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지적 집중호우

Search Result 24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sis of the Vulnerable Area about Inundation on the Upriver Basin of Dam by Flood Simulation Using GIS (GIS 홍수 시뮬레이션에 의한 댐 상류 유역의 침수 취약지역 분석)

  • Um, Dae-Yong;Kim, Ji-H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7 no.6
    • /
    • pp.723-731
    • /
    • 2009
  • Recently, it has been strangely increasing rainfall and rainfall meter by global warming. so flood damage is being increase. It has happened there are so many damaged by influence by backwater of dam. However, the alleviative solutions of flood damages are focused on the lower river basin where the density of population is higher than upper river basin. This research proceeds based on design and build 3D topography model and reflects the topographical factors of upper river basin. It also simulated the circumstances of flooding by investigation of factors of outflow, hence, as a result, we would find out the vulnerable area for flooding and scale of damages effectively. This research suggests the solution and method of flooding for vulnerable area of the flooding to reduce the damages by predicting flooding. Thus, the suggestion may support to make a decision efficiently to prevent the damage of flooding.

Development of Automatic Flood Protection Wall to Prevent Inundation of Inland (내수침수방지가 가능한 자동차수벽에 관한 연구)

  • Kim, Ji Ho;Lee, Gyu Won;Park, Young Jin;Chang, J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73-373
    • /
    • 2019
  • 도시화로 인해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고, 불투수층이 증가되어 유출율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또한 최근의 기후변화에 의하여 홍수 및 침수가 빈번해짐에 따라, 도시에서 내수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 내수침수 해결방안은 배수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수관거 용량을 키우고, 펌프장을 증설하였으나, 국지적이고 기습적인 집중호우가 내리는 경우에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에 따라 지하방수로와 도시물순환 등 중장기계획이 수립되고 있으나, 지하철 출입구, 지하 주차장 출입구, 건물 외부 출입구 등 평상시에는 출입구로 사용하다가 홍수시에 내수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차수벽에 대한 다양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 외 차수벽에 대한 조사 및 분석결과 국외의 경우 자동 수동 반자동의 다양한 차수벽이 제시되어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이제야 제품개발이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수침수 피해가 큰 영국이나 미국의 뉴욕시의 경우 건축법에 의해 내수침수피해를 막을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 있으며, 실증실험도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외 차수벽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고, 자동차수벽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수치모의와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국내에서 사용가능한 적정 자동차수벽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ICT와 연계를 통해 원격제어 및 관리가 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사용가능한 내수침수방지가 가능한 자동차수벽이 제시된다면, 기후변화와 도시화에 대응하는 재난대응기술이 되어 내수침수가 빈번한 도시의 홍수복원력을 확보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기술연구를 통해 상용화된다면 국내 및 국외시장에 진출이 가능하리라 본다.

  • PDF

Computation of Underground Storm Water Storage Facilities Volume for Reducing the Flood Damage in Urban Area (도시침수저감을 위한 지하저류조 용량 산정)

  • Han, Kun-Yeun;Son, In-Ho;Lee, Sang-Yeob;Im, Jae-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007-1011
    • /
    • 2009
  • 도시지역에 있어서 홍수피해의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외수의 범람에 의한 침수와 내수 배제 불량에 의한 침수피해로 구분할 수 있는데 최근 도시지역에 발생하는 홍수피해의 대부분은 외수의 직접 범람에 의한 피해보다는 각종 수리구조물의 배제능력 부족이나 방류지점에서의 배수위의 영향으로 인한 내수의 배제 불량에 기인한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 도시지역에 홍수피해를 유발하고 있는 강우의 특징은 단시간에 많은 강우가 집중하여 발생하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단시간 내에 수공구조물의 기능을 마비시킴으로써 침수피해를 가중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배수시설 설계 시 이러한 강우의 특성과 도시유출 특성에 대한 고려가 요구되며 중요 시설물에 대해서는 설계빈도의 상향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도시유역에 적용되고 있는 강우-유출모형의 기본이론의 장 단점을 검토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용도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SWMM 모형을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대구 서구 비산 7동 배수구역의 유출모의를 실시한바, 향후 경제적 편익을 고려하고, 정확한 실측 유량자료 값을 산정, 관거 내 유속을 방해하는 토사 등 보다 정확한 관거자료, 모의에 사용하는 각종 매개 변수값의 정확도를 높인다면 인위적인 배수계통을 가지는 도시유역에서의 각종 풍수해에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보다 합리적인 방재대책 수립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Extreme Event Analysis Tool Base on Spatial Information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공간정보 기반 극단적 기후사상 분석 도구(EEAT) 개발)

