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토정보체계

Search Result 32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ccuracy Evaluation and Test of Digital Map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위한 수치지도의 정확도 평가 및 검정)

  • Yeu, Bock-Mo;Kwon, Hyun;Pior, Myoung-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3 no.1 s.5
    • /
    • pp.123-137
    • /
    • 1995
  • The digital information of Land is very important as the basis of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And the necessity of it is also increasing. But these days, every other institute that is needing digital map is seperately digitalizing lsnd information. So we need the stadard of accuracy evaluation and the method of hypothesis test for it. In this study, we check the standards of foreign countries and compare and analyze with our country's. After doing it, we suggest the direction for standard of digital map and statistical methods for testing accuracy evaluation about total maps that is digitized. Using hypergeometric distribution for considering consumer risk and producer risk, the statistical test can be for deciding optimal sampling map numbers by the total map and the agreement of contacting parties.

  • PDF

Construction Business Informatization Overview and Development Direction (Construction CALS) (건설CALS 기반의 건설정보화 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

  • Seo, Myoung-Bae;Kim, Jin-Uk;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23-24
    • /
    • 2012
  • 국내의 건설산업은 '11년 기준 580억불 수주를 달성하는 등 비약적인 양적성장을 이루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외형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질적성장의 발전속도는 매우 더딘 상황이다. 이에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사업 전 단계에 발생하는 각종 건설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건설사업비 진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정보화사업(건설CALS)을 추진중에 있다. CALS는 제조업의 모든 상품, 즉 주요장비 또는 다양한 상품 등을 획득하기 위한 설계, 생산과정, 또는 보급, 조달 및 이를 운영하는 운용지원과정을 연결시키고, 이들 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표준이라는 공통 창구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상으로 정보를 통합하여 자동화시키는 개념이다. 이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호 교환이 이루어지는 자동화되고 통합된 환경으로 변환시키는 정부와 기업간의 경영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국내에서 진행중인 건설CALS사업현황을 고찰하고 급변하는 건설정보화 환경에 맞춰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건설CALS가 건설산업의 신성장동력이 될수 있는 향후 발전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Research about sharing of compensation data between owner and contractor for construction CALS improvement (건설CALS 완성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이해당사자간 보상자료 공유방안 연구)

  • Seo, Myoung-Bae;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144-147
    • /
    • 2010
  • 국토해양부에서는 건설산업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990년대 후반부터 건설사업정보화(CALS : 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cycle Support) 사업을 진행중에 있다. CALS는 제조업의 모든 상품, 즉 주요장비 또는 다양한 상품 등을 획득하기 위한 설계, 생산과정, 또는 보급, 조달 및 이를 운영하는 운용지원과정을 연결시키고, 이들 과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표준이라는 공통 창구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상으로 정보를 통합하여 자동화시키는 개념이다. 이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해 상호 교환이 이루어지는 자동화되고 통합된 환경으로 변환시키는 정부와 기업간의 경영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서 확장된 건설CALS는 건설공사 전 과정, 즉 기획, 설계, 조달, 시공, 유지보수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교환하고 공유하기 위한 개념으로 출발하였으며, 현재 이를 지원하기 위한 5개의 단위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중에 있다. 이중 용지보상시스템은 건설공사의 업무중에 시공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보상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보상업무는 건설사업 과정 중에서 민원인과 직접대면하는 일이 많고, 액수도 클 뿐만 아니라 개인의 소유권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분쟁의 소지가 매우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상업무 수행시 다양한 이해당사간의 각종 보상자료 교환체계 확립을 통한 업무 선진화방안 제시를 통해 업무의 투명성을 최대화하고 민원을 최소화하여, 보상업무 담당자에게는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민원인들에게는 국가행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보상업무 선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Categorizing Ecosystem Groups for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 Focused on Applicability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를 위한 생태계 유형분류 방안 검토 - 국내 토지피복분류 적용성을 중심으로 -)

  • Yeo, Inae;Bae, Haejin;Hong, Seungbum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6
    • /
    • pp.385-403
    • /
    • 2017
  • This study showed the national ecosystem classification for the spatial standards of ecosystems-based approaches to the risk assessments and adaptation plan. The characteristics of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implement national adaptation plans, and ecosystem/habitat classification status was evaluated. Focusing on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widely utilized as spatial data for the assessments of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n the UK and other countries in Europe, the applicability of the national land cover classification for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s was reviewed. Considering the ecosystem classification for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and establishing adaptation measures, it is difficult to apply rough classification method to the land cover system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on habitat trend by categoriz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rest ecosystems and agro-ecosystem occupied 62.3% and 25.0% of land cover, respectively, of the entire country. Although the area is small compared with the land area, wetland ecosystem (2.9%), marine ecosystem (0.4%), coastal ecosystem (0.6%), and urban ecosystem (6.1%) can be included in the risk assessm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below the medium classification for the forest and agricultural land, as well as Inland wetland, which has a higher proportion of habitat preference of taxa than land area, marine/coastal habitat, and transition areas such as urban and natural ecosystem.

