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토정보체계

Search Result 33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patial Designation of Impact Fee Zone based on the Parcel Development Permit Information (개발허가필지의 지리정보를 이용한 기반시설 부담구역 지정방안)

  • Choei, N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3
    • /
    • pp.116-127
    • /
    • 2009
  • One of the criteria provided by the law to spatially determine the zones to levy the so-called development impact fee requires that the increase rate of the development permit should exceed that of the entire locality by more than 20 percent. Since the permits are issued to scattered parcels, however, it renders significant difficulties in accurately figuring out the finite local areas that exceed such legal criteria. This study, in this context, tries to join the development permit time-series data with the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KLIS) so that, with the aid of the landform layer and existing infrastructure layer, it could pinpoint the local area where the development activities are concentrating. Taking a sector in Yangpyong County as the case, the study demonstrates the methods to designate the zone by processing the permit information data.

  • PDF

A Study on the Unification Scheme of Surveying Policy and Geographic Inform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남북한 측량제도 및 지리정보 통합방안 연구)

  • Choi Yun-Soo;Park Hong-Gi;Lee Ho-N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4 no.2
    • /
    • pp.193-200
    • /
    • 2006
  • Geographic information and surveying products are a momentous national infrastructure since it is an essential basis for land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Hence,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ystematic plan and countermeasure for the upcoming unification of Korea. Otherwise there would be tremendous confusion and it will cause enormous expenses to establish the national surveying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tandard. In order to show the vision of policies preparing for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we analyzed the case of Germany and the current status of surveying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by taking the internet investigation, having a seminar, interviewing experts, and visiting related organizations. First of all, we should predict the change of surveying circumstances after the reunification and establish a plan that unifies laws, systems, and surveying standards of North and South Korea. We need to modify the datum point and unify the surveying product of South and North Korea in World Geodetic System. To accomplish these goals, we must make the map of Korean peninsula and neighboring nations, especially urban area of North Korea. It is considered that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should take a major role in the unification of Korea. With these active preparations and plans, we will achieve the goals of establishing the reinforced surveying policy and minimizing the reunification expenses.

Object-oriented Road Field BIM Standard Object Classification System Suggest Development Plan (객체지향의 도로분야 BIM 표준객체분류체계 개발방안)

  • Nam, Jeong-Yong;Kim, Min-J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3
    • /
    • pp.119-129
    • /
    • 2018
  •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promulgated the mandatory design of BIM for road projects of more than 50 billion won by 2020 under the Basic Plan for the Sixth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s a result, major public clients are attempting to implement BIM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of each institution.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design and construct a proper BIM and accumulate BIM information of the ordering organization because the technical guidelines and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that can perform BIM effectively have not been presented sufficien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ad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e.g., atypical objects, such as earthworks, which are constantly changing along a line; large objects, such as bridges and tunnels; and facilities, such as signs and soundproof walls. To achieve this, a multitude of standard systems should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but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n practical methods.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developed a BIM standard object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road sector to meet the international standard, accommodate a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system, and provide a more effective BIM standard information environment that can be utilized easily by practitioners.

Policy Framework for Introducing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세계측지계의 체계적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Shin, Dong-B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6 no.2
    • /
    • pp.183-191
    • /
    • 2008
  • Geodetic Reference System was deferred from 2007 to 2010. Although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n Korea takes charge of it, the progress is slow without clear policy alternatives. In this regards,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practical measures for introducing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Successful foreign countries have well established institutional system for improving their geodetic reference systems. In Kore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and some municipalities have propelled introduction of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However, none of them have systemical approaches. Although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as conducted several researches regarding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comprehensive policy measures by central governments are not yet made. It suggests methods of data conversion, organizational structures, financial resources, and other supportive measures. Introduction of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is nationwide project. However, there is not nationwide project promotion and management system yet. This research suggests overall policy frameworks to effectively propel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Accuracy Evaluation and Test of Digital Map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위한 수치지도의 정확도 평가 및 검정)

  • Yeu, Bock-Mo;Kwon, Hyun;Pior, Myoung-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3 no.1 s.5
    • /
    • pp.123-137
    • /
    • 1995
  • The digital information of Land is very important as the basis of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And the necessity of it is also increasing. But these days, every other institute that is needing digital map is seperately digitalizing lsnd information. So we need the stadard of accuracy evaluation and the method of hypothesis test for it. In this study, we check the standards of foreign countries and compare and analyze with our country's. After doing it, we suggest the direction for standard of digital map and statistical methods for testing accuracy evaluation about total maps that is digitized. Using hypergeometric distribution for considering consumer risk and producer risk, the statistical test can be for deciding optimal sampling map numbers by the total map and the agreement of contacting parties.

