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가적 생산 양식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해산어 종묘생산을 위한 물벼룩(Moina macrocopa)의 대량생산

  • 강석중;최병대;김광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93-194
    • /
    • 2000
  • 근래에 들어 어류 양식 분야가 활기를 띠면서 어류 종묘생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럼으로 인하여 먹이생물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고 이에 대응하는 먹이생물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먹이생물로 이용되어온 것은 chlorella와 rotifer, artemia 등이며 chlorella와 rotifer는 현재까지 배양하는데 별다른 문제가 없어 이용되고 있으나 artemia는 전세계적으로 생산이 급감하는 추세이며 우리 나라의 경우는 전량수입에 의존하여 국가적 손실이 크므로 이에 대한 대체먹이생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중략)

  • PDF

해산어 종묘생산을 위한 물벼룩의 영양강화

  • 손의정;강석중;최병대;김광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87-388
    • /
    • 2001
  • 근래에 들어 어류 양식 분야가 활기를 띠면서 어류 종묘생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럼으로 인하여 먹이생물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고 이에 대응하는 먹이생물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먹이생물로 이용되어온 것은 Chlorella와 Rotifer, Artemia등이며 Chlorella와 Rotifer는 현재까지 배양하는데 별다른 문제가 없어 이용되고 있으나 Artemia는 전세계적으로 생산이 급감하는 추세이며 우리 나라의 경우는 전량수입에 의존하여 국가적 손실이 크므로 이에 대한 대체먹이생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김 등, 1999). (중략)

  • PDF

한국(韓國)의 경제성장(經濟成長) : Kaldor법칙(法則)에서 성장양식분석(成長樣式分析)까지

  • Mun, U-Si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5 no.2
    • /
    • pp.161-179
    • /
    • 1993
  • 본고는 생산성(生産性)과 성장률(成長率)간의 누적적(累積的) 성장과정(成長過程)이라 불리는 Kaldor의 축약(縮約)모델을 구조(構造)모델로 확대하여 우리나라의 성장과정을 분석한다. 우리나라는 저임금(低賃金)을 통한 수출주도형(輸出主導型) 경제성장을 추구해 왔으나 87년 이후로 고임금화(高賃金化) 및 수출역할(輸出役割)의 감소(減少)라는 구조적(構造的) 위기(危機)를 겪고 있다. 과거 선진제국에서 고도성장을 가능케 하였던 "포디즘"적 성장체제는 이러한 위기(危機)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안된다. 왜냐하면 오늘날과 같이 국가간 상호의존성(相互依存性)이 크게 증대되고 국가간(國家間) 경쟁(競爭)이 심화되는 상황(globalization)하에서는 국내시장(國內市場)과 해외시장(海外市場)간의 구분 자체가 의미를 잃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출(輸出)과 내수(內需)가 독립적일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가 어떠한 성장양식으로 이행하든 그 방향은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강화(競爭力强化)와 일치해야 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고성장(高成長)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산성향상(生産性向上)이 소비증대(小費增大)가 아니라 수출증대(輸出增大)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

The Korean Development Strategy: Trajectories of the Korean Economic Development, 1961~2010 (한국의 발전 전략: 한국 경제발전 궤적(1961~2010))

  • Jung, Sung-Ho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4
    • /
    • pp.453-466
    • /
    • 2011
  •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Korean development strategy in the context of trajectories of the economic development from 1961 to 2010. The fast and high growth in the period of 1961 and 2010 resulted from the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mass production-mass exports' and '(relatively) high productivity-low wages' up to the late 1980s, a mixture of 'mass production-mass exports' and '(relatively) high productivity-high wages' to the late 1990s, and a combination of the reformation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for overcoming the Korean financial crisis and the gradual improvement of the marketization and social safety net since 2000. With respect to this model of development, the global and national modes of regulation were established. Along with the formation of endogenous forces (as the national mode of regulation), that of exogenous forces (as the global mode of regulation) are the important rules of the game at the global level, which lead and stabilize the process of accumulation by the export-led industrialization in Korea. In this respect, the establishment of global modes of regulation is led by exogenous forces such as trade regulations, exchange rates, global-Korean industrial relations, and global regulations of loans to developing countries. On the other hand, the national modes of regulation are formed by endogenous forces such as the triangular relationship of the state, capital and labor.

  • PDF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for the effective Digital Library System (효율적인 전자도서관 체제 구축을 위한 연구)

  • 류범종;강무영;조영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3-3
    • /
    • 1998
  • Digital library system is an area of multimedia data production system which can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traditional libraries. While the major role of the traditional libraries is servicing the customers, digital library system is a total system which produces new-formatted knowledge from the existing and new information, and servicing the knowledge to the customers. Thus digital library system must incorporate open and standardized document formats such as SGML, and make the knowledge shareable among the other digital library systems. In order to do show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for the effective digital library system, a technical alternative will be introduced as performing the Digital Library Pilot project.