Geological Map Database Construction Using GIS (GIS를 이용한 지질도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 이사로;최위찬;민경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7 no.1
    • /
    • pp.147-153
    • /
    • 1999
  • Geological map and data are needed for land use planning, resources development, geological hazard prevention, environment protection and education, Since the nationwide geological database in Korea has not been constructed yet, there are many problems in using the geological map and data.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 stratigraphy unestablishment, map conservation and edge matching in geological paper map.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the geological map database, but the geological map database must be constructed as soon as possible as one of national thematic map. In this study, geological maps of pilot area such as Ansung geological map on a scale of 1:50,000, Busan on a scale of 1:250,000, Namchang on a scale of 1:25,000 and the whole Korean peninsula on a scale of 1:1,000,000 were designed and constructed to database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In addition the geological map management program was developed by GIS program. The digital geological maps were produced using the constructed geological database. The database could be of access through Internet World Wide Web(WWW) environment and be distributed in Compact Disk(CD).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TestBed for Performance Inspection of Underground Surveying Equipment (지하공간탐사기기 성능검사 테스트베드 구축 연구)

  • Bae, Kyoung 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9 no.6
    • /
    • pp.525-531
    • /
    • 2021
  •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underground spatial is increasing due to urban concentration. And so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s being built. Because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s an important NSDI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the accuracy and performance of underground spatial exploration devices used for construction are managed separately. In accordance with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spatial information, the government is conducting performance tests for underground facilities surveying equipment. The current performance test site mainly targets metal pipelines, and there is no absolute position surveying inspection system. In this study, test bed model for performance inspection of underground space exploration equipment was presented. The test bed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est site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domestic test bed an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latest equipment.

Lessons from Data Repository 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 Building Experience (데이터 리포지토리 GDR 구축 경험과 교훈)

  • Han, J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0-100
    • /
    • 2017
  • 100년의 역사를 지닌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국내 유일의 지질자원 전문연구기관으로서 그간 생산한 조사 연구데이터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귀중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큰 유산으로써 보존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KIGAM의 상황은 최종성과물 위주로 자료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사 연구 과정에서 생산된 암석 토양 지하수샘플이나 조사 탐사장비를 통해 얻어지는 자료는 연구자 또는 연구실 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관리체계는 자료의 공동 활용이 어렵고,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연구자의 퇴직이나, 조직개편으로 인한 팀 실의 분리 과정에서 자료의 손실과 훼손 가능성이 높고, 누가 어디에 어떤 자료를 무슨 형태로 보관하고 있는지 찾기 어려워 자료의 재활용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중복 조사 연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KIGAM은 지질자원분야 국가데이터센터 구축을 목표로 연구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유, 활용체계 구축을 위해 2015년도에 기획사업을 통해 중장기 로드맵을 포함한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DataNest를 기술이전받아 지질자원 연구데이터 리포지토리 시스템(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를 개발하였다. GDR 시스템 개발을 위해 연구데이터 분류코드를 작성하였으며, 2016년부터 데이터관리계획(DMP: Data Management Plan)을 주요사업 연구계획서 양식에 포함시켜 제출하도록 하였다. 과거 KIGAM은 연구데이터를 수집, 관리하기 위해 몇 차례에 걸쳐 시도를 했지만 실패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실패 요인에는 (1) 관련 정책, 제도, 조직, 인력, 예산 등 데이터 관리 인프라 부재, (2) 연구사업에서 생산된 데이터는 개인소유라는 인식 및 공유 의식 부족, (3) 데이터 관리 활동은 귀찮은 것이고, 시간 낭비라는 인식, (4) 데이터 관리 공개 공유 활동에 대한 보상체계 부재 등을 꼽을 수 있다. 즉, 제도를 포함한 인프라 부족과 경영진과 구성원의 인식부족이 제일 큰 원인으로 판단된다. 성공적인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꾸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경영진의 의지에 따라 사업이 중단되기도 한다. 이러한 과거의 실패 요인에 대한 해결 없이 지난 1년 6개월 정도의 GDR 운영은 지지부진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 즉 국가 R&D 성과물 관리차원에서 연구데이터를 주요 성과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사업계획서에 DMP를 포함시키고, 연구주제 및 분야별로 데이터센터(혹은 데이터 리포지토리)를 지정하고, 국가 R&D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센터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연구사업비 항목에 데이터 관리비를 신설하여 데이터센터의 운영비로 사용하도록 하면 예산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데이터 제출 및 인용도에 따라 데이터 생산부서 혹은 생산자에게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등 보상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 R&D 연구데이터의 수집, 관리, 공유, 활용을 제대로 성공시키려면 국가 R&D 최고정책결정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수적이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gricultural Satellite Development Policy (농림업 중형위성 개발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Kim, Hyeon-Cheol;Kim, Ah-Leum;Kim, Bum-Seung;Hong, Suk-Young;Lee, Woo-Kyung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0 no.4
    • /
    • pp.87-94
    • /
    • 2015
  • The increasing demands and utilization of the multi-purpose satellites have led to diverse research activities with regards to satellite image processing and applications. In the domestic development project for the Compact Advanced Satellite, it is a goal to develop the satellite with the domestic individual technique performing a various tasks such as the earth observation, the monitoring of the weather, climate and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Compact Advanced Satellite is expect to be widely used in the agricultural sector, which account for a substantial part of public demand. This paper aims at establishing the way to utilize the satellite imagery in the domestic institution and the strategy for securing the specialized satellite payload in the agriculture sector. The technical element of satellite has a high value, so that it is hard to be transferred technology.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domestic development planning. Furthermore, this paper can be utilized to identify and support the incoming Compact Advanced Satellite development plan utilizing satellite images capabilities specially in agricultural sector.