  • Han, Kuk-Jin;Lee, Moung-Ji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3
    • /
    • pp.475-486
    • /
    • 2020
  • Climate change scenarios are the basis of research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consist of large-scale spatio-temporal data. From the data point of view, one scenario has a large capacity of about 83 gigabytes or more, and the data format is semi-structured, making it difficult to utilize the data through means such as search, extraction, archiving and analysis. In this study, a tool for analyzing extreme climate event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is develope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large-scale, multi-period climate change scenarios. In addition, a pilot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time and space in which the heavy rain thresholds that occurred in the past can occur in the future, by applying the developed tool to the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As a result, the days with a cumulative rainfall of more than 587.6 mm over three days would account for about 76 days in the 2080s, and localized heavy rains would occur. The developed analysis tool was designed to facilitate the entire process from the initial setting through to deriving analysis results on a single platform, and enabl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o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ats without using specific commercial software: web document format (HTML), image (PNG), climate change scenario (ESR), statistics (XLS).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this analysis tool is considered to be useful for determining future prospects for climate change or vulnerability assessment, etc.,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to develop an analysis tool for climate change scenarios based on climate change reports to be presented in the future.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Irrigation Facilities and water Management (수리시설 및 물 관리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 Kim, Jin-Taek;Oh, Seoung-Tae;La,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3-443
    • /
    • 2012
  • 최근 지구 온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하여 국지적 집중호우에 의한 농지 침수 및 유실 피해가 점차 증가 추세에 있으며 가뭄에 의한 물 부족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홍수 및 가뭄 피해에 대비하기 위하여 농업용 저수지와 수문 그리고 농수로와 같은 농업수리시설물이 신축 운영되고 있으나 이들 시설물은 비교적 규모가 작은 대신에 그 수가 매우 많고 또한 지역적으로 널리 산재해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이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이들 시설물은 물과 항상 접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열발생과 철근부식과 같은 노후화 현상이 뚜렷하게 진전되어 정기적 안전점검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농업수리시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농업용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확보 운영하기 위하여 물관리 자동화 사업이 추진되어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아직까지 현장업무가 관리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농촌 용수의 정확한 정보가 제때에 제공되지 못하는 등 농업수리시설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농촌수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농업수리시설 가운데 하나인 농수로의 수위 및 유량 정보를 자동으로 측정하며 농업수리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App을 개발하였다. 안드로이드 OS 기반의 스마트폰을 활용하였으며 여기에는 시설물 고유정보가 포함된 QR코드 및 Active 태그를 통하여 시설물의 상태정보를 원격에 있는 서버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는 원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농업수리시설물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현장관리자가 기존에 수기방식으로 시설물을 관리해 오던 것을 휴대단말 상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를 함으로써 시설물 유지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 PDF

Study of flood prevention alternative priorities using MCDM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을 이용한 홍수방어대안 우선순위 정립에 관한 연구)

  • Lim, Donghwa;Jeong, Soonchan;Lee, Eunkyung;Yi, Jae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3
    • /
    • pp.169-179
    • /
    • 2017
  • Recently, due to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in Korea, local heavy storm occurs frequently. In this study, the risky areas for flooding in urban areas are analyzed for flood inundation based on two-dimensional urban flood runoff model (XP-SWMM) focusing on coastal high flood-risk urban areas. In addition, the MCDM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 is utilized in order to establish the flood defense structural measures. The alternative flood reduction method are compared and the optimum flood defense measures are selected. A simulation model was used with three structural flood prevention measures (drainage pipe construction, water detention, flood pumping station). In order to decrease the flooding area, flood assessment criteria are suggested (flooded area, maximum inundation depth, damaged residential area, construction cost). Priorities of alternatives are determined by using compromise programming. As a result, the optimal flood defence alternative suggested for Janghang Zone 1 is flood pumping station and for Janghang Zone 2, 3 are drainage pipe construction.

Effects of Hydraulic-hydrological Changes by Monsoon Climate on the 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Paldang, Korea (몬순기후로 인한 수리수문학적 변화가 팔당호 동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

  • You, Kyung-A;Byeon, Myeong-Seop;Hwang, Soon-J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5 no.3
    • /
    • pp.278-288
    • /
    • 2012
  • The zooplankton community of Lake Paldang, Korea, was investigated on a weekly basis from 2004 to 2006. The seasonal succession of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as influenced by hydrological factors such as rainfall pattern and efflux in Lake Paldang. According to the monsoon climate, spring, fall and winter had reduced precipitation, so that zooplankton dynamics of the lake showed a typical succession pattern. In spring, small sized and faster growing rotifera rapidly increased, and copepods and cladocera noticeably increased thereafter. Rotifera dominated the zooplankton community, occupying more than 90% of total zooplankton abundance. Among rotifera, Keratella cochlearis was extremely dominant in spring. Copepoda were mainly present as Copepodid and Nauplius. Among cladoceran species, Bosmina longirostris was dominant. In summer, during the rainy season, zooplankton were flushed out by an associated dam. After the rainy season, rotifera increased rapidly when the water column of the lake was stable. During the fall, zooplankton abundance gradually reduced in accordance with decreasing water temperature. However, the occupation rate of copepod (Copepodid, Nauplius) increased relatively. Zooplankton dynamics were influenced by meteorological changes and hydraulic-hydrological factors, because Lake Paldang is a completely closed ecosystem.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Runoff Reduction Fac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Inundation Depth Distribution by Grid (격자별 침수심 분포 분석을 통한 우수저류시설 효과분석)