  • PDF

Lessons from Data Repository 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 Building Experience (데이터 리포지토리 GDR 구축 경험과 교훈)

  • Han, J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0-100
    • /
    • 2017
  • 100년의 역사를 지닌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국내 유일의 지질자원 전문연구기관으로서 그간 생산한 조사 연구데이터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귀중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큰 유산으로써 보존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KIGAM의 상황은 최종성과물 위주로 자료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사 연구 과정에서 생산된 암석 토양 지하수샘플이나 조사 탐사장비를 통해 얻어지는 자료는 연구자 또는 연구실 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관리체계는 자료의 공동 활용이 어렵고,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연구자의 퇴직이나, 조직개편으로 인한 팀 실의 분리 과정에서 자료의 손실과 훼손 가능성이 높고, 누가 어디에 어떤 자료를 무슨 형태로 보관하고 있는지 찾기 어려워 자료의 재활용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중복 조사 연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KIGAM은 지질자원분야 국가데이터센터 구축을 목표로 연구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유, 활용체계 구축을 위해 2015년도에 기획사업을 통해 중장기 로드맵을 포함한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DataNest를 기술이전받아 지질자원 연구데이터 리포지토리 시스템(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를 개발하였다. GDR 시스템 개발을 위해 연구데이터 분류코드를 작성하였으며, 2016년부터 데이터관리계획(DMP: Data Management Plan)을 주요사업 연구계획서 양식에 포함시켜 제출하도록 하였다. 과거 KIGAM은 연구데이터를 수집, 관리하기 위해 몇 차례에 걸쳐 시도를 했지만 실패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실패 요인에는 (1) 관련 정책, 제도, 조직, 인력, 예산 등 데이터 관리 인프라 부재, (2) 연구사업에서 생산된 데이터는 개인소유라는 인식 및 공유 의식 부족, (3) 데이터 관리 활동은 귀찮은 것이고, 시간 낭비라는 인식, (4) 데이터 관리 공개 공유 활동에 대한 보상체계 부재 등을 꼽을 수 있다. 즉, 제도를 포함한 인프라 부족과 경영진과 구성원의 인식부족이 제일 큰 원인으로 판단된다. 성공적인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꾸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경영진의 의지에 따라 사업이 중단되기도 한다. 이러한 과거의 실패 요인에 대한 해결 없이 지난 1년 6개월 정도의 GDR 운영은 지지부진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 즉 국가 R&D 성과물 관리차원에서 연구데이터를 주요 성과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사업계획서에 DMP를 포함시키고, 연구주제 및 분야별로 데이터센터(혹은 데이터 리포지토리)를 지정하고, 국가 R&D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센터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연구사업비 항목에 데이터 관리비를 신설하여 데이터센터의 운영비로 사용하도록 하면 예산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데이터 제출 및 인용도에 따라 데이터 생산부서 혹은 생산자에게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등 보상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 R&D 연구데이터의 수집, 관리, 공유, 활용을 제대로 성공시키려면 국가 R&D 최고정책결정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수적이다.

  • PDF

Crisis and Restructuring of the Korean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between 1980 and 1997: Geographical Extension of Productive Forces and Intensive Accumulation Regimes (한국 섬유 의류산업의 위기와 재구조화(1980-1997): 생산력의 지리적 확장과 내연적 축적체제)

  • Sung Cheol Le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3 no.1
    • /
    • pp.53-81
    • /
    • 2000
  • Between 1980 and 1997 the Korean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KTCI) experienced the transformation of export-led accumulation regime rooted in domestically-derived price competitiveness into the combination between foreign mass production involving the geographical extension of productive forces and quality strategy based on upgrading technology and automation involved in the domestic market for high quality and price products. This restructuring of the KTCI is rooted at the crisis in the export-led growth regime implemented unity 1980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wage levels by the ‘great labour movement’occurred in 1987. In particular, increased wage and collective bargaining realized through labour empowerment led to the crisis in the conjoin between mass production and mass export based on long working hours and low wage structu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transformation of development modes between 1980 and 1997 that can help us in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reasons for the restructuring of the KTCI. To this end, the paper identifiles the changing accumulation regimes between 1980 and 1997 mediated by wage-labour relations, inter-firm relations and state-film relations, which are insitutional forms of the modes of regulation.

