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방예산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3초

머신러닝을 이용한 구축함 수리부속 예측 연구 (A study on Destroyer Spare Parts Demand Forecasting using Machine Learning)

  • 정연오;김재동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05-408
    • /
    • 2020
  • 국방분야에서 전력 운영유지를 위한 군수분야 운영 효율화는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군수분야의 효율성을 위해 적정한 수리부속 확보는 장비의 가동률과 예산 절감 차원에서 중요성이 크다. 이에 군은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수리부속 수요예측에 대한 노력을 계속해 왔으나, 여전히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9개년의 수리부속 수요데이터를 분석하고 다양한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예측정확도를 비교·분석하고, 가장 적합한 수리부속 수요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국방과학기술예측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Defense S&T Forecasting)

  • 이명환;양해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21-132
    • /
    • 2006
  • 세계 각국은 한정된 예산이지만, 우선순위, 선택과 집중을 통하여 원하는 미래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기술예측방법론을 발전시키고 있다. 국방과학기술예측이 시작된 지도 20여년이 되었다. 그러나 공급자위주의 기술예측을 하고 있어 고객의 입장에 볼 때, 효용성이 미흡한 실태이다. 따라서 영국에서 시작된 기술전망(technology foresight) 방법론을 적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기술수요를 찾아서 기술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 이것이 진정한 국방과학기술예측의 가치로서 주변국보다 작고 약한 우리나라의 미래와 번영을 지켜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국방과학기술예측발전을 위한 8가지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국방연구시설장비 정보시스템(DRES)을 통한 국방연구시설·장비 관리 방안 연구 (Research on management plan of Defense Facilities and Equipments through DRES)

  • 김진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79-88
    • /
    • 2018
  • 세계 주요 국가들은 미래성장 동력 육성과 신기술 확보를 위하여 국가차원의 R&D 지원을 확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R&D 투자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국가 R&D의 규모와 GDP 대비 면에서 세계 최고수준에 이른 상황이여서 R&D예산의 양적인 확대와 함께 효율적인 활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정부R&D혁신방안('15.5)의 주요 과제 중 세부실행과제로 '연구시설 장비 활용도 제고'가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구축중인 국방연구시설장비 정보시스템(DRES)를 통해 국방분야 연구시설장비의 관리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국가차원의 연구시설장비 관리절차를 파악하였고 기존 국방분야 연구시설 장비의 관리현황과 문제점, 관련규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설계를 통하여 국방분야 연구시설 장비를 관리할 수 있는 정보체계를 설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리방안을 연구하였다.

합리적 국방획득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 (A Plan for Building up the Rational Defense Acquisition System)

  • 김종하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31
    • /
    • 2009
  • 본 논문은 방위사업청 개칭이후 국방획득체계 운영과정에서 드러난 몇 가지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는데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것은 앞으로 국방부가 획득체계를 개선할 시 참고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제시된 방안들은 첫째, 국방부와 방위사업청간 중기계획 및 예산편성에 관한 기능을 재정립해야 한다. 둘째,소요-획득-운영유지의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경제적 획득관리 및 전력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셋째, 소요-획득분야 인력순환(순환근무)을 제도화하고, 획득인력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인력관리법 및 전문교육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넷째, 무기체계 '총수명주기체계관리'를 시행하고, 방위사업청 주도의 개발 및 운용시험평가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 이것은 국방부-방위사업청-각 군 간 획득사업을 둘러싸고 파생되는 업무혼선과 갈등을 최소화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들이다.

