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굵기증가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9초

양조용 적색 포도 품종의 수형에 따른 수체생장, 과실 품질 및 양조적성 (Vine growth, fruit, and wine quality of red wine grapes cultivated in different trellises)

  • 정성민;허윤영;이동훈;임동준;박서준;정석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84-289
    • /
    • 2020
  • 양조용 포도인 'Doonuri', 'Narsha', 'Cabernet Sauvignon', 'Merlot' 품종에 개량일자형(MT), 주지갱신형(MTC), 이중커튼형(GDC) 수형을 적용하여 재배할 때 수체생장, 과실 품질, 와인특성의 변화를 2년(2018, 2019년)간 비교하였다. 이중커튼형(GDC) 수형으로 재배된 양조용 품종들은 수체생장(주간부 굵기, 신초 굵기, 절간장)의 대부분 조사항목이 개량일자형(MT), 주지갱신형(MTC)에 비해 유의하게 적게 이루어졌다. 이중커튼형(GDC) 수형은 수확량이 다른 수형에 비해 1.5 내지 2배로 증가하였지만, 과실 품질(당함량, 산함량, 과립크기)에는 차이가 없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와인의 anthocyanin 함량과 적색도는 모든 적색 양조용 포도 품종에서 이중커튼(GDC) 수형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재식거리 확보에 의한 '캠벨얼리' 포도의 생육 및 과실 특성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Grape 'Campbell Early' by Securing Planting Distance)

  • 김수진;정성민;허윤영;남종철;박정관;박서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6-100
    • /
    • 2017
  • 주지 연장지를 활용한 간벌에 의해 재식거리가 확보된 포도캠벨얼리 품종의 수체와 과실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포도나무의 전정 전 가지 굵기는 11.8 mm였고, 간벌구는 가지 굵기가 9.3 mm로 감소되었다. 간벌구의 신초 수는 주당 55.9~64.5개로 증가하였고, 신초당 송이 착과율은 간벌구가 1.5~1.75개로 대조구의 약 0.8개보다 높게 나타나 간벌구가 주당 98.1~106.5송이로 대조구의 24.4~28.0송이 보다 착과량이 많았다. 과실 특성 중 가용성고형물 함량 및 산도는 간벌구과 대조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포도 캠벨얼리 품종의 상품과 기준인 351 g 이상 송이 비율은 간벌구가 81.0로 대조구구의 35.7%보다 현저히 높았다. 따라서 과실 특성과 생산량을 볼때 캠벨얼리 품종에서 수세가 강하면 주지연장지를 활용한 간벌 처리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Carbofuran (3G) 조춘토중처리에 의한 고자리파리의 방제 및 마늘의 생육촉진반응 (Effects of Side-furrow-treated Carbofuran (3G) on the Control of Onion Maggots (Hylemyia antiqua Meigen; Anthomyiidae) and on the Growth Response of Garlics)

  • 최승윤;이시우;정부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1-276
    • /
    • 1983
  • Carbofuran(Furadan 3G)과 Diazinon(3G)의 이른봄철 근계주변 1회 골처리(Side-furrow treatment)에 의한 고자리파리(Hylemyia antiqua Meigen)의 방제효과와 그들 살충제가 마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arbofuran처리(피해주율 $11.7\~23.1\%$)는 무처리(피해주율 $47.2\%$), Diazinon처리(피해주율 $23.1\~47.8\%$)에 비하여 고자리파리의 방제효과가 현저히 높었으며 그의 처리시기가 빠르면 빠를수록 방제효과가 양호하였다. 즉, 4월 상순의 처리(피해주율 $22.6\~23.1\%$)에 비하여 3월 중하순 처리(피해주율 $11.7\~15.7\%$)에서 방제효과가 양호하였다. (2) Carbofuran과 Diazinon처리에서 마늘의 초장, 줄기의 굵기 및 마늘의 구경이 증대하였는데 특히 Carbofuran처리에서 생육촉진현상이 뚜렷하였으며 그 현상은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생육촉진이 뚜렷하게 발현되었다. (3) Diazinon처리에 비하여 Carbofuran처리에서 구당 입묘수가 많었을 뿐만 아니라 마늘 개체당 중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4) 마늘의 수량은 Diazinon처리에 비하여 Carbofuran처리에서 현저히 높았으며 처리시기가 빠를수록 마늘의 수량이 크게 증대되었다. 즉, 10a 당 마늘의 수량은 무처리 472.8kg, Diazinon 3월 13일과 20일 처리에서는 각각 563.7kg, 629.6kg, 4월 3일 10일 처리에서는 각각 561.4kg, 463.4kg인데 비하여 Carbofuran 3월 13일과 20일처리에서는 각각 1070.6kg, 1018.3kg이었고 4월 3일과 10일처리에서는 각각 963.8kg, 843.3kg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Carbofuran 이른 봄철(3월 중하순) 근계주변 1회 골처리는 고자리파리의 방제효과가 높었을 뿐만 아니라 마늘의 초장, 줄기의 굵기 및 구경의 생육을 크게 촉진하여 마늘의 수량성을 높일 수 있었다.

