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지적 지형

Search Result 20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omparative Analysis of Wind Flows in Wind Corridor Based on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Improve Urban Thermal Environments (도시 열환경개선을 위한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바람길 유동 비교 분석)

  • SEO, Bo-Yong;JUNG, 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2
    • /
    • pp.75-88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wind flows based on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 three-stage analysis was performed, starting with a comparison of meteoro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local wind direction (synoptic wind) and local wind flow. In the second stage the study area was subdivided into districts and suburban districts to analyze the relative change of local wind flow. In stage three, the formation of wind corridor for local wind flow, wind flow for the entire urban space, and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flows were verified comparatively using KLAM_21. Three results are notable, the first of which is a low correlation between synoptic wind of a region, and local wind, flow in terms of meteorology. Secondly, observations of local wind flow at five downtown districts and two suburban districts showed that there were diverse wind directions at each measurement point. This indicates that the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eas neighboring the measurement points could affect the local wind flow. Thirdly, verifying the results analyzed using KLAM_21, compared to Atomatic Weather System(AWS) measurement data, confirmed the reliability of the numerical modelling analysis. It was determined that local wind flow in a city performs a spatial function and role in ameliorating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a. This indicates that, when an urban planning project is designed,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a could be ameliorated effectively and sustainably if local wind flow caused by immediate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s confirmed systematically and techniques are intentionally applied to connect the flows spatially within areas where urban heat islands occur.

영월 쌍용리 연당리 일대의 Karst 지형에 관한 연구

  • 유재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5
    • /
    • pp.27-35
    • /
    • 1979
  • 우리나라에는 캠브로-오오도비스기에 속하는 조선누층군의 석회암이 넓게 분포되어 있는데 그들은 3개의 분포지역으로 구분된다. 즉 평안지향사, 삼척지향사 및 옥천지향사와 기타 소규모의 분포를 이루는 지역들이다. 이들 지역에는 국지적으로 Karst지형의 특징이 잘 관찰된다. 우리나라의 Karst 지형에 대한 연구는 개략적인 조사와 연구에 의하여 발표된바 있다.(중략)

  • PDF

Estimation of Local Surface Temperature from EBM with the Use of GRID/GIS and Remote Sensed data (GRID/GIS 및 RS 자료를 이용한 에너지 평형 모형으로부터의 국지적 지표 온도 산출)

  • 신선희;하경자;김재환;오현미;조명희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0 no.2
    • /
    • pp.103-116
    • /
    • 2004
  • The mesoscale atmospheric models to produce surface temperature can not generally consider the effect of the sloped terrain for direct solar radiation. These have not showed the regional difference of solar radiation and as a result, have made the big error in the local surface temperature. Therefore, we wished to represent the exact locality of surface temperature by considering the geometric properties of surface as well as the vegetated properties of surfa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duce local surface ground temperature in sloped terrain diagnostically using surface Energy Balance Model (EBM) with the use of GRID model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In this study, surface inhomogeneity over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are considered in estimation of the absorbed surface solar radiation in terms of the illumination angle, depending on topographical aspect and slope in GRID. Also, the properties of vegetated surface which the major components for the variability of surface temperature are considered in terms of NDVI.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 the locally changes in the surface ground temperature due to local ground aspect and slope effect and local properties of vegetated surface. The more detailed distribution of local surface temperature may drive the local circulation at lower atmospheric and it may explain better the real local circulation.

