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력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Comparative analysis of cultural power as a soft power among national power (국력요소 중, 소프트파워로서의 문화경쟁력 비교분석 연구)

  • Choi, Chang-Hyun;Park, Jeong-Bae;Kim, Jong-Ge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6
    • /
    • pp.55-68
    • /
    • 2014
  • In this study, we performed an empirical research on how cultural power affects soft power as one of the elements of National Power. To fully exert the force of cultural power, appropriate level of "resources for power" need to be disseminated into cultural elements. Utilization of these resources need to appropriately developed and produced in quality and quantity when needed. This activity should be ensured with "composite support competence"; which is the combination of support organizations and their potentials. Indicators of cultural power includes society favorability rating, cultural favorability rating, E&D industry competitiveness index, and T&T competitiveness index. According to analysis of cultural power by each country, cultural industry (E&D) competitiveness index and travel and tourism (T&T) competitiveness index shows relatively high correlation.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ultural power as soft power" of South Korea, China and US, and how they are different and how their resources of power are represented in their E&D and T&T competitiveness.

'코드 그린(Code Green)'과 산업의 녹색전환(Green Transformation)

  • Jin, Hong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57
    • /
    • pp.32-35
    • /
    • 2009
  • 세계는 지금 녹색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Green Race’가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EU, 일본 등 선진국은 자원고갈과 환경위기를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의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녹색기술 개발 및 녹색산업의 육성에 모든 국력을 집중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현재 이 대열에 동참하기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같은 혁신과 정책 바람이 불고 있는 중이다.

  • PDF

나의 주장-과학도서출판 육성 시급하다

  • Yu, Gwang-J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4 s.347
    • /
    • pp.10-11
    • /
    • 1998
  • 과학기술의 정신적ㆍ문화적 의식의 개선 없이는 우리가 지향하는 과학의 대중화도 국력의 신장도 효과를 거둘 수 없다. 우리는 그동안 전 국민의 과학화 운동을 펴왔다. 과학기술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종이 매체인 도서출판의 육성이 병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 동안 과학기술도서의 활성화나 출한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없었다. 하루속히 출판예산을 세우고 출판기금도 조성하여 과학기술 도서출판을 활성화 해야겠다.

  • PDF

과학언론인 칼럼 - 과학기술 대중화운동

  • Lee, Ju-Ho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8 s.339
    • /
    • pp.86-87
    • /
    • 1997
  • 과학기술의 뒷받침없이는 나라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지금 우리 경제가 처한 어려움을 푸는 해법도 과학기술분야에서 찾아야 한다. 국력을 총동원해 과학기술 대중화운동을 전개하여 경제를 회생시킨 영국의 사례는 우리에게 좋은 교훈이 되고 있다. 우리 모두 전국민의 과학화가 지속적인 경제발전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인식하고 과학기술 대중화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해야 하겠다.

  • PDF

工學敎育의 虛와 實

  • 김천욱
    • Journal of the KSME
    • /
    • v.22 no.2
    • /
    • pp.108-114
    • /
    • 1982
  • 현재 우리나라는 1980 년대의 근대화되고 복지화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기반의 구축에 국력을 총집결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당면한 향상, 즉 기술혁신을 통한 제2의 도약을 이룰 기반의 미 약이다. 기술혁신의 주체는 고급기술에서 양성되는 것이므로 지난 70년대의 공학교육의 이상과 을 살펴보고 현실에 기초한 앞으로의 과제를 논하려 한다.

  • PDF

항공우주기술의 미래발전방향(2)

  • Park, Seung-Jo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0 s.176
    • /
    • pp.38-43
    • /
    • 1993
  • 항공우주기술은 첨단 종합과학기술로서 국력과 과학기술력을 가늠하는 척도의 기능을 합니다 선진국을 지향하고 있는 우리도 항공우주기술에서 국제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새로운 항공기와 인공위성 등 여러가지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앞으로 추진되어지는 선진각국의 항공우주사업이나 구상되어지는 기술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입니다 또한 장래의 국방기술 연구계획도 이러한 기술 발전방향을 고려하여 주도면밀하게 이루져야 할 것입니다

