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정

검색결과 797건 처리시간 0.022초

Polypropylene/CaCO3 복합재료에 있어서 입자 형태에 따른 물성 (Properties of Polypropylene/CaCO3 Composites from the Shape of Calcium Carbonate)

  • 류성규;배광수;서길수
    • 공업화학
    • /
    • 제8권5호
    • /
    • pp.771-776
    • /
    • 1997
  • 여러 형태의 탄산칼슘을 합성하였다. 이렇게 합성된 여러형태의 탄산칼슘을 혼합기에 넣어 PP와 혼합하여 PP/$CaCO_3$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재료를 입자의 형태에 따른 결정화온도, 용융열, 구정의 크기 그리고 기계적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입자의 형태가 결정화온도와 용융열 그리고 구정의 크피에 많은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vaterite를 혼합하였을 경우 다른 입자에 비하여 구정의 크기는 적었으나 결정화도는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인장강도와 영율은 다른 입자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티에틸렌의 결정화 거동 (Crystallization Characteristics of Metallocene Low Density Polyethylene)

  • 김경룡;한정우;조봉규;강호종
    • 폴리머
    • /
    • 제25권6호
    • /
    • pp.833-839
    • /
    • 2001
  • 광산란 장치를 이용하여 메탈로센 촉매 하에 제조된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결정화거동을 Ziegler-Natta 촉매에 의하여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비교하여 보았다. 특히 branching수와 길이 그리고 공단량체의 함량이 결정화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같은 수의 branching 수를 가지고 있는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기존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비하여 결정화를 시작하기 위한 induction time이 길어짐을 알 수 있으나 구정의 성장속도는 두 경우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branching 수를 감소시킬 경우 induction time과 구정성장속도가 모두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최대 구정의 크기는 branching 수에 관계없이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기존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비하여 커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진하-일광 지역의 해안 단구 (Marine Terrace of the Jinha-Ilgwang Area, Southeast Korea)

  • 최성자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3호
    • /
    • pp.233-242
    • /
    • 2003
  • 우리나라 남동해안의 최남단 지역에서는 지금까지 안정된 지괴로 알려져 왔으며 4기단층이나 지진 발생 보고가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로 시행된 디지털(digital) 기법에 의한 단구조사와 단열조사를 통하여 이 지역에 대한 제 4기 지구조운동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지역의 기반암은 백악기의 퇴적암류와 화산암류 및 불국사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에는 매우 협소하고 간헐적인 분포를 하는 해안단구가 발달하고 있으며 타지역과는 달리 단구 퇴적물이 거의 발달하지 않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지역에는 최하위의 홀로세 단구를 포함하여 4개의 단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최하위의 것부터 1, 2, 3, 4 단구로 분류된다. 1단구의 구정선은 1m 이하, 2단구의 구정선은 8∼11m, 3단구의 구정선은 17∼22m, 4단구의 구정선은 약 44m이다. 2단구의 형성시기는 MIS 5a이고 이 곳의 3단구 형성시기는 MIS 5c이다. 단구 형성시기와 융기된 단구 고도간의 상관관계 그래프와 고해 수면 변동곡선과 단구고도간의 대비에 의하여 산출된 융기율은 0.19m/ky이다. 이와 같은 값은 판 경계부보다 활동성이 적은 판 내부에서 나타나는 값으로 우리나라의 남동해안의 지각은 대체로 안정된 지괴로 판명된다. 그러나, 각 단구의 구정선 고도는 매우 미약하지만 점이적으로 남쪽으로 가면서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어 우리나라의 남동해안의 남단부에는 침강운동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