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조적 초록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에 구조적 초록을 도입하기 위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Adoption of Structured Abstracts by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s)

  • 이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21-150
    • /
    • 2024
  • 이 논문은 구조적 초록 형식을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에 도입할 것을 검토하기 위한 예비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구조적 초록을 도입한 해외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사례를 파악한 후, 연구의 가치와 실무적/사회적 의의 섹션을 강조하는 Emerald 출판사 발행 학술지 중 4종을 대상으로 구조적 초록을 구성하는 각 섹션별 사용 통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해보았다. 구조적 초록을 도입하면 초록의 길이가 길어지는 단점을 감안해서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4종의 초록 관련 규정과 최근 게재된 초록 길이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국문초록의 구성요소 현황을 분석하여 필수 요소가 일부 초록에서 누락되는 경우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문헌정보학 학술지를 위한 구조적 초록 도입 방안을 초록의 길이와 섹션 구성 위주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구조적 초록 형식을 도입한다면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의 도서관 및 정보관리 실무 활용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초록의 구조와 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Abstracts)

  • 장우권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5년도 제2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3-86
    • /
    • 2015
  • 이 연구는 정보관리학회지에 실린 국문과 영문 초록을 중심으로 초록의 구조와 그 속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회지의 저자초록을 중심으로 편집규정, 초록의 종류, 구조, 문장분석, 내용분석, 문체분석을 하였다. 대상초록은 1997년과 2014년에 간행된 학회지 논문이다. 그 결과 1997년까지는 지시적 초록이었으며 이후 대부분 정보적 초록으로 나타났다. 초록의 내용은 1997년에는 수록 논문의 68%가 목적 범위와 연구방법으로, 2014년에는 84%가 목적 범위/연구방법/결과 결론으로 나타났다.

  • PDF

문서 클러스터링을 위한 학술지 논문의 구조적 초록 활용성 연구 (Usability Analysis of Structured Abstracts in Journal Articles for Document Clustering)

  • 최상희;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31-349
    • /
    • 2012
  • 구조적 초록은 학술 논문의 주제를 표현하는 역할을 하여 학술 논문을 처리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왔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적 초록을 구성하는 세부 필드의 속성을 4개로 분석하고 초록의 구조를 활용하여 문서 클러스터링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고자 하였다. 구조적 초록의 필드 속성을 문서 클러스터링에 적용한 결과 클러스터링 기법간의 편차가 있었으나 연구 목적이 제공하는 정보량에 비해 주제성이 커서 클러스터링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 결과 특정 필드에 특화되어 출현하는 필드 종속적인 단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필드 종속적인 단어를 배제하고 집단내 평균연결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는 클러스터링의 성능이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학 저널에서 사용되는 구조적 초록의 소표제들에 관한 분석 (Abstracts in Medical Science Journals: An Analysis of Subheadings in Structured Abstracts)

  • Kim, Eungi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99-216
    • /
    • 2016
  • 본 논문은 의학분야 논문가운데 구조적 초록만을 선별하여 소표제들을 분석함으로서 문헌정보학 관점에서 의학분야의 논문초록양식에 소표제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다양한 의학분야 가운데 암, 윤리, 유전학, 감염성 질환, 신경과, 소아과, 면역학, 정신의학 및 심장학의 9개 세부분야를 선택하였고, PubMed 데이터베이스에서 샘플 데이터로 출판된 논문초록 정보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는 최근 초록인 2010년부터 2015까지 5년 동안 출판된 초록들로 제한하였다. 연구는 추출된 샘플들의 양상과 구조적 형식에서 사용된 소표제들의 변종과 변종의 빈도 수 등을 분석하였다. 요약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다수의 세부 의학분야에서 출판되는 논문들은 구조적 초록이 아닌 비구조화 초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2) 의학분야의 논문에서는 소표제 항목을 평균적으로 4.1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으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부제는 OBJECTIVES(목적), METHODS(방법), RESULTS(결과), CONCLUSIONS(결론)이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 제기된 문제점들과 보고된 소표제 분석결과가 의료과학 저널 편집자와 의학 및 문헌정보학자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과학 논문 초록 말뭉치 구축 및 선학습 트랜스포머 기반 초록 자동구조화 방법 (Scientific Paper Abstract Corpus and Automatic Abstract Structure Parsing using Pretrained Transformer)