Gener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synthetic precipitation data (고해상도 종합 강우자료 복원 및 검증)

  • Kang, Hyung Jeon;Oh, Jai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42-146
    • /
    • 2016
  • 최근 저해상도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한 단기간에 내린 폭우나 극심한 가뭄 등과 같은 국지적인 기상 예보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 기상자료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지형이 복잡한 한반도의 경우 지형적인 영향을 고려한 고해상도 기상자료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남한 지역의 지상 관측 자료는 약 10km의 불규칙한 간격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복잡한 남한지역의 지형 특성을 고려하기에는 해상도가 낮아 상세한 기상 현상을 예측하기 힘들다. 또한, 북한의 경우 사용가능한 관측 자료가 부족하여 한반도 전체를 대상으로 한 기상 예보 및 기후 특성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강수 예측 모형인 QPM(Quantitative Precipitation Model)을 이용하여 3시간 간격의 현재기후(2000-2014년)에 대한 한반도 지역의 1km 강우 자료를 복원하였다. 관측 자료가 부족한 북한의 경우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1km 해상도의 강우 자료를 복원하였다. 이를 위해 몇 가지 특정한 강우 Case를 선별하였고, QPM 수행 시 필요한 강수, 상대습도, 지위고도, 연직 기온, 연직 바람장 등의 변수에 대하여 남한 지역에 해당하는 지점의 여러 재분석 자료와 실제 남한 지역의 지상/고층 관측 자료와의 비교 및 Correlation 분석을 통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재분석 자료인 NASA에서 제공하는 MERRA Reanalysis data를 선정하였다. 또한, 소규모 지형효과를 고려하기 위한 상세 지형자료로 고해상도 지형 자료인 DEM(*Digital Elevation Model) 1km 자료를 사용하였다. 한반도의 강우를 복원하기 위하여 Barnes 기법을 이용하여 불규칙적으로 분포해 있는 강수량 데이터를 규칙적인 자료로 격자화 하였고, 격자화 한 10km 해상도의 자료를 QPM을 통해 복잡한 지형 특성을 고려한 1km 해상도의 강우 자료로 복원하였다. 또한, QPM의 모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위에서 선별한 특정 강우 Case에 대하여 복원한 1km 강우자료와 200m 이내의 거리에서 겹치는 지상관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모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복원된 한반도 상세 강우 자료를 통해 통일을 대비한 기상, 농 수산업, 수자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될 수 있으며, 국지적인 폭우 및 가뭄 등의 이상 기상 현상을 분석하는 데 참고 기초 자료로써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Analysis of Regional Scale Topographic Effect Using MM5-A2C Coupling Modeling (국지규모 지형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MM5-A2C 결합 모델링 특성 분석)

  • Choi, Hyun-Jeong;Lee, Soon-Hwan;Kim, Hak-S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6 no.3
    • /
    • pp.210-221
    • /
    • 2015
  • The terrain features and surface characteristics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not only in meteorological modeling but also in air quality modeling. The diurnal evolution of local climate over complex terrain may be significantly controlled by the ground irregularities. Such topographic features can affect a thermally driven flow, either directly by causing changes in the wind direction or indirectly, by inducing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ground temperature. Over a complex terrain, these variations are due to the nonuniform distribution of solar radiation, which is highly determined by the ground geometrical characteristics, i.e. slope and orientation. Therefore, the accuracy of prediction of regional scale circulation is strong associated with the accuracy of land-use and topographic information in meso-scale circulation assessment. The objective of this work is a numerical simulation using MM5-A2C model with the detailed topography and land-use information as the surface boundary conditions of the air flow field in mountain regions. Meteorological conditions estimated by MM5-A2C command a great influence on the dispersion of mountain areas with the reasonable feature of topography where there is an important difference in orographic forcing.

삼척지역의 karst terrain에 관한 고찰

  • 정미숙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5 no.6
    • /
    • pp.23-30
    • /
    • 1980
  • 한반도 각지에는 캠브로-오오도비스기(Cambro-Ordovician)에 속하는 두터운 석회암층이 분포되어 있어 석회암지대 특유의 karst지형을 형성하는 곳이 많다. 그들은 3개의 분포지역으로 구분되는데, 즉, 평안지향사, 삼척지향사 및 옥천지향사 기타 소규모의 분포를 이루는 지역들이다. 이들 지역에는 국지적으로 karst지형의 특징이 잘 관찰되고 있다.(중략)

