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토이용 정보체계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Smart Water Management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

  • Lee, Yoo Kyung;Lee, Se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86-86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 분석을 위하여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등장 배경, 주요 현안 및 연계성을 모색하고 도시재생방안으로서 스마트 물 관리체계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년대의 도시재건(Urban Reconstruction)과 1970~80년대의 도시재개발(Urban Renewal, Urban Redevelopment) 등의 정비 사업은 물리적 환경정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1990년대 환경문제가 세계적 이슈로 등장하면서 교외지역 난개발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게 되었고 도시의 물리 환경적, 산업 경제적, 사회 문화적 측면을 부흥시키는 도시재생 접근법이 출현하였다. 한국 정부는 2017년부터 시작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스마트도시 선도국가 도약과 세계적 흐름에 부합하는 도시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1980년대 초 등장한 스마트 기술은 2000년대 들어와 스마트 도시,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그리드 등의 분야로 확대, 진보하였다. 물 분야의 스마트 기술은 2009년 스마트워터그리드 이니셔티브(Smart Water Grid Initiative)의 발족과 함께 IBM, CISCO, Intel 등의 IT 기반 물 관리 워킹그룹 형성, Suez, Veolia, Siemens 등 수처리 기업의 스마트워터그리드 분야 진출 모색과 함께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12년 유엔 스마트 물 관리 포커스 그룹(ITU-T SG 5)의 스마트 물 관리 표준화 연구가 착수되었고 한국은 국토교통부 건설교통기술 연구 개발사업 중 하나로 스마트 물 관리 장기 연구 사업을 시작하였다. 스마트 물 관리는 수자원 및 상하수도 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스마트 미터, 센서, 디지털지도제작 등 ICT를 이용한 차세대 물 관리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상 분야를 고려한다면 하천수, 우수, 지하수, 하폐수처리수, 해수담수 등 다양한 수자원의 관리, 물의 생산과 수송, 사용한 물의 처리 및 재이용 등 물 관리 전 분야를 포함한다. 그러나 스마트 물 관리의 용어와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미국 등 선진국과 관련기업들은 스마트 물 관리를 '스마트 워터 미터, 센서, 첨단 모델링, 수문 지도제작, 스마트 관개농업, 자동화 로봇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지능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정보네트워크'로 정의한다. 일찍이 도시재생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실시한 영국 및 일본과 달리 한국의 도시재생은 개념, 구성요소, 범위, 사업방식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아직 형성단계에 있다. 또한 한국의 스마트 물 관리 논의는 개념정립 측면에서 심층적 논의가 거의 부재하였다. 기존의 논의들은 수자원 혹은 상하수도서비스 분야에서의 연구결과와 기술개발성과를 기계적으로 적용하고 확대하는 측면만을 부각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마트 물 관리에 대한 논의는 정보통신기술과 물 관리 서비스를 단편적으로 연결하고 적용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한계성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을 분석하고 지금까지 별개로 간주된 두 개념의 장점을 융합하여 향후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사업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the Utilization Potential of High-Resolution Optical Satellite Images in Port Ship Management: A Case Study on Berth Utilization in Busan New Port (고해상도 광학 위성영상의 항만선박관리 활용 가능성 평가: 부산 신항의 선석 활용을 대상으로)

  • Hyunsoo Kim ;Soyeong Jang ;Tae-Ho Ki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4
    • /
    • pp.1173-1183
    • /
    • 2023
  • Over the past 20 years, Korea's overall import and export cargo volume has increased at an average annual rate of approximately 5.3%. About 99% of the cargo is still being transported by sea. Due to recent increases in maritime cargo volume, congestion in maritime logistics has become challenging due to factor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and conflicts. Continuous monitoring of ports has become crucial. Various ground observation systems and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data have been utilized for monitoring ports and conducting numerous preliminary studie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container terminals and cargo volume prediction. However, small and developing countries' ports face difficulties in monitoring due to environmental issues and aging infrastructure compared to large ports. Recently, with the increasing utility of artificial satellites, preliminar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using satellite imagery for continuous maritime cargo data collection and establishing ocean monitoring systems in vast and hard-to-reach areas. This study aims to visually detect ships docked at berths in the Busan New Port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and quantitatively evaluate berth utilization rates. By utiliz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from Compact Advanced Satellite 500-1 (CAS500-1), Korea Multi-Purpose satellite-3 (KOMPSAT-3), PlanetScope, and Sentinel-2A, ships docked within the port berths were visually detected. The berth utilization rate was calculated using the total number of ships that could be docked at the berths. The results showed variations in berth utilization rates on June 2, 2022, with values of 0.67, 0.7, and 0.59, indicating fluctuations based on the time of satellite image capture. On June 3, 2022, the value remained at 0.7, signifying a consistent berth utilization rate despite changes in ship types. A higher berth utilization rate indicates active operations at the berth. This information can assist in basic planning for new ship operation schedules, as congested berths can lead to longer waiting times for ships in anchorages, potentially resulting in increased freight rates. The duration of operations at berths can vary from several hours to several days. The results of calculating changes in ships at berths based on differences in satellite image capture times, even with a time difference of 4 minutes and 49 seconds, demonstrated variations in ship presence. With short observation intervals and the utilization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continuous monitoring within ports can be achieved. Additionally, utilizing satellite imagery to monitor changes in ships at berths in minute increments could prove useful for small and developing country ports where harbor management is not well-established, offering valuable insights and solutions.