  • PDF

홍삼사포닌 Rg3가 함유된 샴푸의 탈모방지와 양모개선 효과 (The Efficacy of Shampoo Containing Ginseng Radix on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on Hair Growth)

  • 현무열;석장미;정상욱;박진오;김보현;장진동;조기정;여인권;김범준;김명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7-194
    • /
    • 2013
  • 최근 들어 홍삼의 발모효과가 실험적으로 입증이 되었으나 임상적인 효능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임상시험에서는 홍삼사포닌 Rg3 0.003%가 함유된 샴푸(Somang Co., Korea)의 사용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 탈모 및 발모효과를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탈모로 진단된 42명의 환자가 참여하였으며, 홍삼사포닌 Rg3 0.003%가 함유된 헤어샴푸를 사용하는 군과 홍삼사포닌 Rg3 0.003%를 제외한 헤어샴푸를 사용하는 군으로 나누어 16주간 제품 사용 후 모발의 굵기, 밀도, 성장속도를 측정하였고, 탈모 개선정도의 전문가 육안평가 및 피험자의 주관적 만족도로 평가하였다. 또한 제품사용의 피험자 주관적 기호도를 추가적으로 조사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제품 사용 후 16주에서 모발의 굵기, 모발의 밀도 및 모발 성장속도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전문가 육안평가와 피험자의 주관적 설문평가, 환자의 기호도 면에서도 시험제품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홍삼사포닌 Rg3가 함유된 샴푸는 피부에 자극 없이 탈모방지 및 양모개선 효과에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판단된다.

양송이 재배주기에 따른 형태적 특성 변화 (Changes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mon mushroom fruiting bodies in different harvest flush)

  • 전창성;박경주;김대겸;오연이;박혜성;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7-302
    • /
    • 2020
  • 국내 육성된 양송이 '새도' 등 5개 품종으로 수확주기별 버섯의 형태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농가현장 시험을 통하여 생산성 및 품질을 평가하였다. 공시품종의 재배적 특성을 종합해보면 버섯발생 및 생육에 관련한 부분은 거의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균사 활력은 비슷하였으나 재배농가의 평가에서는 '새도' 품종이 강한 편이며, '새한' 품종이 약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자실체의 개체중은 품종특성 보다는 농가별 퇴비의 상태 및 발생량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품종간의 차이를 구별할 수 없었다. 자실체의 갓 직경, 갓 두께, 대 길이 등의 특성에서 달성군, 용인시, 보령시 지역농가의 경우는 품종에 관계없이 첫주기에 대비하여 주기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였다. 하지만 대 굵기는 품종에 관계없이 첫 주기에 대비하여 2, 3주기에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하지만 경주는 품종과 주기에 따른 어떤 경향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부여에서는 갓 직경과 대 길이는 '새정'을 제외한 품종들은 주기가 진전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갓 두께와 대 굵기는 품종간 일정하지 않았다. 이러한 수확주기별 형태적 특성의 차이는 품종보다는 수확주기별로 배지에서의 양분의 공급량과 사용한 퇴비의 품질과 재배환경의 변화에 따른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기내증식된 지황묘의 기내 및 기외 발근 (In Vivo and In Vitro Rooting of Rehmannia glutinosa Plantlet Regenerated in Vitro)