우리나라 공군의 우주력 건설을 위한 정책적.법적고찰 (Research for Space Activities of Korea Air Force - Political and Legal Perspective)

  • 신성환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18권
    • /
    • pp.135-183
    • /
    • 2003
  • 1957년 이래 1999년 8월까지 약 313회의 우주발사 실패가 있었다. NASA의 '우주수송을 발전시킨다'라는 목표하에서, 제6의 목적은 우주선의 사고발생위험을 10년내에 1/40으로, 25년내에 1/140으로 낮춘다는 것이다. 이는 곧 우주개발이 아직도 얼마나 위험한 것인가를 보여주는 통계자료이다. 왜 이렇게 위험한 우주여행을 감수하면서, 우주개발에 뛰어드는 것인가? 우주개발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통신 및 방송산업은 21세기 초에이룩될 우주산업의 가장 큰 분야가 될 전망이다. 특히, 우주의 특수한 환경인 무중력상태와 지구상보다 1,000 배나 높은 진공상태를 이용한 새로운 반도체의 개발 및 생산 그리고 신약의 개발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인데, 지난 1986년부터 지난달까지 운용되던 러시아의 "미르" 우주정거장에서는 수정을 생산하여 판매 하였다. 현재 우주산업은 미국, EU, 일본 등 소수 선진국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세계우주산업 시장규모는 년 평균 10% 이상 지속적인 신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특히 민간용 이동통신산업 확대, 우주탐사활동 증대, 우주정거장사업 추진등으로 우주산업 규모는 비약적으로 신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최근 5년간 ED와 일본은 연평균 15${\sim}$20 %의 고성장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 NASA가 1993년 가을부터 1996년 10월까지 3년동안 민간기업에 기술을 이전한 결과를 보면, 거시적 안목을 가지고 우주산업을 추진해야 함을 알 수 있다. NASA는 미국 전역에서 16,3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였으며, NASA 의 기술 이전으로 새로 생긴 상품은 938개에 달하며, NASA가 민간에 이전한 기술을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면 매년 16억 달러에 달하며, 또한 기술지원을 받은 미국기업을 5,600개가 넘는다. 또한, 경제외적인 측면에서 국가의 안보, 자주국방을 위한 정보수집을 위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는 외국에서 발사한 7개의 위성을 운영하고 있으며, '03년 8월 8일 고흥 외나로도에 인공위성발사장 기공식을 함으로써, 국내우주개발계획에 박차를 가하고 았다. 이러한 국가적인 우주개발계획과 함께 공군의 우주력건설에 따른 고찰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미국과의 MTCR 협의로 인하여, 사정거리 300km 이상의 미사일발사체를 개발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현실적으로 국방부(공군) 자체에서 우주발사체를 개발하는 것은 어렵다. 현대전에서 항공우주력은 곧 전쟁의 승패를 결정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며, 이미 전장이 우주로 화대되어 있는 현실에 있어서, 군의 우주력건설은 '우주력건설의 당위성'을 논할 때가 아니고, '어떻게 군의 우주력건설'을 하여야 하는 가 '우주력건설의 방법론'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되어야 할 때이다. 우주의 군사적이용에 대한 제한은 미국의 주장대로 "비침략적 이용(non-aggressive use)"이 옳은 판단이며, 구소련의 "비군사적 이용(non-military)"에 대한 주장은 옳지 않다. 이러한 구 소련의 주장은 러시아정부에서는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있지도 않고 현실성도 없는 주장이다. 따라서, 미국의 우주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개념에 의하면, 다목적위성의 군정찰목적으로의 이용이나, 상업위성의 군통신 이용은 자유롭다고 할 것이다. 즉, 공군은 군정찰위성, 통신위성 개발을 민간연구부서와 자유롭게 할 수 있다고 본다, 다만, 미국과의 MTCR 협정상 우주발사체 개발에 대해서는 제한을 받고 있으나, 우주발사체개발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위임하고, 궤도에 있는 위성을 운용하면 문제가 없다고 본다. 다목적위성은 주 임무가 Remote Sensing 인데 High resolution 특히 SAR 센서는 주로 군사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다목적위성은 공군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간의 공동으로 연구개발을 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미 공군도 현재 사용 중인 발사체를 단계적으로 제거하며 기업 발사체 이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군 통신의 특수성 때문에 민수용 통신 및 방송 서비스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왔으나 군 통신 중계기와 민간 통신 중계기가 혼합되어 운용됨으로써 군 위성 통신의 단독에서 오는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걸프전에서도 미국은 상용통신위성을 군 통신에 사용하였다. 우리나라의 우주과학기술 연구에의 착수는 다른 나라들과의 경제적 개발 정도와 비교해 볼 때 늦었으며, 우주개발예산 또한 상대적으로 일본은 2조원/년인데 비하여 우리는 5조원/15년으로 부족하다. 우주산업은 산업의 특성상 초기 육성기간은 산업체 수익사업으로 전개될 수 없으므로, 정부예산에 의한 사업추진이 불가피하다. 외국의 경우에도 우주개발 프로그램은 모두 정부사업이며, 최근 들어 통신 방송위성 등 극히 제한된 분야에 한해 민간사업이 추진되고 있을 뿐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와 같이 우주산업이 초창기에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필요성이 더욱 절박하며, 정부사업의 추진 시에도 정부지원예산의 회수를 전제로 하지 않는 정부출현 혹은 투자사업으로 추진되어야하는 것이 필수적 요소이다. 우주연구인력수준에 있어서도, 세계적으로 우주개발선전국들에 비하여 예산이 부족하며, 전문인력도 부족하다. 따라서, 국가 우주개발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추진과 사업 추진시의 힘의 분산 및 혼돈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한국의 우주개발 체계에 대한 선명한 제시와 함께 국내 우주개발 관련 법령의 제정이 시급하다. 또한, 우리나라 우주개발은 각기다른 법령하에 각기 다른 주무부처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므로, 국가적으로 집중적인 우주개발체제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주력건설을 위해서는 항공우주연구분야 즉 국방과학연구소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항공우주분야를 어떻게 협력 또는 통합하느냐에 대한 연구이전에, 우주력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전략과 정책을 수립할 '우주작전본부'를 공군에 설립하는 것이 선과제이다.'우주작전본부'를 설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방부와 합참의 전략적인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특히, 일본의 군의 우주력건설에 대한 계획을 참고하여, 자주국방을 위한 최소한의 군사목적의 정찰위성, 통신위성, 우주감시체계의 확보가 필요하다. MTCR협정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발사체개발을 이용하고, 또한 다목적위성, 통신위성개발을 활용하기 위하여 국방예산을 확보하여야 하겠으며, 우선적으로 일본의 정찰위성 운용예산인 약 2조 5천억원정도의 우주예산을 국방부에서 먼저 확보할 필요가 있다.

