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v.26
no.2
/
pp.183-191
/
2008
Geodetic Reference System was deferred from 2007 to 2010. Although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n Korea takes charge of it, the progress is slow without clear policy alternatives. In this regards,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practical measures for introducing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Successful foreign countries have well established institutional system for improving their geodetic reference systems. In Kore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and some municipalities have propelled introduction of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However, none of them have systemical approaches. Although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as conducted several researches regarding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comprehensive policy measures by central governments are not yet made. It suggests methods of data conversion, organizational structures, financial resources, and other supportive measures. Introduction of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is nationwide project. However, there is not nationwide project promotion and management system yet. This research suggests overall policy frameworks to effectively propel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v.27
no.3
/
pp.331-345
/
2009
This study aims to standardize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 spatial data. Up to now, a systematic standard for constructing process and quality management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Korea, thus, it is possible for the national budget to be wasted. The regulations related to constructing spatial data are also obscure, and absurd for feasible application to reality, which results in a lack of reliability of the quality of spatial data. This study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regulations related to spatial data quality and various literature, including studies on spatial data quality conducted by the NGII. And also, the study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onstructing processes and working methods of major firms that have experience in constructing a GIS for a local governing body. Based on the analyzed data, we standardized work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methodology for control point surveying using GPS, leveling, aerial photographing, digital mapping, topographic mapping, digital elevation modeling, aerial photographic DB construction, digital orthophotomap.
In this study, it aims to research for unified system of "the surveying and geo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new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NSDI) as new paradigm against the strategy of "global geo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The country's existing NGIS projects and the policies of spatial information were examined in this paper, then it was defined newly by modification of NSDI's data coverage with bottom-up method. The new NSDI strategy is based on large scale digital map which was influenced by the local and global trend such as open data, e-Government, Earth observation, etc. (refer to Fig. 1). It was also suggested with new concept of NSDI model that the public-private sharing data can be added to digital map on equal term with spatial core data. (refer to Fig. 2) It is proposed the institutional model of MO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s new concept of NSDI which was applied(refer to Fig. 4). The new model is improving localization and reinforcing cooperation system with not only the other departments within the MOLIT but also the other ministries(forestry, environment, agriculture, heritage, etc.) from independent operation system as a part informatization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t the new SDI institutional model of the MOLIT, the spatial information is reorganized as common data infrastructure for all applications, Goverment 3.0 can be feasible according to common data related to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data vertically or horizontally. And then, it can be practical strategy model to integrate and link all the map and the register which are managed by the laws and institutions if this unified system as a common data can include all spatial core data(digital map), such as base map data of NGA(national gespatial agency), land data and facility data of local gover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v.24
no.5
/
pp.443-451
/
2006
DEM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overall fields of engineering, the fields of civil engineering, military,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so forth and its applications are being extending increasingly. It is well hewn that LiDAR DEM is definitely superior to the other surveying methods. But LiDAR DEM run short of a full study about vertical accuracy. In order to assess LiDAR DEM, total 35 stations were selected and surveyed by GPS for utilizing as reference data. And then accuracy of LiDAR DEM was analyzed by comparison between both LiDAR DEM and CPS surveying. The RMSE of ${\pm}0.109m$ was shown in vertical direction. It is within the permissible accuracy required for mapping on a scale of 1 to 500 and 1 to 1000 on the mapping rule notifi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fully used in the field of large scale DEM generation and be utilized as basic information in applied field of LiDAR DEM.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a precise sensor model for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using unified control points. For this purpose, we integrated unified control points and the aerial orthoimages from the national land information map (http://map.ngii.go.kr/ms/map/NlipMap.do) operat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Then, we collected the image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unified control point's location in the satellite image. The unified control points were used as observation data for establishing a precise sensor model. For the experiment, we compared the results of precise sensor modeling using GNSS survey data and those using unified control points.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precise sensor model with around 2 m accuracy when using unified control points.