  • 백기엽;유광진;박상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35-340
    • /
    • 1997
  • 기내에서 증식된 다수의 지황(Rehmania glutinosa)신초를 가장 효율적으로 발근시키기 위해서 기내 및 기외발근 실험을 수행하였다. 오옥신의 종류와 농도를 달리하여 신초와 마디조직을 배양해본 결과 발근율은 거의 100%에 달하였으며 IAA 0.5~1.0 mg/L 처리구에서 절편체당 뿌리형성수가 가장 많았다. 배지내 당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신초의 생장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발근율은 100%에 달하였고 형성된 뿌리의 굵기가 커지는 경향이였다. paclobutrazol과chloromequat를 처리해본 결과 마디나 신초조직에 관계없이 발근율은 거의 100%에 달하였으며 절편체당 근형성수도 억제제의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신초조직에서는 5~7개, 마디조직에서는 3.5~5.0개가 형성되었다. 기외발근시에는 100ppm의 IBA용액에 15분~시간 침지처리하는 것이 타 농도보다 절편체당 근형성수가 증가하였다. 분말로된 발근촉진체를 이용한 경우 신초기부 절단면에 IBA 0.1%를 분말처리하여 버미큘라이트와 퍼얼라이트가 1:1로 혼합된 삽목상에 삽목하는 것이 생존율 및 발근율이 100%에 달하였다.

  • PDF

감과피 첨가가 큰느타리버섯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upplementation of persimmon peels on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eryngii)

  • 김혜수;김수철;정종천;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71-374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 특산물인 감과피를 이용한 버섯배지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감과피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감과피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소재한 진주단감원예조합으로부터 건조된 것을 수집하여 사용하였고 공시균주는 큰느타리 2312를 사용하였다. 대조구는 시판혼합배지를 사용하였고 건조된 감과피 5%, 10%, 15%, 20%, 25%, 30%이 첨가된 시판혼합배지를 시험구로 사용하였다. 대조구인 시판혼합배지에 비해 시험구인 5%, 10%, 15%, 20%, 25%, 30%의 감과피가 첨가된 시판혼합배지의 총질소 함량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총탄소와 유기물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고 C/N율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감과피 첨가량에 따른 시험관 내에서의 균사생장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인 시판혼합배지보다 감과피가 첨가된 모든 배지에서 균사생장이 느리게 나타났다. 시험구의 혼합배지 중 5% 감과피가 첨가된 배지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빨라지만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사 생장속도는 느려지는 경향을 보였다. 감과피 첨가량에 따른 배양일수는 대조구인 시판혼합배지에 비해 감과피를 30%까지 첨가하여도 배양일수와 초발이 소요일수에는 뚜렷한 차이는 없었지만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배양일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판혼합배지에 비해 감과피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갓의 직경과 두께는 감소하고 대의 길이는 짧아지고 굵기는 굵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감과피를 배지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감과피 첨가량에 따른 혼합배지의 조성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뽕나무 묘목 식재후 지조 및 뿌리피부의 저장물질의 변화 (Changes of Reserve Substances in the Bark of Stem and Root Mulberry (Morus alba L.) Graftages after Planting)

  • 성규병;유근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9-84
    • /
    • 1990
  • 뽕나무 묘목의 지조 및 뿌리피부의 저장물질량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묘목의 청수부 위 3cm 부분의 가지 직경을 측정하여 7.0-7.9mm, 9.0-9.9mm 및 11.0-11.9mm의 3수준으로 구분하고, 시비구와 무시비구로 나누어 폿트에 식재재배하여 경시적으로 건물중, 신초생장, 뽕잎 생산량, 엽록소 함량, 탄수화물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신초가 생장함에 따라 지조 및 뿌리피부의 건물중은 식재후 5주에 최저치를 보인 후 증가하였다. 건물중의 최대 감소비율은 지조피부에서 17.5-20.1%, 뿌리 피부에서 20.1-24.6%로, 뿌리 피부의 감소율이 높았으나, 식재 후 3주까지의 초기 생장기간에는 지조피부의 감소율이 높았다. 2. 저장물질에 의존하는 생장의 한계는 식재 후 6-7주로 생각된다. 무시비구의 신초장은 식재후 6-7주에 최대를 보인 후 감소하였으나 시비구에서는 계속 생장하였다. 3. 묘목의 직경이 클수록 뽕잎 건물생산량이 많았으며, 식재후 3주에는 시비유무에 관계없이 같은 묘목굵기에서는 거의 같은 경향이었으나, 3주 이후에는 시비구가 무시비구보다 높았다. 4. 뽕잎의 엽\ulcorner소함량은 묘목이 굵을수록 높았으며, 시비구가 무시비구보다 높았다. 5. 묘목굵긷와 지조 및 뿌리피부의 건물중당 탄수화물함량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전당함량은 식재후 3주까지 일시 증가한 후 5주까지 계속 감소하였다. 그 후 시비구에서는 다시 증가하였으나, 무시비구에서는 계속 감소하였다. 환원당은 시비구 및 무시비구 모두 식재후 3주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후 감소하였다. 지조 및 뿌리피부의 전분함량은 시비구 및 무시비구에서 식재 후 5주까지 감소 후 증가하였다.

