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직률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New Estimate for the Natural Rate of Unemployment based on Job Finding and Separation Rates (구직률과 이직률을 활용한 자연실업률의 추정)

  • Kwon, Kyu Baek;Kim, Hyung Seok;Lee, Yoonsoo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8 no.2
    • /
    • pp.1-24
    • /
    • 2015
  • We estimate the natural rate of Unemployment in Korea, using job finding and separation rates. The estimation results suggest that both job finding and separation rates of Korea have increased after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However, we don't find evidence of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rend of the natural rate of unemployment. Overall our finding suggests that both job creation and destruction have increased.

  • PDF

Unemployment Insurance Take-up Rates in Korea (한국의 구직급여 수급률 결정요인 분석)

  • Lee, Daechang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9 no.1
    • /
    • pp.1-31
    • /
    • 2016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yclical behavior of UI benefit take-up rate, the share of unemployed persons who are eligible for job seekers' allowances(JSA) and actually receive them. Using Korea's Employment Insurance DB, it also identifies the factors linked to the decision to take up job seekers' allowan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ake-up rate is countercyclical and leads both unemployment rate and Coincident Composite Index cyclical component by 6 months and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placement rate and benefit duration, suggesting that extending benefit duration and raising benefit level can boost benefit claims to increase take-up rates in Korea.

  • PDF

실직근로자의 직업탐색과 재취업-광주지역 근로자를 중심으로-

  • 홍성우;양채열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2 no.1
    • /
    • pp.1-29
    • /
    • 1999
  • 한국은 지난 1960년대 이후 실업률이 추세적으로 하락하여왔기 때문에 실업구조, 직업탐색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적었으나 최근의 고 실업률은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고시키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저 실업률 시기의 자료를 사용한 것이므로 1998년의 고 실업률 자료를 활용한 연구는 다른 연구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 글은 고 실업률 시기로 진입한 지 1년이 되는 98년 11월말 광주광역시에서 실시된 상시고 실직자에 대한 설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고 실업률 시기의 실직자의 직업탐색과 실업기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많은 부분에서 일치하지만 한국에서 대량실업은 처음 겪는 상황이므로 이전의 연구결과와 다르거나 새로 확인된 사실들도 몇 가지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자발적 이유에 의한 실직자가 약 70%를 차지하고 구인배율이 아주 낮아 최근의 실업은 수요부족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임금을 낮추고 희망하지 않는 직종 산업 종사상 지위로 하향 구직을 하고 있었다. 둘째, 고실업률이 장기화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는 구직경로가 다양해졌고, 유보 임금 및 수락임금이 전직임금보다 약 20% 하락함으로써 임금이 신축적임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고실업 사태를 급작스럽게 맞이하면서 이전임금에 대한 집착이 강하여 하락폭은 충분히 신축적이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셋째, 실업보험수급자는 유보임금 하락률이 높았고 실업 탈출률도 높았다. 이것은 직업탐색이론과 상반된 결과로 노동수요부족사태를 처음 겪으면서 노동시장에 대한 정보가 모든 실업자에게 동일하지 않고, 실업보험수급자가 보다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실업보험지급에 따른 구직독려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기존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유보임금은 전직 임금에 크게 의존하였으며 실업기간에 대한 해자드 분석에 의하면 유보임금의 대리변수인 전직임금이 낮을수록, 구직을 적극적으로 할수록 탈출률일 높았다. 인적속성으로는 인적자본축적이 많고 다양한 취업정보를 접할 수 있는 고학력자의 탈출률이 높았다. 다른 나라에 대한 기존 연구의 근속기간이 긴 남성 실업자는 실업기간이 길었지만 여기서는 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그것은 기업의 도산 등에 따른 실직자의 경우 유용한 인적자본 보유자가 많고 축적된 자산으로 자영업으로 탈출할 확률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 PDF

Job Application Usability Assessment Study -Focused on Albamon and Albachunkuk- (구인 구직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연구 -알바몬과 알바천국을 중심으로-)

  • Jeong, Su-Hyun;Kim, Se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3
    • /
    • pp.305-310
    • /
    • 2020
  • Lately the increase of unemployment and freeters, the use of mobile applications for part-time jobs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blems of mobile job applications and focuses on domestic applications: 'Albamon' and 'Albachunkuk'. By conducting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Peter Morville's Honeycomb model. The usability assessment, the proposed improvemen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healthy establishments and overlapping job blocking filters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Second, a design to tailor to the 20s age group, who are the main user of the application, is needed. Third, a fully customized part-time job listing is needed for users on the application landing page. Fourth, the application requires verification procedures for the document preparation regarding work contracts and reporting of employers. This study hopes to add to the improvement of job-seeking application services in Korea.

Determinants of Shortening Job-hunting Period in Platform Labor Market: Analysis by using Web Crawling and Survival Model (플랫폼 노동시장의 구직기간 단축 결정요인: 웹크롤링과 생존모형을 이용한 분석)

  • Lee, Jong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5
    • /
    • pp.1-1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he wage level of new job seekers in the platform labor market affects the period on getting the first job. Recently, the platform gets attention as one of alternatives to solve the increase of unemployment rate. It is important to create quality jobs that we build up a trust between employers and employees in the platform.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feedback from previous employers is important for solving the information asymmetry problem between those people. However, there is no feedback for new job seekers who have not get the first job. Therefore, we focus on the fact that wages are presented by job seekers rather than employers in the platform, and we will figure out that the low wages of new job seekers may affect the shortening of job-hunting period. For this reason, we use 3,704 job seekers of Freelancer.com. Survival analysis shows that low wages for new job seeke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hortening job-hunting period.

