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성디자인상의 특징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A Content Analysis on the Program Design Activities in the Proposals for Social Work Programs in Korea. (사회복지 프로그램 제안서에 나타난 프로그램 디자인 활동의 특성에 대한 연구)

  • Seo, In-Hae;Kong, Gye-Soo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0 no.1
    • /
    • pp.103-125
    • /
    • 2008
  • Recently, it has been observed that social workers in Korea face diverse difficulties in designing social work programs. These difficulties require researchers to conduct a study on the contextual features of the difficulties.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work program proposals on the basis of program components. Research method used in the study is content analysis. Two researchers developed the analytic tool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 pilot test, and analyzed 73 proposals submitted to a private welfare foundation from nationwide social work agencies in 2005 and 2006. As a result, although each program was designed in a proposal according to standardized form, there were creative diversities in designing social work programs. In addition, there were confusions in the three areas: conceptual and logical confusion, research and analytical confusion, and concrete and procedural confusion. Finally the researchers suggested several task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areas of research, education, and practice to solve these confusions in Korea.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Hanbok for the formal Ceremonies of Korea (아동용 한복의 특성에 관한 연구)

  • Ji, Yoon-Young;Lee,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12
    • /
    • pp.1727-1738
    • /
    • 2002
  • 세계화,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통과의례나 전통 명절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 의례복으로 한복을 애용하는 것은 한복이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를 강하게 간직하고 있는 한국적 조형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더우기 의례복은 특별한 행사 자체를 위해 착용되었던 만큼 당시대의 내 적 가치를 가장 현저하게 표출하고 있는 복식으로 인정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 적으로 현대 전통 한복의 기본 형 식을 제공한 조선시대와 그 이후의 복식 중에서 특히 분명한 착용동기와 목적, 복식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상징성 등을 함축하고 있는 아동용 의례복을 대상으로 복식의 형태, 색채, 문양, 소재 등의 조형 요소를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양식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조형적 특성을 형성시킨 당시대의 사상적 가치를 추론해 보는 것이다. 구체 적인 연구 방법은 먼저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아동용 의례복의 범주를 설정하고 현재 보전중인 실물과 또는 사진,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당시대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병행하여 이들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를 추출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양식적 특징으로는 남아의 두루마기나 전복 그리고 쓰개류 등에서 기능성을 고려한 변형적 양식이 나타나고 있었다. 색채 역시 음양 보색이나, 오행색을 바탕으로 한 기본색의 구성 이외 에도 소매나 섶에 응용된 색의 배열이나 맞깃 전복의 깃에 나타난 색의 조화는 다양한 색의 조형미를 표현하고 있었다. 특히 색동 등에 나타난 오행색의 배열, 안감과 겉감, 상의와 하의, 외의와 내의에 사용된 색의 조화는 미의식에 관한 문화적 가치를 추론해 볼 수 있다. 더우기 장식 표현에 주로 쓰인 자연물 문양이나 글자 문양은 당시의 지배 사상이 지향하는 덕목 이외에도 전통적으로 내재된 수명과 복록, 부귀와 영화에 대한 내적 가치들을 반영하는 조형적 상징들이라 할 수 있다. 소재는 비교적 계절을 고려하여 사용되고 있었지만 의례적 성격을 지닌 외의나 쓰개류의 경우 계절적 구분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장신구의 경우는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역시 상징적 인 가치를 표현하는 실물들을 미적으로 재구성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아동용 전통 의례복은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 등에서 양식의 다양성과 변형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극적인 내적 가치의 상징들을 복식을 통해 표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 복식의 디자인에 있어 아동용 의례복에 나타난 창조적인 양식의 변형과 다양성 그리고 복식을 통한 내적 가치의 반영 등이 현대 사회와 조화를 이룬 실질적인 복식 디자인 제시 및 창작에 작은 영감으로 작용하길 바란다.