  • PDF

장래의 에너지 선택 - 레이저 핵융합 연구에도 투자를

  • Kim, Hyo-Geu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12 s.379
    • /
    • pp.10-11
    • /
    • 2000
  • 우리나라의 핵융합실험은 대형의 토카막으로 자기 핵융합실험인데 막대한 국력을 자기 핵융합장치 토카막에만 집중하는 것보다 그 예산의 일부나마 레이저 핵융합연구에 돌려 미래의 에너지 기술전쟁에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30년후 레이저 핵융합 분야의 연구에 있어서 기술종속국이 되지 않기 위해선 관련 기반연구에 대한 우선 투자가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 PDF

이, A-129 Mangusta 대전차 공격헬기

  • Gang, Geuk-Su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4 s.158
    • /
    • pp.34-41
    • /
    • 1992
  • 우리나라의 국력은 미국이나 소련, 일본에는 당분간 미칠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머지않아 이탈리아 수준에는 도달 할 수있고, 헬기를 중심으로한 육군 항공전력 소요는 2000천년대에도 계속 증가할 추세임을 감안 할 때, 우리도 이탈리아의 아구스타사와 같은 독자적 무기체계를 개발할 능력을 갖추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PDF

A Popularise Aspects and Consciousness of Times about Seol-In-Gui's narrative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설인귀 서사의 대중화 양상과 그 시대의식)

  • Seo, Hye-Eun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67
    • /
    • pp.35-67
    • /
    • 2017
  • This paper is a study on popularise aspects and consciousness of times about Seol-In-Gui's narrative in the Joseon Dynasty. Seol-In-Gui is general of Dang(唐) and he entered the war between Goguryeo(高句麗)and Dang. The war between Goguryeo and Dang is ended victory of Goguryeo. And Joseon peoples was long for power of Goguryeo and recognized again history of Goguryeo. So discourse of regaining native land was formed in the Joseon Dynasty. Besides was very popular in the Joseon Dynasty. Seol-In-Gui's narrative and are quite similar. And Dang-Tae-Jong, Ul-Ji-Gyeong-Deg's old story was prevalence. Dang-Tae-Jong and Ul-Ji-Gyeong-Deg entered war between Goguryo and Dang. Therefore Seol-In-Gui's narrative was popular in the Joseon Dynasty. Popularise aspects of Seol-In-Gui's narrative as follows. First, Seol-In-Gui's conquest of Yodong(遼東) narrative and heroism was gradually emerged in Seoul block printed of 40, 30 sheets version and printed book of . Second, Dang-Tae-Jong, Ul-Ji-Gyeong-Deg, Hab-So-Mun's individual narrative was formed. Third, Seol-In-Gui's narrative was expended to female hero's conquest of West-Beon(西蕃) narrative. Because are adaptations of . And is succession of Seol-In-Gui's narrative. Seol-In-Gui is people, Ben-Li-Hwa is female, Ben-Li-Hwa and Ul-Ji-Gyeong-Deg are ethnic. It is revealed that people, female, ethnic are real ability of Chinese nation. Furthermore it is revealed that people and female must are appointed and ethnic must is combined. Besides it is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built up national strength of Joseon Dynasty like Goguryeo and Goryeo. After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 national strength of Joseon Dynasty was weaken. So the Joseon Dynasty People long to be intensifed national strength keep in check China.

21세기의 핵심기술100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5 no.8 s.279
    • /
    • pp.58-61
    • /
    • 1992
  • 우리는 새로운 세기를 바로 9년 앞두고 있다. 지난 10년간 정보통신을 중심으로 한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기술력은 경제력이나 군사력과 함께 국력신장의 중요한 요소라는 인식이 더욱 높아져가고 있다. 이런 추세가 더욱 심화될 21세기의 핵심기술은 과연 어떤 것일까? 최근 일본경제기획청의 2010년 기술 예측위원회가 21세기 초의 산업기술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선정한 정보 및 전자기술, 신소재, 라이프싸이언스, 에너지, 통신, 자동화, 환경, 운수 및 통신, 공간이용 등 9개 분야에 걸친 1백항목의 핵심기술을 중심으로 21세기의 주요기술을 전망해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