  • PDF

중소제조업(中小製造業) 고용문제(雇傭問題)에 대한 제도적(制度的) 접근(接近)

  • Lee, Ju-H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7 no.3
    • /
    • pp.55-128
    • /
    • 1995
  • 본고(本稿)에서는 지난 1973~93년 기간동안 제조업부문에서의 고용(雇傭), 임금(賃金), 생산성(生産性) 등의 변화추이(變化推移)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중소제조업(中小製造業)의 세가지 특징적(特徵的)인 팽창양식(膨脹樣式)으로 (1)급격한 양적(量的) 팽창(膨脹), (2)중소기업(中小企業)과 대기업(大企業)간 임금(賃金) 생산성(生産性) 격차(隔差)의 거대(據大), (3)산업조정(産業調整)에 따른 고용조정(雇傭調整) 등에 주목(注目)하였다. 이러한 중소제조업 고용의 동태적인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최근 심각히 부각되고 있는 중소제조업 생산직의 인력부족문제를 단순히 '노동(勞動)에 대한 초과수요(超過需要)'로 파악하는 정태적(靜態的)인 관점(觀點)을 비판하였으며, 또한 중소기업 인력(人力)의 질(質)이 대기업(大企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하되었음을 보임으로써 중소제조업(中小製造業) 고용문제(雇傭問題)의 핵심은 양적(量的)인 부족(不足)이 아니라 '인력(人力)의 질(質)'의 문제임을 강조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인력개발체계가 국가적(國家的)으로 직업자격(職業資格)을 갖춘 중간기술인력(中間技術人力)을 제대로 배출해 내는 데 실패함으로써, 대기업에 비하여 종업원에 대한 교육훈련에 있어서 규모의 경제를 갖지 못하는 중소기업의 경우 질 높은 인력의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본고(本稿)에서는 우리나라의 중소기업(中小企業)이 생산현장(生産現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직업자격(職業資格)을 갖춘 중간기술인력(中間技術人力)을 제대로 공급할 수 있도록, (1)직업기술교육(職業技術敎育), 직업훈련(職業訓練), 자격제도(資格制度)간의 연계(連繫) 강화(强化), (2)새로운 국가기술자격제도(國家技術資格制度)의 확립(確立), (3)인력개발(人力開發)네트워크의 구축(構築), (4)인력개발지원체계(人力開發支援體系)의 정비(整備) 등 네가지를 기본방향(基本方向)으로 하는 우리나라 인력개발체계(人力開發體系)의 전반적(全般的)인 개편(改編)을 제언(提言)하였다.

  • PDF

A review of the mass-mortalities of sea-cage farm fishes (해상 가두리양식장 양식어류의 대량폐사에 대하여)

  • Han, Jido;Lee, Deok-Chan
    • Journal of fish pathology
    • /
    • v.35 no.1
    • /
    • pp.1-25
    • /
    • 2022
  • The aquaculture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over the last three decades and is an important industry that supplies over 15% of humans' animal protein intak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ncrease production to meet the continuous demand. The fish cage farms on the southern coast (Kyengsangnam-do and Jeollanam-do) of Korea are critical resources in aquaculture because they account for approximately 90% of the national total fish cage farms by water area ratio. However, the current aquaculture environment is being gradual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which is a global issue, and its effects are expected to intensify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urgently imperative to accurately evaluate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South Korean aquaculture industries and to develop social and national strategies to minimize damage to the fishing industry. The damage to fish farmed in cage farms on the southern coast is increasing annually and the leading causes are high and low water temperature and red tides, which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climate change. At present, global warming can provide opportunities for aquaculture industrialization of fish or other novel species, with economic implications. However, despite such opportunities, the influx of new species can also cause problems such as ecological disturbances, increase in the reproduction frequency of microalgae such as red tide, increase in disease incidence, and occurrence and periods of high water temperatures in summer. The scale of farmed fish mortality is increasing due to the complex effects of these factors. Increased damages due to fish mortality not only have severe economic impacts on the aquaculture industry, but the social costs of responding to the damage and follow-up measures also increase. various active responses can reduce the mortality damage in fish farms such as improving the management skills in aquaculture, improved species breeding, efficient food management, disease prevention, proactive responses, and system-wide improvements. This review article analyzes the large-scale mortality cases occurring in fish cage farm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proposes measures to mitigate mortality and enhance responses to such scenarios.

A Service Framework for Supporting XML-based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Report Contents (XML 기반 국가연구개발보고서 콘텐츠 서비스의 프레임워크 설계)

  • Shon, Ho-Sun;Lee, Jong-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
    • /
    • pp.427-435
    • /
    • 2011
  • Th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the national R&D reports on the level of each government department have been operated in order to have special affiliated organizations collect detailed information, construct databases for R&D reports, and operate their information system; thus, the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R&D reports on the governmental level is insufficient. Also, each department requires to prepare a standardized electronic original text service system since mutually different electronic original text services have been provided. therefore, this paper sets up the following research goals and detailed research contents.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establish methods to standardize the forms of national R&D reports and suggest the framework for XML-based national R&D reports services by analyzing the problems in the forms of previous national R&D reports services. As detailed research contents, first, Identify the current R&D electronic original reports services by each government department. Second, this paper analyzed primary overseas science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systems related with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reports and related database schemata. this paper proposed the XML-based national R&D reports service framework through analyzing the problems in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national R&D reports service system and also established and suggested the methods to provide database schema design and report portal services. Lastly,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ill have academic contribution to enhancing R&D investment efficiency by utilizing collaboratively the information and resources related with national R&D through establishing the gener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national-dimension R&D reports and also managing science technology information efficiently and developing a user-centere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