Interpretation on the Formative Design for Garden Pond of Hwaseol-dang in Muan (무안 화설당(花雪堂) 지당(池塘)의 조형디자인적 해석(解釋))

  • Rho, Jae-Hyun;Lee, Hyun-W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2
    • /
    • pp.1-11
    • /
    • 2015
  • This study sheds light on a pond design process which is a core facility of Hwaseol-dang in Muan, the Jeonnam. The plasticity of the pond was analyzed and interpreted for the design process using methods such as "literature search, interview, site visits, aerial pictures, aerial photographing, drawing figures of configuration plane via measurements, internet search, etc.", to trace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design and the implications therein. The study results being centered on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pond design are summarized herein below. The position of the Hwaseol-dang, being formed on a low hill having low competence as a place for a pavilion, draws more attention regarding its implications from the aspect of inner design. The pond Hwaseol-dang is in a rectangular shape of 1 : 1.2 ratio, in which the depth is a bit higher on the pond edge of the Hwaseol-dang thus being slanted, and Crape Myrtle, which is not known whether introduc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pond, is cultivated on the island in the center widespread toward the southeast region. The planar design of the pond is interpreted as "rectangular pond" but it has a smooth half-moon shape where a part is excluded to remove edge. In particular, the three islands in rectangular pond, due to the narrow area, put one island and two half-moon-shaped islands in juxtaposition, and thus, although only being one island, resultantly exhibits the existence effect of proliferated three islands. This is allegedly due to the intentional formation aiming at the effect of hybrid while minimizing the overlap due to merging and adding from the aspect of constituting a design. Furthermore, the pond Hwaseol-dang is extended northwest along with Hwaseol-dang, and also the island in the center is thought to additionally have one or two, but the widespread phenomenon of the island in the center appears to consider the effect of "sit view on the floor of the pavilion of Hwaseol-dang". Considering that even a few examples of ponds having the three islands among the private house gardens in the nation are all curved pon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tangular Hwaseol-dang pond establishing the garden effect of the three islands by modifying the one island in rectangular pond is highly notable. Considering that the three islands of "Yeongju, Bangjang, and Bongrae" is the original shape of the pond garden gestating Taoist ideology, as a symbolic design of a pond, it is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nd shape in Jeonnam area, and the so-called three treasures "Hwaseol-dang, Camellia, and oddly shaped stones, etc." are concentrated as the symbolism of Hwaseol-dang pond.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the Use of a Refrigerator -with Emphasis on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USA User Experience of a Refrigerator- (문화적 차이가 냉장고 사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의 냉장고 사용 행태 비교 관찰을 중심으로 -)

  • Cho, Yun-Jin;Kim, Jung-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795-802
    • /
    • 2006
  • 현대의 소비자는 더 이상 단순히 감성적 소구에 의해서나 기술적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다. 제품의 결정은 사용자와 제품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정서, 인지, 행위 등에 의한 총체적인 경험에 의한 것이며, 그러한 소비자들의 경험은 지리적, 역사적 전통으로 고착된 문화적 특성이 제품을 통한 사용자 경험의 기저에서 작용함으로써 문화권 별, 국가 별로 각기 다르게 구성된다. 특별히 음식 문화는 어느 나라이든 자연 조건의 영향과 함께 오랜 역사 속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독특하고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적 차이는 냉장고 사용에 있어서 다양한 사용행태를 구분 짓는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식품 종류에 의한 영향뿐 아니라 내부 공간 활용의 패턴, 냉장고 환경 설정에 대한 능동적인 태도, 냉장고에서 제공하는 파티션이나 옵션에 대한 수용 정도, 식품의 정리 원칙에 대한 준수 정도 등에 따른 사용행태 간의 차이점을 발견하고, 차별적 사용행태의 기저에 존재하는 문화적 요인을 분석하여 문화적 차이가 사용자의 경험에 영향을 끼치게 됨으로 인하여 냉장고 디자인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는지 그 연관성을 밝혀내고자 한다. 보다 실제적인 용도로 활용 가능하도록 냉장고 제작의 상업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냉장고 내상의 레이아웃에 중점을 두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과 현장 관찰을 통해 정량적 관찰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두 국가의 문화 비교를 위한 설문은 이미 여러 연구자료에 의해 검증된 Trompenaars의 문화 변수를 바탕으로 제작 하였다. 또한 정량적 연구에서 발견될 수 없는 문화권 별 여러 특징들에 대한 데이터를 구체적으로 수집하기 위하여 정성적인 연구 방식의 일환으로 실제 관찰 및 사용자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현상의 원인 및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