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민건강증진기금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Objectives and Strategies of Government Health Promotion Policy (정부의 건강증진사업 목표 및 추진방향)

  • Lee,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3-32
    • /
    • 2005
  •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은 국민의 건강수명 연장과 삶의 질 향상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는 건강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질병을 예방${\cdot}$관리하며 평생 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한 생활양식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기반으로 연구와 개발 강화, 법과 규칙의 조정, 기금과 인력과 같은 자원 확보는 필수적이다. 정부의 건강증진전략은 첫째 자원할당의 우선순위를 확보하는 것으로 건강증진, 질병 및 손상의 예방, 재활관련 사업에 더욱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며, 둘째로 국가차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포괄적인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프로그램(건강증진종합계획)과 모아보건, 학교보건, 산업보건, 그리고 만성질환예방프로그램 등이 포함된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셋째로, 건강증진기금을 공공보건을 위한 하부기반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투자함으로써 사업의 하부기반을 정비하는 것이다.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하부기반으로는 정책과 위임사항을 들 수 있는데, 국민건강증진법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05년 6월에 서울시 의회를 통과한 건강도시추진위원회를 들 수 있다. 정부의 건강증진사업의 법적 기반은 1995년에 제정된 국민건강증진법이다. 국민건강증진법은 국민들이 건강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책임의식을 함양하며, 올바른 건강지식을 갖고, 국민들이 건강한 생활양식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증진사업은 대중을 위한 보건교육과 건강상담, 영양관리, 구강보건관리, 질병의 조기발견과 치료를 위한 건강검진, 지역사회 건강문제에 관한 조사와 연구, 담배소비 감소와 건강증진부담금 부과를 통한 국민건강상태의 향상을 위한 사업이다. 훈련과정으로는 보건복지부에서 2005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시와 지역을 위한 현장관리 프로그램과 서울시가 수행예정인 지역수준의 지도자 훈련과정이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기금조성은 건강증진기금이 담배세로부터 조성되고 있으며 2004년 12월 31일 현재 담배 한 갑 당 500원으로 인상되어 부과되고 있다. 기금의 관리와 운용은 보건복지부가 담당하며, 기금은 건강한 생활양식형성에 대한 지원활동, 국민을 위한 보건교육과 교육자료 개발, 건강증진과 만성질환에 대한 연구, 질병의 조기발견을 위한 건강검진, 구강보건관리활동에 사용되고 있다. 향후 건강증진사업 투자계획은 1단계 (98-02년)에는 사업기반조성기, 2단계(03-06년) 보건소사업발전기, 3단계(07-11년)통합사업정착기로 구성되고 2단계의 인프라구축에 사용될 투자 비율은 30%에서 3단계에 15%로 감소될 예정이며, 사업실행 영역은 50%에서 65%로 확대될 계획이다. 2005년 건강증진사업의 중점목표는 건강증진사업의 지방 분산화,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 사회적 형평성의 달성에 있다. 건강증진사업의 지방분산화를 위해서는 중앙에 관리센터가 설치되어 기획과 평가, 연구와 개발, 현장관리 훈련을 담당하게 되고, 지역관리센터에서는 자치적인 보건소 중심 건강증진사업의 수행과 평가를 진행하게 된다. 건강증진사업의 근거마련을 위해서 효과가 입증된 사업에 우선순위를 두며, 기획과 평가위원회를 설치하고, 건강증진사업의 평가결과를 환류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건강증진포럼을 구성하며 현 건강조사 체계를 수정한다. 한편 형평성 제고의 측면에서는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들과 같은 취약계층의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간${\cdot}$사회적 집단 간의 건강증진사업관련 형평성을 제고한다.

  • PDF

Healthy Korea 2010 : Role of the Health Educator (Healthy Korea 2010추진과 보건교육 인력 활용 전략)

  • Choi, E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89-109
    • /
    • 2004
  •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duced the Health Plan 2010 aimed at setting up healthy Korea objectives, policies on preventing chronic diseases, reshaping the country's health and medical infrastructure. The policy goal targets the people's healthy life expectancy at 75 by 2010, and includes healthy life practice measures including health education, health improvement services, and disease management measures, in achieving the objectives. Also, the plan provides life cycle-based health improvement and disease prevention services, as well as pushes ahead with projects with greater ripple effects in each area. To this end, the government is simultaneously pushing to operate an experts-centered health promotion committee and establishing the infrastructure including the augmentation of national health improvement funds. Through its Health Plan 20 I 0, the Korean Government will exert efforts to achieve its policy objectives as addressed in the measures by enhancing the national potential health and providing systematic disease prevention services.

  • PDF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성과평가 지표 개발 및 시범평가

  • 서영준;이동현;손동국;정승원;정애숙;이희원;이무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151-168
    • /
    • 2004
  • 우리나라의 건강증진사업은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을 제정하면서 시작되었다. 동법의 제정과 더불어 보건소법을 지역보건법으로 전면개정하면서 보건소를 지역주민의 평생건강관리 중추기관으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지역보건소는 보건의료전달 체계에서 일차의료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고, 국가주도의 사업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난 1999년도부터 3년간 각 시도별로 1개소씩 건강증진거점보건소를 선정하여 건강증진시범사업을 실시한 후 그 사업성과를 평가하고, 2002년도 하반기부터 전국의 100개 보건소에 150억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여 건강증진사업을 추진하도록 기금을 지원하고 있는 것은 건강증진사업을 보건소를 중심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중략)