  • 김서경;조윤희;허세훈;정상근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0년도 제3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80-283
    • /
    • 2020
  • 논문 초록은 논문의 내용을 요약해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의 연구결과물에 대한 빠른 검색과 이해를 도모한다. 초록의 구성은 대부분 전형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초록의 구조를 자동 분석하여 색인해두면 유사구조 초록을 검색하거나 생성하는 등의 연구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다. 허세훈 외 (2019)는 초록 자동구조화를 위한 말뭉치 SPA2019 및 기계학습기반의 자동구조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SPA2019 의 구조화 오류를 바로잡고, SPA2019 에서 추출한 1,346 개의 초록데이터와 2,385 개의 초록데이터를 추가한 SPA2020 말뭉치를 새로이 소개한다. 또한, 다양한 선학습 기반 트랜스포머들을 활용하여 초록 자동구조화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BERT-0.86%, RoBERTa-0.86%, ALBERT-0.84%, XLNet-0.86%, DistilBERT-0.85% 등의 자동구조화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Move Patterns in Abstracts of Social Sciences Research Articles

  • Kim, Eungi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83-309
    • /
    • 2014
  • 문장이나 문단 내에서 특정 기능을 하는 표현을 이동마디라고 하며, 여러 이동마디는 논문의 초록에서 쉽게 발견된다. 대부분의 이동마디는 보편적으로 배경-목표-방법-결과-결론(이하 BAMRC)의 순서로 많이 사용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BAMRC 이동마디에 기초하여 사회과학분야의 논문 초록 중에서 나타나는 일정한 패턴을 분석 하여 연구한 것이다. 기존 연구와 달리 이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Scopus로 사회과학분야의 학술지 298개에서 467편의 초록을 샘플로 삼아 막대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이동마디가 넓은 범위에서 패턴을 나타내므로 결국 논문 초록에서 논문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한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 기존에 있는 전통적인 사회과학 논문초록은 결국 이동마디가 없거나 다양한 이동마디의 패턴이 있어, 결국 논문초록 내에서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기존 서술형식의 초록에 있는 이동마디들을 일정 양식을 따르는 초록으로 자동적으로 옮기는 것은 적합하지 않는 방법이며, 이러한 작업은 확인 절차를 밟을 것이 요구되므로 어려운 작업일 수 밖에 없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추후에 진행되는 연구에서는 사회과학분야 논문 초록의 본질을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알아내기 위하여 사회과학 외의 다른 분야와도 비교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초록의 구조와 내용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Abstracts: Focused 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장우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07-131
    • /
    • 2016
  • 이 연구는 정보관리학회지의 초록의 현황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초록의 특징을 진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회지의 저자초록을 중심으로 초록의 구성요소, 초록의 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대상초록은 1984년부터 2015년까지 간행된 학회지 논문이다. 그 결과 수록논문은 1,168편, 지시적 초록은 96.6%, 통보적 초록은 3.4%, 국어와 영어 병기 초록은 99.5%였다. 연구방법에서 문헌사례 52.8%, 설문조사 21.1%, 실험이 26.1%였다. 문단과 문장에서 1문단이 92.1%, 2문단 이상이 7.9%, 5문장 이하가 79%, 6문장 이상이 21%, 1인칭 사용이 90.5%로 나타났다. 주제영역은 도서관/정보센터경영 19.4%, 정보서비스 17.3%, 정보공학 16.4%, 정보검색 15.1%, 계량정보 9.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영상 초록의 설계와 평가에 관한 연구 (Designing and Evaluating Digital Video Storyboard Surrogates)