  • PDF

Construction Business Informatization Overview and Development Direction (Construction CALS) (건설CALS 기반의 건설정보화 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

  • Seo, Myoung-Bae;Kim, Jin-Uk;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23-24
    • /
    • 2012
  • 국내의 건설산업은 '11년 기준 580억불 수주를 달성하는 등 비약적인 양적성장을 이루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외형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질적성장의 발전속도는 매우 더딘 상황이다. 이에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사업 전 단계에 발생하는 각종 건설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건설사업비 진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정보화사업(건설CALS)을 추진중에 있다. CALS는 제조업의 모든 상품, 즉 주요장비 또는 다양한 상품 등을 획득하기 위한 설계, 생산과정, 또는 보급, 조달 및 이를 운영하는 운용지원과정을 연결시키고, 이들 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표준이라는 공통 창구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상으로 정보를 통합하여 자동화시키는 개념이다. 이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호 교환이 이루어지는 자동화되고 통합된 환경으로 변환시키는 정부와 기업간의 경영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국내에서 진행중인 건설CALS사업현황을 고찰하고 급변하는 건설정보화 환경에 맞춰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건설CALS가 건설산업의 신성장동력이 될수 있는 향후 발전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Research about sharing of compensation data between owner and contractor for construction CALS improvement (건설CALS 완성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이해당사자간 보상자료 공유방안 연구)

  • Seo, Myoung-Bae;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144-147
    • /
    • 2010
  •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산업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990년대 후반부터 건설사업정보화(CALS : 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cycle Support) 사업을 진행중에 있다. CALS는 제조업의 모든 상품, 즉 주요장비 또는 다양한 상품 등을 획득하기 위한 설계, 생산과정, 또는 보급, 조달 및 이를 운영하는 운용지원과정을 연결시키고, 이들 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표준이라는 공통 창구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상으로 정보를 통합하여 자동화시키는 개념이다. 이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호 교환이 이루어지는 자동화되고 통합된 환경으로 변환시키는 정부와 기업간의 경영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서 확장된 건설CALS는 건설공사 전 과정, 즉 기획, 설계, 조달, 시공, 유지보수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교환하고 공유하기 위한 개념으로 출발하였으며, 현재 이를 지원하기 위한 5개의 단위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중에 있다. 이중 용지보상시스템은 건설공사의 업무중에 시공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보상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보상업무는 건설사업 과정 중에서 민원인과 직접대면하는 일이 많고, 액수도 클 뿐만 아니라 개인의 소유권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분쟁의 소지가 매우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상업무 수행시 다양한 이해당사간의 각종 보상자료 교환체계 확립을 통한 업무 선진화방안 제시를 통해 업무의 투명성을 최대화하고 민원을 최소화하여, 보상업무 담당자에게는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민원인들에게는 국가행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보상업무 선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Categorizing Ecosystem Groups for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 Focused on Applicability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를 위한 생태계 유형분류 방안 검토 - 국내 토지피복분류 적용성을 중심으로 -)

  • Yeo, Inae;Bae, Haejin;Hong, Seungbum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6
    • /
    • pp.385-403
    • /
    • 2017
  • This study showed the national ecosystem classification for the spatial standards of ecosystems-based approaches to the risk assessments and adaptation plan. The characteristics of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implement national adaptation plans, and ecosystem/habitat classification status was evaluated. Focusing on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widely utilized as spatial data for the assessments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n the UK and other countries in Europe, the applicability of the national land cover classification for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s was reviewed. Considering the ecosystem classification for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and establishing adaptation measures, it is difficult to apply rough classification method to the land cover system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on habitat trend by categoriz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rest ecosystems and agro-ecosystem occupied 62.3% and 25.0% of land cover, respectively, of the entire country. Although the area is small compared with the land area, wetland ecosystem (2.9%), marine ecosystem (0.4%), coastal ecosystem (0.6%), and urban ecosystem (6.1%) can be included in the risk assess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below the medium classification for the forest and agricultural land, as well as Inland wetland, which has a higher proportion of habitat preference of taxa than land area, marine/coastal habitat, and transition areas such as urban and natural ecosystem.