  • PDF

옥수수와 대두의 단작 및 교호작에서 작물의 초형구조와 건물 및 수량생산성 (Response on Canopy Structure, Dry Matter and Yield of Corn and Soydean on Alternative Row Cropping)

  • 홍경식;이호진;유재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7-368
    • /
    • 1987
  • 옥수수와 대두의 단작 및 교호재배시 각 작물 상호간의 교호비율에 따른 이들 작물의 초형구조와 건물 및 수량생산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옥수수 단작, 옥수수와 대두의 교호비율이 각각 1 : 1, 1 : 2, 1 :3인 이랑 교호작, 그리고 대두단작의 5가지 재배 양식으로 시험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옥수수는 대두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간장이 짧아지고 착수고가 낮아졌으며 줄기의 굵기는 굵어졌다. 대두는 옥수수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경장이 길어지고 줄기가 가늘어졌으며 생장후기 도복의 정도가 심해 졌다. 2. 엽면적지수는 교호작에 의해 2∼8% 증가되었으며 지상부 건물중도 다소 늘어났다. 엽면적과 건물중의 수직분포는 교호재배시 중하부의 분포비율이 높아져 보다 고르게 분포되었다. 3. 대두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엽중의 분포비율이 높아지고 엽이외 부분의 비율이 낮아졌다. T/R ratio는 단작보다 교호작에서, 교호작간에는 대두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감소되어 식물체중에 근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4. 식물체내 전질소량은 단작에 비하여 교호작에서 교호비율 및 시기에 따라 4∼22% 증가되었다. 그러나 부위별 함량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5. 타 작물과의 교호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옥수수의 수량구성요소는 증가되었으나 대두의 수량구성요소는 감소되었다. 6. Land equivalent ratio(LER)은 교호재배시 0.96∼1.01로 단작 1.00과 차이 없었으나 예상수량에 대한 실제 수량의 비로 평가할 때, 총질소수량은 1.10∼1.25, 총건물수량은 1.07∼1.12, 그리고 총종실수량은 1. 17∼1.20으로 교호재배에 의해 수량생산성이 높아졌으며 옥수수와 대두의 1 : 1 교호작이 비교적 유망하였다.

  • PDF

트리아졸계 화합물 처리가 절화국화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iazole Compounds Treatment on Quality of Cut Flower of Dendranthema grandiflorum 'Baegkwang')

  • 김주형;김시동;이희두;김태중;윤태;백기엽
    • 화훼연구
    • /
    • 제16권1호
    • /
    • pp.57-62
    • /
    • 2008
  • 트리아졸계 화합물 처리시 화합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초장과 절화장 및 절간길이가 단축되었으며 엽록소 함량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감소경향은 diniconazole $50mg{\cdot}L^{-1}$와 tebuconazole $500mg{\cdot}L^{-1}$처리시 컸다. 화수장은 diniconazole $50mg{\cdot}L^{-1}$와 tebuconazole $500mg{\cdot}L^{-1}$처리시 크게 단축되었던 반면, hexaconazole $50mg{\cdot}L^{-1}$와 bitertanol $50mg{\cdot}L^{-1}$ 처리시에는 증가되었다. 꽃목 굵기는 hexaconazole $50mg{\cdot}L^{-1}$와 myclobutanil $150mg{\cdot}L^{-1}$ 처리시 굵었으며 화폭의 경우 myclobutanil $150mg{\cdot}L^{-1}$와 bitertanol $50mg{\cdot}L^{-1}$처리시 증가되었고 tebuconazole $500mg{\cdot}L^{-1}$처리시에는 작아졌다. 생리장해 중 노심의 발생은 bitertanol $50mg{\cdot}L^{-1}$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diniconazole $50mg{\cdot}L^{-1}$와 tebuconazole $500mg{\cdot}L^{-1}$ 처리시는 화수장 단축 및 엽록소 함량 증가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초장과 절화장이 단축되었고 화폭이 작아지는 등의 부정적 효과도 같이 나타나 처리시 주의를 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으며, 효과의 거양을 위해서는 화합물 종류의 선별, 농도와 처리시기 및 횟수의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