 주축시스템의 정적, 동적 특성변화를 비교하였다.

  • PDF

굽힘 하중을 받는 복합재 기계적 체결부의 강도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ength Prediction of Mechanical Joint of Composite under Bending Load)

  • 백설;강경탁;이진아;전흥재
    • Composites Research
    • /
    • 제27권6호
    • /
    • pp.213-21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특성길이 및 특성 곡선 방법을 굽힘 하중 상태의 복합재 기계적 체결부에 적용하여 강도를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행 연구들이 특성길이 및 특성 곡선 방법을 인장과 압축 하중에만 적용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굽힘 하중에 적용하고 그 가능성을 확인했다. 체결부 파손 해석을 위해 ABAQUS를 사용하여 핀과 모재의 접촉 및 마찰을 고려한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얻은 특성 곡선상에서 Tsai-Wu 이론을 적용하여 파손 및 파단 양상을 예측하였다. 또한 복합재 시편에 굽힘 하중을 가해 파손하중을 알아보는 실험을 통해 검증한 결과 해석으로 얻은 복합재 체결부의 파손하중이 실험 결과와 매우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특성길이 및 특성 곡선 방법이 굽힘 하중 상태의 복합재 기계적 체결부의 강도를 비교적 잘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굽힘곡선을 이용한 공작기계 주축의 정적 동적 취약부 규명 (Static and Dynamic Weak Point Analysis of Spindle Systems Using Bending Curve)

  • 이찬홍;이후상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5권12호
    • /
    • pp.188-193
    • /
    • 1998
  • This paper describes static and dynamic weak point analysis of spindle systems to eliminate high concentrated bending point on spindle and improve total stiffness of spindle systems. The weak point analysis is based on the evaluation of bending curves of spindles. For static weak point analysis the bending curve is derived from static deflection curve and for dynamic weak point analysis it is derived from the mode shape curves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fer function at exciting point. The validity of the weak point search methodology is verified by comparison of the static deflection, the natural frequency and the dynamic compliance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improved spindle.

  • PDF

효율적인 헤어 시뮬레이션을 위한 굽힘 기반 적응형 샘플링 (Bending-based Adaptive Sampling for Efficient Hair Simulations)

  • 윤주영;김동희;김종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353-35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외력에 의해 헤어가 움직일 때, 전체가 아닌 변형률이 큰 부분에 입자 제어점을 추가하여 베지에 곡선을 그리는 적응형 헤어 시뮬레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정규화 샘플링을 통한 물리 시뮬레이션은 헤어의 움직임에 대한 정확도가 높은 반면, 계산량이 증가하고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이 문제는 굽힘이 일어나는 특정 부분만 활용한 적응형 샘플링을 통해 해결할 수 있으며, 메모리뿐만 아니라 속도 측면에서도 모두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한 굽힘 샘플링 기법은 헤어의 굽힘 패턴에 따라 실시간으로 표현되며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실제 헤어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준다.

  • PDF

자동차 Transimission용 Helical Gear의 굽힘 피로 수명 곡선(SS-N Curve)에 관한 실험적 고찰 (An experimental study of bending fatigue life (S-N curve) of the helical gear for the automotive transmission)

  • 이원희;허윤무
    • 오토저널
    • /
    • 제12권6호
    • /
    • pp.11-17
    • /
    • 1990
  • 자동차용 변속기의 설계에 있어서 적용 Engine의 출력 및 차량 성능에 부합하는 동력전달 요소의 전달 용량 및 내구 수명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자동차가 고속 경량화됨에 따라 변속기의 설계에 있어서도 동력전달 요소들의 소형 고용량화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설계시 동력전달 요소들의 정확한 강도 및 피로수명 예측이 필수적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Gear의 굽힘응력 계산식에 대한 고찰 및 Gear의 피로시험을 통하여 Helical 치차의 Bending stress에 대한 피로수명 곡선의 시험식을 도출하였다.

  • PDF

순수 굽힘 모멘트 장치와 순수 전단력 장치에 관한 고찰

  • 황재석
    • 기계저널
    • /
    • 제32권6호
    • /
    • pp.536-553
    • /
    • 1992
  • 하중 종류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하중 중의 하나인 순수 전단력과 순수 굽힘 모멘트를 발생시 키고자 할 때는 아래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1) 등방성체나 이방성체의 횡 전단계수 (G$_{12}$)와 횡 응력 프린지치(f$_{12}$) 등을 측정 하고자 할 때, 또는 모드 II (mode II)상태의 파괴역학을 연구하고자 할 때는 그림 1, 그림 2, 그림 3 그리고 그림 4 등에 제시된 것 중에서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순수 전단 력이 발생되는 면적이 크고, 순수 전단력을 정확하고 균일하게 발생시키고자 할 때, 각 재료의 전단 물성치(shear properties) 측정, 모드II(mode II) 상태의 파괴역학을 연구하고자 할 때는 본 연구자가 고안한 H.I.S.T. 장치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2) 직선 보에 순수 굽힘 모멘트를 균일하고 정확하게 가하고자 할 대는 N.B.M.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N.B.M. 장치는 어느 보의 장치보다도 곡선보나 변형이 큰 보에도 더 정확하고 균일하게 순수 굽힘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 PDF