In order to correct the provided RPC and DEM generated from the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the acquisition of the ground control point (GCP) must be preceded. This task is a very complicate that requires field surveys, GPS surveying, and image coordinate reading corresponding to GCPs.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set up and measure a GCP in areas where access is difficult or impossible (tidal flats, polar regions, volcanic regions, etc.), an alternative method is need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3D surface matching technique using only the established ground coordinate package, avoiding the ground-image-location survey of the GCP to correct the DEM produced from WorldView-2 satellite images and the provided RPCs. The location data of the public control points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website, and the DEM was corrected by performing 3D surface matching with this package. The accuracy of 3-axis translation and rotation obtained by the matching was evaluated using pre-measured GPS checkpoint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obtain results within 2 m in the plane location and 1 m in height.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2020.06a
/
pp.232-232
/
2020
하천기본계획 수립이나 생태하천 조성사업 등 다양한 하천사업에서 하천측량은 대상 하천의 지형 현황과 과거 사업이후의 변화량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국내 측량 기준인 공공측량작업규정(국토지리정보원)에서 하천 측량은 육지부에서는 횡단측량을 수부에서는 수심측량을 실시하고 수심측량은 음향측심기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국내 대부분의 수심측량은 단빔 음향측심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일부 수심 확보 구간 또는 연구목적으로 멀티빔 음향측심기를 적용한 사례가 일부 보고된 바가 있다. 최근 수심측정이 가능한 항공수심측량(Airbone LiDAR Bathymetry) 장비 중 핵심계측기기인 Green LiDAR 센서 국산화 및 경량화에 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하천 여건에서 개발 센서가 어느 정도의 활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우선 환경부가 운영중인 수질자동측정망 71개 지점의 정기측정성과 중 탁도에 관한 일자료를 확보가 가능한 45개 지점을 대상으로 G-LiDAR 센서의 SD(Secchi Depth)를 기준으로 가용계측일을 산정해 보았다. 분석기간은 '12. 7.부터 '19.12.까지이며 분석기간중 SD 1.5m(1.94 NTU 추정) 기준을 만족하는 기간은 한강 2.07년, 낙동강 0.64년, 금강 2.21년, 영산강 2.71년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점별 가용기간 분석결과 분석기간인 7.33년 동안 탁도 기준이하인 운영 가능 기간은 연중 평균 80여일(2.74개월)로 나타나 제한적이나마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현장조사를 통해 공공측량 성과와 대상수계의 탁도 실측자료와의 연계분석을 통해 정확한 활용성 검토를 수행할 예정이다. 향후 적용 센서의 개발 성능목표를 달성한다면 하천내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KOMPSAT-3 can acquire panchromatic stereo image with 0.7 m spatial resolution, and provides 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 (RPC). In order to determine ground coordinate using the provides RPC, which include interior-exterior orientation errors, its adjustment is needed by using the Ground Control Point (GCP). Several thousands of national Unified Control Points (UCPs) are established and overall distributed in the country by the Korean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UCPs therefore can be easily searched and downloaded by the national-control-point-record-issues system. This paper introduced the point-extraction method and the distance-bearing method to detect of UCPs. As results, the distance-bearing method was better detected through the experiment. RPC adjustment using this method was compared with that by only one UCP and GCPs using GPS. The proposed method was more accurate than the other method in the horizontal. As demonstrat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UCPs detection method could be replaced GPS surveying for RPC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v.13
no.1
/
pp.50-61
/
2010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way to build a comprehensive wetland ecosystem database using the technique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 Landsat TM image (taken in Oct. 30, 2002), Kompsat-2 images (Jan. 17, 2008 & Nov. 20, 2008), LiDAR(Mar. 1, 2009) were used for the primary source for the image analysis.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March to August of 2009 to help image analysis and examine the results. An actual wetland vegetation map was created based on the field survey. Satellite images were analyzed by unsupervised and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s and finally categorized into such classes as Phragmites australis community, mixed community, sand beach, Scirpus planiculmis community and non-vegetation intertidal area. The map of wetland productivity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ductivity of Phragmites australis and the relationship to the proximity of adjacent water bodies. The developed 3 dimensional wetland map showed such several potential applications as flood inundation, birds flyway viewsheds and benthos distribut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remote sensing and GIS techniques for producing wetland ecosystem spatial database and these techniques are very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wetland inventor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v.22
no.1
/
pp.19-27
/
2019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Demilitarized Zone and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MDL) on the Korean Peninsular. For this purpose, maps of the Armistice Agreement Volume II were used. These maps are nine sheets. In order to extract the MDL shown on the map, coordinates were assigned to the scanned image maps using the georeferencing module of ArcGIS based on the sheet line coordinates. The accuracy of the extracted vectors was checked by overlaying them on the maps of the Armistice Agreement Volume II. And I tried to validate these vector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vectors extracted from Kim(2007). Vectors extracted from Kim(2007) had errors in the curvilinear parts of the MDL, but the vectors extracted from this study exactly matched the MDL in the Armistice Agreement Volume II. The measured length is 239.42km(148.77miles). This means that the expression '155mile MDL' or '248km DMZ' in papers, reports or mass media has so far been inappropriate. I think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exact length of the DMZ in studies related with DMZ or in policy decisions by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However, it is deemed necessary to verify this result by 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fter these verification procedures, I hope that the national government will inform the people of the exact length of DMZ and MDL.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