A method in calculation watershed precipitation using long-term probabilistic forecasts for water management (확률장기예보 물관리 활용을 위한 유역강수량 산정 방법 연구)

  • Kang, Noel;Kang, Jaewon;Hwang, Jin;Suh, Ae-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26-526
    • /
    • 2015
  • 우리나라는 국토의 대부분이 산악으로 이루어진 지형학적 특성과 여름철에 비가 집중된다는 기상학적 요인으로 인해 물관리가 어려운 편이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상 현상으로 돌발성 호우와 가뭄 등의 발생 빈도가 증대되면서 용수공급 관리는 더욱 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장기 기상정보는 안정적인 이수기 용수 공급을 위한 댐 수위 운영 및 홍수기 운영 목표 수위 계획 수립 등에 활용도가 매우 높다. 최근 기상청은 2014년 6월 이후부터 기존의 장기예보를 확률 예보 방식으로 변경하면서 기온과 강수량에 대하여 평년 대비 높음(많음), 비슷, 낮음(적음)으로 단순 예보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발생가능성에 대해 카테고리 별로 확률(%)을 발표하고 있다.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개정된 새로운 형태의 확률장기예보를 물관리에 정량적으로 적용하여 보다 정확도 높은 중장기 물관리 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확률장기예보를 실제 댐 운영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로서 과거 자료와 확률장기예보를 조합하여 2014년 6월~2015년 2월의 유역 강수량의 확률 분포를 전망하였다. 대상 지역은 안동댐 유역으로 과거 자료는 최근린법에 기초한 기상청 산하 관측소인 안동, 태백, 봉화, 영주의 1986~2013년의 월 자료를 사용하였고, Thissen법을 근거로 유역 강수량을 계산하였다. 확률장기예보는 안동댐 유역을 포함하는 대구 경북지역을 대상으로 한 동일한 기간의 예보 자료를 활용하였다. 과거 강수량은 각 월별로 적합도 검정 후 Gamma분포를 채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예보의 카테고리 별 기준값을 산정한 후 장기예보의 확률정보를 조합하여 강수량의 확률 분포를 작성하였다. 이를 2014년 6월~2015년 2월의 실제 강수량과 비교한 결과 2014년 11월과 2015년 1월 경우 가장 큰 확률의 카테고리 강수 범위 안에 실제 강수량이 포함되었으나 나머지 월에서는 실제 값과 카테고리 확률 간에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예보 자료 수의 제한 및 안동댐과 예보 구역의 지역 차에 의한 자료 차이 등이 배제되어 있기 때문에 참고 자료로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며, 확률장기예보 정보를 이용하여 유역 강수량의 확률 분포를 산정함으로서 물관리 부문에서 예보의 정량적 적용 가능성을 최초로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추후 기후 모델 특성과 확률장기예보 산출 기법 등을 보다 심도 깊게 고려하여 정확도 개선에 대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Improvement of Real-time Updating Methods of the National Base Map Using Building Layout Drawing (건물배치도를 이용한 국가기본도 수시수정 방법 개선)

  • Shin, Chang Soo;Park, Moon Jae;Choi, Yun Soo;Baek, kyu Yeong;Kim, Jaemyeong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8 no.1
    • /
    • pp.139-151
    • /
    • 2018
  • The National Base Map construction consists of the regular correction work of dividing the whole country into two regions and carrying out the modification Plotting by aerial photographs every two years as well as the real time updating work of correcting the major change feature within two weeks by the field survey and the As-Built Drawing. In the case of the Building Layout Drawing of Korea Real estate Administration intelligence System(KRAS) used for real time updating work of the National base map,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error is included in the positional error when applied to the National Base Map based on the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as the coordinate system based on the Regional Geodetic Reference System. In addition, National Base Map is registered based on the outline(eaves line) of the building in the Digital Topographic Map, and the Cadastral and Architecture are registered based on the building center line. Therefore, the Building Object management standard is inconsist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method, the network RTK survey was conducted directly on a location of the Building Layout Drawing of Korea Real estate Administration intelligence System(KRAS) and the problems were analyzed by comparing with the plane plotting position reference in National Base Map. In the case of the general structure with the difference on the Building center line and the eaves line, beside the location information was different also the difference in the ratio of the building object was different between Building center line and the eave.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Base data of the double layer of the Building center line and the outline of the building(eaves line) in order to utilize the Building Layout Drawing of Korea Real estate Administration intelligence System(KRA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an organic map update process that can acquire the up-to-dateness and the accuracy at the same time.

Studies on Expanding Application for the Recycling of Coal Ash in Domestic (국내 석탄재 재활용 확대 방안 연구)

  • Cho, Hanna;Maeng, Jun-Ho;Kim, Eun-yo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6
    • /
    • pp.563-573
    • /
    • 2017
  • Coal ash is generated from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s every year. The remaining quantity of coal ash ends up in the landfills except for the recycled portion, and the existing ash pond capacity is limited almost. Currently, the difficulties are faced in building a new ash treatment plant because of the concerns about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landfills at individual plant facilities. In terms of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 the recycling and effective uses of coal ash are recognized as urgent issues to be challenged.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obstacles in expanding the recycling of the coal ash in South Korea and proposes solutions based on the case study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specific recycling guidelines and standards are required to b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medium (soil, ground water, surface water and sea water) and the chemical. 2) by providing the recognition environmentally safe in recycling the coal ash, transparency in establishing the planning stages and activ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ty through promotion and research are essentially needed. 3) practical support system is required to encourage the power plant companies to use the coal ash as beneficial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