  • PDF

2011년 세계 각국의 우주분야 투자 및 우주산업 현황 (Statuses of World Governments' Space Activities and Space Markets in 2011)

  • 최남미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9권1호
    • /
    • pp.3-14
    • /
    • 2011
  • 인류의 최초 우주 비행으로부터 50년,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로부터 54년이 지난 현재 인류의 우주 활동은 어느 때 보다 활발하다. 2000년대 들어 연평균 66회 발사된 우주발사체는 2010년 74회 발사되었으며, 2010년 지구 궤도에서 운행되고 있는 인공위성은 900개에 이르렀다. 우주자산은 국가의 국방 및 안보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사회의 경제, 기술 개발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요소로 자리잡음에 따라 국가가 투자할 가치가 있는 중요 부분이 되었다. 2010년 세계 각국의 우주개발 예산은 715억 달러로 역사상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2002년 이후 세계 우주개발 예산은 연간 8%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2010년 2%로 낮아져 투자 증가율은 다소 둔화되었다. 반면 우리나라의 2011년 정부의 우주개발 예산은 1,825억원으로 2008년 이후 연평균 16%로 감소하였다. 천리안 위성 및 나로호 개발이 완료됨에 따라 개발주기에 따른 예산감소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본 논문에서는 세계 각국 및 우리나라의 우주분야 투자와 우주시장 현황을 정리하였고, 우리나라 예산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제고해보았다.