  • PDF

월악산 식물계절 연구에 관한 고찰

  • Park, Yong-Mok;Seo, Myeong-Won;Song, Se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458-459
    • /
    • 2006
  • 지구의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를 예측하기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월악산에서의 식물계절 연구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온의 변화 뿐만 아니라 단풍, 낙엽현삳과 같은 식물계절의 구성요소들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같은 종에서도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지형적 위치의 차이, 즉 능선인가 사면하부인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사면, 능선과 같은 지형적 요소를 잘 고려하여 생물계절 연구의 장소를 선정하는 것과 기온변화에 잘 반응하는 식물 종을 골라 식물계절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인 기초적 연구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 PDF

High resolution mapping of future forcasts for precipitation using AWE-GEN-2D over South Korea (AWE-GEN-2D를 이용한 국내 미래 강우의 고해상도 예측)

  • Doi, Manh Van;Kim,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28-328
    • /
    • 2022
  • GCM은 기후 변수들의 미래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모형이지만, 공간에 대해 저해상도 형태로 결과가 제공되며,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국지적 규모의 기후변수(즉, 강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간변동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강우의 예측은 강우의 생성과 소멸 과정을 추계학적으로 재현하는 일기생성 모형인 AWE-GEN을 이용하여 앙상블 시계열을 생성하고, 구름의 생성과 소멸 및 이동, wet/dry 셀들의 생성과 이동, 지형의 국지적 특성 등을 반영한 시공간 변동 앙상블 시계열은 AWE-GEN-2D 모형을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며, 국토의 대부분이 산악지형으로 구성된 국내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생성된 시공간 격자 기반의 일기생성 시계열은 PRISM을 사용하여 매핑된 강수량의 공간 분포와 비교, 검증하였으며, 측정되지 않은 관측소 또는 원격 지역에 대한 평균 및 극한 강수량의 미래 예측 추정에 사용되었다. 또한, 평균 및 극한 강우의 공간 분포에 대한 미래 변화는 다양한 기간, 이산화탄소 배출 시나리오 등의 영향에서도 고려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자원 관리 및 재난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The Daytime PBL Heating Process and Heating Rate by Meso-Scale Circulation (중규모 순환에 의한 대기경계층 가열과정과 주간 가열율 산정에 관한 연구)

  • 이화운;정우식;김동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41-442
    • /
    • 2003
  • 복잡한 지형에서 국지적인 순환에 의한 에너지 교환은 기상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종관장이 영향이 약하고 양호한 기상조건 하에서 대기 경계층내에서의 온도와 바람장은 국지적인 순환에 영향을 받는다(Kawamura,1979; Kuwagata et al.,1990; Winston et al.,1992). 즉 이러한 기상 조건 하에서는 중규모 순환에 의해 에너지의 수송효과가 크고 각기 수송된 에너지에 의해서 지역별로 대기 경계층내의 가열율에도 차이가 나타난다. (중략)

  • PDF

Optimization of PRISM Model for Gridded Daily Precipitation in Ungaged Watershed over South Korea (미계측 유역의 일단위 강수량 추정을 위한 PRISM 최적화)

  • Kim, Yong-Tak;Urnachimeg, Sumiya;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83-83
    • /
    • 2020
  • 지속되고 있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기상현상들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적 극한 사상에 대한 전망은 수자원 활용 계획을 수립하고 대응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기후, 수문, 지리, 생태 및 환경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신뢰할 수 있는 공간적 강수량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지형의 약 70%가 산악 지형인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의 일반적 공간보간 기법인 IDW 및 크리깅 방법은 고도가 높은 지역의 기상인자를 추정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프리즘(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 PRISM) 기법은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격자형태의 기상인자를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서 미계측 유역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일 단위 강수량 추정을 위하여 SCE-UA (Shuffled Complex Evolution-University of Arizona) 기법을 활용하여 최적화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PRISM 기법의 국내 적용 시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