  • PDF

Health Improvement; Health Education, Health Promotion and the Settings Approach (건강 향상: 건강 교육, 건강 증진 및 배경적 접근)

  • Green, Jacki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111-129
    • /
    • 2004
  • This paper develops the argument that the 'Healthy Cities Approach' extends beyond the boundaries of officially designated Healthy Cities and suggests that signs of it are evident much more widely in efforts to promote health in the United Kingdom and in national policy. It draws on examples from Leeds, a major city in the north of England. In particular, it suggests that efforts to improve population health need to focus on the wider determinants and that this requires a collaborative response involving a range of different sectors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Inequality is recognised as a major issue and the need to identify areas of deprivation and direct resources towards these is emphasised. Childhood poverty is referred to and the importance of breaking cycles of deprivation. The role of the school is seen as important in contributing to health generally and the compatibility between Healthy Cities and Health Promoting Schools is noted. Not only can Health Promoting Schools improve the health of young people themselves they can also develop the skills, awareness and motivation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community. Using child pedestrian injury as an example, the paper argues that problems and their cause should not be conceived narrowly. The Healthy Cities movement has taught us that the response, if it is to be effective, should focus on the wider determinants and be adapted to local circumstances. Instead of simply attempting to change behaviour through traditional health education we need to ensure that the environment is healthy in itself and supports healthy behaviour. To achieve this we need to develop awareness, skills and motivation among policy makers, professionals and the community. The 'New Health' education is proposed as a term to distinguish the type of health education which addresses these issues from more traditional forms.

  • PDF

Experts View and Recommendation for Management and Operation of National Health Promotion Fund (국민건강증진기금 운영과 개선방향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

  • Kim, Hye-Ryun;Yeo, Jiyoung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31 no.3
    • /
    • pp.83-95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ts perception on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fund and related policies, and to obtain the perspective on the improving governance of the fund. Methods: Experts opinion survey was recruited 120 experts who were public health officials, and members of board in academic societies related to health promotion and health policy, and 60 exper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Most health care experts agreed that the current allocation of health promotion fund was not optimal with its lack of allocation on promoting healthy lifestyle and R&D for health promotion, while the majority of the fund was being spent on support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Thus, establishing governance system and control tower for the fund was viewed as critical. Also the status of deliberation committee should be raised to higher position where it can hold practical authority to plan and evaluate fund spending. Conclusions: The priority of health promotion fund spending should be more on improving health such as modifying life-style and spreading healthy habits, rather than on disease management or subsidizing health insurance. It is recommended that change from to environment in health promotion policy regime is required to establish effective governance system for the fund operation.

The Future Direction of Health Promotion Fund (국민건강증진기금 중장기 운용 방향)

  • Lee, Ju-Yul;Jeong, Ae-Suk;Kim, Hyun-Jeong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24 no.4
    • /
    • pp.201-217
    • /
    • 2007
  • This study reviews the amount and expenditures in national health promotion fund from 1997 to 2006, to analyse the problems and provide the future direction of health promotion fund programs. This study suggested the guide for future plans and the scope and contents of health promotion fund programs, priority and fund budgetary allocation, and operation organization. It is needed to revise health promotion law and enforcement decree of the health promotion act. The fund should be used in limited 9 areas related to healthy life activities: (1)Anti-smoking actions, (2)To support activities leading to a healthy life, (3)Public health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materials, (4)Investigation and research regarding community health matters, (5)Public nutrition management activities, (6)Oral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7)Physical exercises for health promotion, (8)Foundation related to supporting healthy life style practice society, (9)Expenses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fund. And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on, it is considered to reform the operation system including organization.

2007년도 민간단체 금연클리닉 사업 평가

  • Lee, Eun-Hui;Kim, Hye-Gyeong;Kim, Hui-Cheol;Hyeon, Seong-Min;Gwon, E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7-77
    • /
    • 2009
  • 한국건강관리협회는 1998년부터 국민건강증진기금의 지원으로 금연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회에서 실시한 '07년 민간단체 금연클리닉 사업을 대상으로 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사업의 과학적 근거 확보 및 향후 효과적인 사업 수행방안 마련 등 사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은 2007년 민간단체 금연클리닉에 참여한 군 경, 중소업체 종사자, 운송업체 종사자, 국방부지정부대 참여자, 학교/공공기관 종사자 중 설문조사에 성실하게 응답한 3,170명이다. 민간단체 금연클리닉 사업 효과성 평가 설계는 구조화된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금연클리닉에 참여한 집단만을 대상으로 참여 전(사전조사)과 금연클리닉 종료 후(사후조사)의 조사결과를 비교하는 단일 전후조사 설계(one-group pretest posttest design)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민간단체 금연클리닉 참여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은 15.96개비, 평균 흡연시작연령은 18.59세, 평균 총 흡연기간은 146.39개월로 나타났으며, 참여자의 니코틴 의존도는 평균 3.81점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참여자의 84.5%가 의지로 금연 시도하였으나 실패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참여자들의 상황별 흡연욕구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특히 술자리, 스트레스상황 등 특정 상황에서 흡연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금연관련 경험요인은 5점 기준 2.84점으로 조사되었으며, 인지적 과정이 행동적 과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민간단체 금연클리닉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았으나 상담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음을 감안할 때, 환경적인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금연클리닉의 효과나 만족도 부분에서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므로 참여 대상자의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