선박 해양구조물 파이프 루프 곡선부의 응력 해석 (Stress Analysis of Curved Portions of Pipe Loops Used i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박치모;배병일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2-57
    • /
    • 2011
  • Most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are equipped with a variety of pipes, which inevitably contain curved portions. While it has been a usual practice to conduct bending stress analyses of these curved pipes using the straight-beam theory, this paper adopts two different types of finite elements, straight-beam elements and two-dimensional shell elements, for finite element analyses of a variety of curved pipes. It then compares the analysis results for two different types of elements to determine correction factors, which can be used to transform the bending displacements and bending stresses obtained by straight-beam elements to those obtainable by two-dimensional shell elements. The paper ends with a practical suggestion on how to efficiently use these correction factors to estimate the combined axial and normal stresses in a curved portion of a pipe.

반복굽힘 조건에서 감육 곡관의 피로손상 거동 (Fatigue Failure Behavior of Pipe Bends with Local Wall-Thinning Under Cyclic Bending Condition)

  • 윤민수;김진원;김종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6권10호
    • /
    • pp.1227-123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감육결함이 가공된 실배관 곡관 시편을 대상으로 10 MPa의 내압과 반복 굽힘하중 조건에서 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는 감육결함이 곡관의 외호부와 내호부에 존재하는 경우를 고려하였으며, 반복 하중으로는 완전 역방향의 변위제어 형태로 작용되는 In-plane 상의 굽힘하중이 고려되었다. 실험 결과, 감육결함이 곡관의 외호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결함부가 아닌 곡관의 측면에서 축방향 균열이 생성되었다. 또한, ASME Sec.III의 설계 피로곡선에서 예측된 건전 곡관의 피로수명보다 긴 피로수명을 보였으며, 피로수명이 결함 길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면, 결함이 내호부에 존재하는 곡관은 내호부에서 원주방향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피로수명은 ASME Sec.III의 설계 피로곡선에서 예측한 건전 곡관의 피로수명보다 짧은 값을 보였다. 또한, 내호부 감육 곡관의 피로수명은 결함 길이가 감소함에 따라 뚜렷이 감소하였다.

이중선각구조 선박의 최종굽힘강도와 피로강도에 대한 안전성 평가 (Safety Assessment of Double Skin Hull Structure against Ultimate Bending and Fatigue Strength)

  • 양박달치;이주성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93-102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종굽힘하에서 이중선각구조선박의 최종굽힘강도와 피로강도에 대한 신뢰성평가를 다루었다. 최종굽힘강도는 beam-column approach의 개념을 이용하여 구하였고, 보강판의 응력-변형도 곡선들은 소성힌지의 개념을 이용하여 유도하였다. 피로강도는 피로손상에 대한 것만을 고려하였고, 이를 위해 Miner의 손상식을 이용하였다. 갑판에서 가능한 여러 연결부 형태에 대해 그 피뢰신뢰성을 추정하였고 또한 굽힘에 의한 파괴와 피로에 의한 파괴를 동시에 고혀하는 일종의 Series System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를 하였다.

  • PDF

비대칭물성을 고려한 일축방향 섬유강화 복합재료 C링의 점탄성적 거동해석 (Viscoelastic Bending Behaviors of Unidirectional Fiber Reinforced Composite C-rings with Asymmetric Material Properties)

  • 이명규;이창주;박종현;정관수;김준경;강태진
    • Composites Research
    • /
    • 제13권5호
    • /
    • pp.18-30
    • /
    • 2000
  • 일축방향 섬유강화 복합재료 C링의 최적설계를 위하여, 이의 점 하중 하에서의 점탄성적 하중완화거동을 해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곡선보의 굽힘 이론을 이용하여 탄성학적 처짐과 굽힘 강성의 해석을 수행한 후 상당원리(correspondence theorem)를 이용하여 점탄성학적 하중완화 거동을 해석하였다. 일축방향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직교이방성 뿐만 아니라 복합재료의 인장강성과 압축강성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비대칭물성도 함께 고려하였다. 그 결과 C링의 단면의 두께가 반지름에 비해 충분히 작은 보라면 보이론만으로도 정확하게 곡선보를 해석할 수 있고 하중완화 이론값 또한 실험값과 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