  • 김현희;김용호;고수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63-48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영상 초록의 배열 모형을 영상물의 소통 구조 이론, FRBR 모형 및 용어간의 구문적 및 어의적 관계를 고려하는 PRECIS 색인 이론 등을 이용하여 설계하고 이 모형에 따라서 영상 초록을 구성한 후 순차적 영상 초록과 요약문과 색인어 추출의 정확도 측면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6개의 표본 비디오와 26명의 피조사자를 이용하여 실험을 통해서 조사해 보았다. 조사 결과, 배열 모형 기반 영상 초록이 순차적 영상 보다 더 정확한 요약문을 추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색인어 추출의 정확도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상 초록의 반복 보기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 순차적 영상 초록을 먼저 보고 배열 모형 영상초록을 반복해서 본 경우에 요약문의 정확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 비디오 도서관 환경에서 영상 초록의 두 가지 활용 방안 즉, OPAC 환경에서 영상 초록의 초기값으로 순차적 영상 초록을 제시하고 선택을 통해서 배열 모형 기반 영상 초록이 함께 출력되는 비디오 브라우징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과 제안된 배열 모형 기반 영상 초록을 영상 질의의 구조화된 매칭 자료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 PDF

한글 초록의 현황과 내용분석 - 사회과학분야 저자초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urrent States and Information Content of Author Abstract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 장혜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5-48
    • /
    • 1996
  • 초록작성의 현황을 이해하고 초록의 내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회과학 분야의 전국규모 학술지를 대상으로 현황조사와 내용분석을 하였다. 12개 학문 102종의 학술지 중에서 $53\%$에 해당하는 54종이 초록을 수록하고 있었으며, 34종이 초록관련 편집규정을 가지고 있으며, 33종이 한글초록을 수록하고 있었다. 조사에 근거하여 초록작성이 일상화된 4개 학문의 중앙학술지를 선정. 149개의 초록을 표집하여 6개의 통계적 특성 변인과 12개의 필수내용요소 불필요한 내용요소 문체적요소 변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특성은 학문별로 다양하고 범위가 크다. 특히 초록당 평균 문단 수와 자수가 기존의 규격과 크게 차이가 있다. 내용분석 결과 $50\%$가 필수내용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39\%$는 불필요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문체적 분석에서는 불필요한 1인칭 상당어귀와 대명사의 남용이 두드러진 현상으로 나타났다. 사회과학 학술지의 저자초록은 외형적 구조에서뿐만 아니라 내용과 문체 면에서도 크게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PDF

과학 영재의 논문 초록 구조 분석 및 이에 대한 인공지능의 활용 가능성 탐색 (Analysis of the Abstract Structure in Scientific Papers by Gifted Students and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ed to the Educational Setting)

  • 이봉우;조헌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73-582
    • /
    • 2023
  • 본 연구는 영재학교 학생들의 논문 초록의 구조를 파악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초록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를 추출하여 그 성능을 비교함으로써 과학영재교육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S 영재학교의 2017~2021년의 5년간 졸업 논문 263건을 대상으로 초록에 포함된 배경, 목적, 방법, 결과, 논의의 빈도나 유형이 어떠한지 분석하고 이를 파인튜닝 및 프롬프트를 활용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분류 방법을 통해 그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과학 논문의 초록 요소의 출현 빈도는 목적, 방법, 결과, 배경, 논의(D)의 순이었고, 목적, 방법, 결과 등 초록에서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를 모두 담은 경우는 전체 57.4%에 불과하였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러한 요소를 분류한 결과, 파인튜닝을 이용한 경우가 가장 정확도가 높았으며 5가지 요소 중 배경, 목적, 결과는 비교적 높은 성능을 보였으나 방법, 논의에 대해서는 정확히 분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 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러 요소의 분포 비율이나 학습을 위한 적절한 데이터셋이나 정보를 제공해 인공지능을 활용해야 보다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