Lessons from Data Repository 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 Building Experience (데이터 리포지토리 GDR 구축 경험과 교훈)

  • Han, J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0-100
    • /
    • 2017
  • 100년의 역사를 지닌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국내 유일의 지질자원 전문연구기관으로서 그간 생산한 조사 연구데이터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귀중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큰 유산으로써 보존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KIGAM의 상황은 최종성과물 위주로 자료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사 연구 과정에서 생산된 암석 토양 지하수샘플이나 조사 탐사장비를 통해 얻어지는 자료는 연구자 또는 연구실 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관리체계는 자료의 공동 활용이 어렵고,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연구자의 퇴직이나, 조직개편으로 인한 팀 실의 분리 과정에서 자료의 손실과 훼손 가능성이 높고, 누가 어디에 어떤 자료를 무슨 형태로 보관하고 있는지 찾기 어려워 자료의 재활용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중복 조사 연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KIGAM은 지질자원분야 국가데이터센터 구축을 목표로 연구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유, 활용체계 구축을 위해 2015년도에 기획사업을 통해 중장기 로드맵을 포함한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DataNest를 기술이전받아 지질자원 연구데이터 리포지토리 시스템(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를 개발하였다. GDR 시스템 개발을 위해 연구데이터 분류코드를 작성하였으며, 2016년부터 데이터관리계획(DMP: Data Management Plan)을 주요사업 연구계획서 양식에 포함시켜 제출하도록 하였다. 과거 KIGAM은 연구데이터를 수집, 관리하기 위해 몇 차례에 걸쳐 시도를 했지만 실패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실패 요인에는 (1) 관련 정책, 제도, 조직, 인력, 예산 등 데이터 관리 인프라 부재, (2) 연구사업에서 생산된 데이터는 개인소유라는 인식 및 공유 의식 부족, (3) 데이터 관리 활동은 귀찮은 것이고, 시간 낭비라는 인식, (4) 데이터 관리 공개 공유 활동에 대한 보상체계 부재 등을 꼽을 수 있다. 즉, 제도를 포함한 인프라 부족과 경영진과 구성원의 인식부족이 제일 큰 원인으로 판단된다. 성공적인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꾸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경영진의 의지에 따라 사업이 중단되기도 한다. 이러한 과거의 실패 요인에 대한 해결 없이 지난 1년 6개월 정도의 GDR 운영은 지지부진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 즉 국가 R&D 성과물 관리차원에서 연구데이터를 주요 성과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사업계획서에 DMP를 포함시키고, 연구주제 및 분야별로 데이터센터(혹은 데이터 리포지토리)를 지정하고, 국가 R&D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센터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연구사업비 항목에 데이터 관리비를 신설하여 데이터센터의 운영비로 사용하도록 하면 예산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데이터 제출 및 인용도에 따라 데이터 생산부서 혹은 생산자에게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등 보상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 R&D 연구데이터의 수집, 관리, 공유, 활용을 제대로 성공시키려면 국가 R&D 최고정책결정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수적이다.

  • PDF

Geological Map Database Construction Using GIS (GIS를 이용한 지질도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 이사로;최위찬;민경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7 no.1
    • /
    • pp.147-153
    • /
    • 1999
  • Geological map and data are needed for land use planning, resources development, geological hazard prevention, environment protection and education, Since the nationwide geological database in Korea has not been constructed yet, there are many problems in using the geological map and data.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 stratigraphy unestablishment, map conservation and edge matching in geological paper map.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the geological map database, but the geological map database must be constructed as soon as possible as one of national thematic map. In this study, geological maps of pilot area such as Ansung geological map on a scale of 1:50,000, Busan on a scale of 1:250,000, Namchang on a scale of 1:25,000 and the whole Korean peninsula on a scale of 1:1,000,000 were designed and constructed to databas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In addition the geological map management program was developed by GIS program. The digital geological maps were produced using the constructed geological database. The database could be of access through Internet World Wide Web(WWW) environment and be distributed in Compact Disk(C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