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외박물관 한국실 (國外博物館 韓國室)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4 seconds

Changes in Domestic Perception of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Explored through Exhibitions Held in Korea (국내 전시 사례로 본 국외 소재 한국 문화재에 대한 국내의 인식 변화)

  • Shin Soyeon
    • Bangmulgwan gwa yeongu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Journal)
    • /
    • v.1
    • /
    • pp.330-355
    • /
    • 2024
  • There are two main perspectives in Korea on Korean cultural heritage located overseas: one views it as items that need to be repatriated since they were scattered abroad under unfortunate historical circumstances. The other considers them as a means to more widely promote Korea's culture and long history. A shift in perspective has gradually been taking place in the decades sinc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1945. This can be noted through three major types of exhibitions. The first type is exhibitions of repatriated cultural heritage that showcase items that were illegally removed from the country but later returned or otherwise acquired through purchase or donation. The Special Exhibition of Returned Cultural Heritage, which was held in 1966 on the occasion of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emphasized the legitimacy of reclaiming cultural properties that were illegally removed from Korea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round the 1990s, special exhibitions of private donations were held, which also highlighted the legitimacy of repatriation. The special exhibition of the Oegyujanggak Uigw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Outer Royal Library) held in 2011 was seen as an opportunity to raise public interest in repatriation, heal the wounds of history, and restore the nation's cultural pride. The second type of exhibition involves borrowing and displaying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in accordance with a theme as a means to reenergize and provide a comprehensive view of Korean culture. The exhibitions National Treasures from the Goryeo Dynasty in 1995 and National Treasure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in 1997 (both held at the Hoam Museum of Art) and the Masterpieces of Goryeo Buddhist Painting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2010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for exploring Korean cultural history. The third type is special exhibitions on the history of the collection of Korean cultural heritage. With Korea's economic growth in the 1980s and the increase in exhibitions and the number of galleries featuring Korean cultural heritage in overseas museums in the 1990s, interest in the history of acquisition also grew. Exhibitions like The Korean Collection of the Peabody Essex Museum in 1994 and Korean Art from the United States in 2012 introduced overseas galleries focused on Korean art and the diverse history of collecting Korean cultural properties. They also examined the perception of Korean art in the United States. These efforts heightened public interest in establishing and supporting Korean galleries abroad. The initiation of more systematic surveys and research on Korean cultural heritage located abroad and the contribution of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to the enhancement of the local understanding and promotion of Korean culture have resulted in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in Korea.

연약지반 연구 및 기술동향

  • 연약지반기술위원회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03a
    • /
    • pp.289-309
    • /
    • 2004
  •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계측대상 연약 지반이 대심도, 광역화함에 따라 연약지반 계측의 전반적인 추세는 자동계측 시스템의 사용과 준설ㆍ매립공사 또는 해수면상에서의 공사 특성상 케이블 관리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무선데이터 전송방식의 사용이다. 또한 유지관리의 필요성 증대로 인하여 계측 모니터링, 자동분석 프로그램의 기술도 발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는 계측에 대한 기술 개발이 미비할 뿐 아니라 계측기술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하고, 관련법이 정비되지 못하여 계측관련 기술 및 경험이 전무한 영세업체들까지 난립하여 치열한 경쟁을 하는 관계로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는 거의 중단된 상태이다. 따라서 정확한 유지관리 계측을 위해서는 대부분 외산기기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전자통신 기술의 수준을 감안할 때 관련법이 정비되고 체계적인 연구와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쉽게 세계적인 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한국지반공학회의 연약지반위원회에서는 2003년 8월 20일 한양대학교 박물관 강당에서 학술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격적인 세미나에 앞서 '연약지반 공학자의 당면문제 및 해결방안'에 관한 주제로 전 연약지반위원회 위원장이셨던 (주)에스코 컨설턴트의 김승렬박사께서 초청강연을 하여 주셨다. 김승렬박사께서는 그 원고의 꼬리말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며 마무리하셨다. 국내 연약지반 기술수준의 상황과 우리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좋은 말씀으로 생각되어 본고에서는 그 부분을 인용하는 것으로 끝을 맺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연약지반 기술수준은 동남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인 싱가포르, 대만, 태국, 심지어는 베트남에 비해 결코 우월한 위치에 있지 않다. 오히려 많이 낙후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경제규모와 위상과 발전상태에 비추어 보면 실로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렇게 된 배경에는 연약지반이 사회의 문제로 대두되는 일이 미미하여 이 분야에 쓸리는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은 점이 주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연약지반이 기술현장에서 문제로 떠오르기 시작한지도 째 오랜 시간이 경과하였다. 이제 더 이상 우리의 기술수준을 이대로 방치할 수는 없는 시점에 와 있는 것이다. 연약지반에 몸담고 있는 우리 스스로가 위상을 지키려는 노력을 배가하여야 한다. 연약지반 공학자들은 스스로 고급의 데이터를 생산하고 평가하고 예측하는 기법을 활발하게 적용하고 발전시킴으로써 자신들의 위치를 지켜야 할 것이다. Clean-handed-research만을 고집하는 환상에서 깨어나 국외의 변모하는 모습을 빠르게 수용하고 국내의 연약지반 관련 자료를 국외에 널리 알릴 수 있는 위치로 발돋움할 때 연약지반 공학자의 위상도 제고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