DB 서비스 평가 ④- 중앙고용정보원‘워크넷’

  • Kim, Eun-Yeong
    • Digital Contents
    • /
    • no.10 s.137
    • /
    • pp.100-102
    • /
    • 2004
  • 통계청의 8월 고용동향과 경제활동 인구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실업률은 3.5%로 실업 인구 수가 80만명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20대 청년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40.7%로 전체 실업자의 절반에 육박하고 있어 현재 청년실업 문제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최근 들어 벤처기업의 1사 1인 채용운동 등 각계에서 고용안정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업난이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음에 따라 취업 알선을 위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더구나 중앙고용정보원의 워크넷이나 중소기업청의 인력정보망 등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구인∙구직 사이트들이 활성화돼 있어 구직 희망자들이 적극 활용하고 있는데, 내수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고용 사정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2004년 현재 온라인상으로만 채용공고를 하는 기업은 전체 기업의 30% 정도이며, 앞으로는 온라인을 통한 구인구직 활동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제 인터넷에서 채용정보 전문 서비스는 물론 분야별, 지역별로 구인구직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를 합하면 350여개가 넘는다. 이 중 눈에 띄는 서비스가 바로‘워크넷’이다. ‘워크넷’은 노동부 산하 중앙고용정보원이 운영하는 구인구직 전문 사이트로서, 공공기관이 운영한다는 점에서 정보의 신뢰성과 전문성이 기대된다. 특히 하반기 채용 시즌을 맞아 구인구직활동이 더욱 활발해 질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번 10월 DB서비스 평가에서는‘워크넷’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s of Active Labor Market Policy on Unemployment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이 실업에 미치는 영향)

  • Chai, Goo-Mo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3 no.3
    • /
    • pp.187-211
    • /
    • 2011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ctive labor market policy on unemployment by pooled cross-section time series analysis utilizing panel data of 18 OECD countries, and seek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s of the Korean active labor market poli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tive labor market policy negatively affects unemployment rates. Second, vacational training program among three major active labor market programs has a negative effect on unemployment rates. Third, employment service program and employment subsidy program have partially negative effects on unemployment rates.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active labor market polic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systematize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Second,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should be systematized and professionalized according to labor demand. Third, employment subsidy programs need to be planned and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 of minimizing a substitution effect, a displacement effect and a deadweight loss effect. Fourth, employment service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nd carried out under the consideration of not only the reduction of unemployment rates but also the prevention of re-unemployment, mitigation of income inequality and improvement of productivity.

  • PDF

The Effect of Non-cognitive Skill on Employability: Focusing on the Period of Job Search and Tenure (비인지적 요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구직기간과 근속기간 분석을 중심으로)

  • Lim, Cha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v.20 no.6
    • /
    • pp.3069-3085
    • /
    • 2018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non-cognitive factors on job tenure and tenure using KLIPS. We examin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big5 personality trait and of the locus of control, and use the parameterized proportional hazards model.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non-cognitive skill such as personality traits and locus of control affect individual labor market performance. Conscientiousness has shown that the job seeking period of adult job seekers is lengthened, thereby lowering the unemployment rate. It can be understood that high attentiveness under uncertainty can misinterpret information, and that lack of decision restricts escape from unemployment. In the tenure analysis, people with internal locus of control tendency were less likely to leave the job due to longer tenure. Those who have internal control can not only be preferred by the organization but also the internal control tendency seems to be the factor that maintains the long-term job because of the motivation and self-control of their actions.

실업(失業) 장기화(長期化)의 효과(效果) 분석(分析)

  • Kim, Dae-Il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9 no.4
    • /
    • pp.47-96
    • /
    • 1997
  • 실업률은 실업의 빈도와 실업기간의 복합체로 결정된다. 따라서 동일한 실업률하에서도 다수의 실업자가 단기실업을 경험할 수 있는 반면, 소수의 실업자가 장기의 실업을 경험할 수도 있다. 실업의 경제비용이란 측면에서 볼 때, 전자의 실업은 부문별 수요변화에 따라 신속한 인력 재배치가 진행됨을 의미하는 반면, 후자의 실업은 구조적인 인력 수급 불균형을 반영하고 있어 높은 경제비용을 수반할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경우 실업률의 지속적인 하락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에 들어 실업기간이 장기화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실업 장기화 현상은 노동공급 측면에서 비교적 경제활동이 낮았던 저학력 및 청년, 그리고 여성 근로자층의 구직활동이 적극화된 점과, 노동수요 측면에서는 수요의 고학력화에 따른 장년층 및 저학력 실업자의 구직난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결과는 현 경제위기에서 많은 장기실업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어 실직자 지원의 효율적 확대와 직업훈련 효율성 제고의 필요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the Good Job Condition of Which Young People Think and the Impact of Job Search Behavior on Employment (청년들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 조건과 직업탐색행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ang, Wook-hee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3 no.2
    • /
    • pp.351-368
    • /
    • 2021
  •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studies the good job condition of which young people think and the impact of job search behavior on employment. In addition, employment status and additional job search performance were set as performance variables.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ood job condition considered by young people, wages and salaries in terms of companies, job stability in terms of environment, and work-life balance in terms of individuals were found. Second, job search behavior was found to be a key variable influencing employment status and job search performance. Third, it was found that job-search stress injures employment. Finally, work experience promotes employment and job search performance. Therefore, to increase the employment success rate of young people, above all, various supports for increasing the frequency of young job seekers' active job search behavior are needed. To this end,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stomized youth policy service model and to provide systematic services to meet the needs of young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