  • Lee Woo Jin;Park Jong Pyo;Kim Kwang Hyun;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4-504
    • /
    • 2023
  • 최근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의 빈도 및 규모가 커지게 되면서 최초 구조물의 설계시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국지적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도시방재를 위하여 기계획하였던 내수배제 시스템의 설계성능을 넘어 도시지역에 침수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시의 내수배제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우수저류조, 우수관거개선 등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설치 이후 구체적인 효과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저류시설의 설치 여부에 따른 침수발생 양상을 분석하고 우수저류시설 침수저감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XP-SWMM을 이용하여 2차원 침수해석 모의를 실시하였고 다양한 조건에서의 모의를 위하여 2차원 침수해석 모의조건을 설정하였다. 기계획된 우수저류시설의 설계시의 임계지속기간을 기준으로 IDF Curve를 통하여 설계강우량, 확률강우량 및 방재성능목표량을 재산정하였고 Huff4분위법을 이용하여 강우분포를 시켜 XP-SWMM에 적용하였다. 또한, 유역 최종 방류구에서 기점수위 조건과 자유방류 조건을 분리하여 모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우수저류시설의 설치여부에 따른 2차원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2차원 침수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월류량의 저감율과 격자별 침수심 분포 분석을 진행하였다. 월류량은 총량적인 지표를 가지고 있지만 격자별 침수심 분포 분석은 격자의 최대 침수심을 0.1m 간격으로 나누어 각 단계별 침수심 격자의 발생빈도를 산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한결과 우수저류조를 설치한 후에 격자의 최대침수심이 더 낮은 침수심 단계로 이동한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구조물의 설치 후에도 침수가 일어난다는 양적인 면이 아닌 격자의 침수심 분포 양상을 통해 도시침수에 직접적으로 저감이 나타나 효과를 기여할 수 있다는 지표라고 판단된다.

  • PDF

Direct damage cost estimation to use statistical data (통계자료를 이용한 직접피해액 산정)

  • Han, Myoung-Sun;Kim, C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0-230
    • /
    • 2011
  • 2000년대 들어 가장 이슈화된 용어는 수십년 이상 사용해오고 있는 기상이변, 기후변화일 것이다. 이는 지구 온난화, 온실효과 등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증가, 오존층 파괴, 해수온도 상승 등이 주요한 원인일 것이다. 수문학적 측면에서는 짧은 강우지속기간 동안 큰 강우강도를 갖는 집중 호우 및 국지성 호우와 해수온도 상승으로 강력한 규모의 태풍발생, 태풍지속기간을 연장하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극한 강우 발생사상으로 인해 홍수발생 위험요소가 증대하고, 홍수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따라서 그동안 수립해오던 치수대책 방안에 기상변화, 홍수 피해 규모 증대 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치수대책 수립의 적절한 판단기준을 수문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요소를 고려하여 수립함으로써 정책 입안자나 설계자가 객관적인 지표를 통해 적절한 치수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기존 인명손실 관련 연구결과 외에 다양한 국내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직접피해액 산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치수대책 평가시스템 구축 연구의 한 부분으로 5개년으로 계획되어 있다. 연구 목표 : 통계자료를 이용한 직접피해액 산정 1. 지역별 다양한 자산 산정 - 건축물 자료 조사 - 내구재 및 농작물 등의 자료 조사 2. 자산별 피해율 산정 조사 - 건축물 자산의 피해율 조사 - 내구재 및 농작물 등의 침수심에 따른 피해율 조사

  • PDF

Mesoscale Characteristics of Frontal System on Redar Data (레이더 자료에 나타난 전선성 강수계의 중규모적 특성 분석)

  • Jeong, Yeong-Seon;Im, Eun-Ha;Nam, Jae-Cheo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2
    • /
    • pp.219-227
    • /
    • 2000
  • In Korea, heavy rainfall is mainly induced by the Changma front or frontal system passed over Korea periodically. Both its unknown mesoscale characteristics and the lack of direct measurements make it difficult to predict precipitation reasonably. To understand its 3-dimensional structure, initiation and development mechanism of precipitation in that system will be very helpful to forecast it more accurately. A meteorological radar is specially useful because it produces direct measurement with high resolution in time and space. In this study, representative frontal system is selected and analyzed specially focused on its vertical structure using radar data. Results shows that there are convective cells with horizontal scale of 10 - 20 km in precipitation system. Melting layer located between 3 and 5 km height, maximum fall speeds of rain drops were seen just below bright ba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