Limitations of Estimating Watershed Areal Rainfall Using Point Gauge Rainfall (지점 강우량을 이용한 유역평균 강우량 산정의 한계)

  • Hwang, Seok Hwan;Yoon, Jung Soo;Kang, Na Rae;Noh, Hui Seong;Cho, Hyo 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9-22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현행 홍수예보에 활용되고 있는 지점 강우량의 면적강우량 산정 방법인 티센(Thiessen) 방법의 유역 평균 강우량 산정 시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점을 검토하여 보았다. 현행지상 강수량계 기반의 면적평균강우량 산정 방법은 호우의 이동 방향에 따라 실제 강우량과 시차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분석 결과 호우의 이동방향에 따른 강우의 시차발생이나 내삽 영역의 불확실성은 지점 강우량 관측의 한계로 티센방법 뿐만 아니라 지점 강우량을 사용하는 다른 내삽 방법에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티센방법은 유역별 지점의 가중치(영향영역)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났다. 즉 현행 티센방법에 의한 지상 강우량의 면적평균 강우량 산정 방법은 시공간적으로 큰 바이어스를 초래가 가능하다. 크리깅 방법을 이용하면 시공간적 바이어스 감소하나 지점 관측의 한계를 완전하게 해소하는데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점강우량 기반의 티센 유역평균 강수량 산정 체계에서 레이더 기반 유역평균 강우량 생산 활용 체계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of Compensation Data for Advanced Compensation Business (보상업무 선진화를 위한 범국가적인 보상자료 통합 관리방안)

  • Seo, Myoung-Bae;Kim, Nam-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07-1509
    • /
    • 2011
  • 공익사업 수행시 발생하는 용지보상은 매년 20조원에서 30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반면 각종 규정과 업무절차가 복잡하여 업무처리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에 국토해양부와 같은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도로공사 등 주요 공익사업 사업시행자들은 기관별로 별도의 보상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과학부, 국방부 등 보상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중앙부처가 대부분이고 기 개발되어 있더라도 시스템 활용도가 낮아 보상시스템을 활용한 보상통계자료의 작성 등이 어려워 매년 국가가 취득하는 공공용지 취득실적 및 규모 등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회계시스템과 연계가 되어 있지 않은 시스템이 많아 정확한 보상비 집행실적 추적이 어려워 과세자료 누락으로 인한 세금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 더불어, 과다보상비 책정 및 지급시 이를 체계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전산자료 부재 등으로 보상비 집행의 투명성이 저하될 소지가 있다. 이에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별로 용지보상시스템 사용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을 근간으로 범국가적으로 보상업무를 선진화 할 수 있는 보상자료 통합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