  • PDF

군인아파트 리모델링에 있어서 항목별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Decision Criterion in Military Apartment Remodeling Project)

  • 류국무;김길수;신창현;정용식;전재열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77-280
    • /
    • 2004
  • 군인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은 국방부의 군주거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현재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군인아파트 리모델링 사업 추진 시 체계적인 프로세스의 미흡, 예산의 부족, 전문 인력의 부족 등으로 사업 진행이 순탄하지만은 않다. 특히, 리모델링 사업의 예산은 사용부대 리모델링 소요제기 예산의 일부가 삭감되어 지급되기 때문에 당초 사용부대가 계획한 많은 부분의 공사가 누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곧 건물의 품질 저하와 리모델링 후 입주하게 될 입주자들의 불만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HP기법을 활용한 전문가와 거주자들의 설문을 통해 리모델링 사업 시 항목별 중요도를 분석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MRP를 활용한 방산업체의 원가관리시스템 설계

  • 최성빈
    • 경영과학
    • /
    • 제5권2호
    • /
    • pp.25-41
    • /
    • 1988
  • 정부는 군의 전력증강을 위하여 매년 국방예산중 상당한 액수를 국내 방산업체에서 생산하고 있는 방산물자의 구매에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막대한 예산을 효과적으로 집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계약행위이고 계약행위중 가격의 결정이다. 이때 계약가격의 결정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은 실제 생산활동에서 발생한 원가정보를 획득하여 이것을 근거로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원가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방산업체의 체계적인 원가자료의 수집과정과 원가관리시스템의 정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MRP개념을 활용하여 원천적으로 민수와 방산물자의 원가를 구분하여 적정원가를 산정할 수 있는 효율적인 원가시스템의 설계방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할 시스템은 계약가격 산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 이외에도 방산업체와 정부가 각자의 계획 및 통제, 정책수립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 PDF

자료포락분석(DEA)을 활용한 국방 기초연구개발 사업의 효율성 분석 (Analyzing the Efficiency of Defense Basic Research Projects using DEA)

  • 임용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17-524
    • /
    • 2020
  • 최근 4차 산업혁명의 거대 물결에 맞춰 국방 연구개발의 환경은 첨단 군사기술 중심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특히 선진국은 첨단 국방과학기술의 보호를 위해 기술수출 및 기술이전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미래 전장환경에 맞는 첨단무기 및 핵심기술의 독자개발 능력 확보를 위한 예산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정된 예산의 효율적 배분을 위해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효율성 제고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모수적 접근법인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을 활용하여 국방 기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투입변수로 연구비, 연구인력, 연구기간을 선정하였고, 산출 변수로는 논문, 특허 건수를 사용하였다. CCR(Charnes, Cooper and Rhodes), BCC(Banker, Charnes and Cooper) 모형 및 규모 효율성(Scale Efficiency, SE)을 통해 기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효율성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비효율적인 연구개발 사업은 비효율성의 원인을 제시하고 효율성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국방 기초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효율성 분석을 통해 과제 성과관리에 활용하고 환류를 통해 과제기획 단계에 반영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방 물류비용 추정 모델에 관한 연구 - 육군 피복류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st Estimation Model in the military logistics- Focus on the military clothing)

  • 박진우;강성진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0
    • /
    • 2006
  • 시장의 산업 구조가 더욱 복잡해지고 세계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현대 시장에서 물류에 대한 관심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기업에서는 상품의 원가 절감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물류비용 추정에 대해서는 계산이 복잡하여 대부분 수송 비용을 중심으로 단순화한 선형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군에서의 물류비용에 관한 연구는 매우 희박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방 물류비를 정의하고, 물류비의 구성 및 물류네트워크에 파라 물류비용에 대한 정량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일반적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모델을 군의 주요 피복품인 전투화에 적용하여 군에서의 물류비가 구성 비율에 있어 일반 기업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 분석하고, 효과적인 비용 절감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군의 물류비용 추정 및 군의 물류 의사 결정에 직접 지원되어 국방 예산의 효율적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