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상성단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2 seconds

구상성단 M53과 M92의 상대 나이 비교

  • Jo, Dong-Hwan;Seong, Hyeon-Il;Lee, Sang-Ga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2
    • /
    • pp.143.2-143.2
    • /
    • 2011
  • 보현산천문대 1.8 m 망원경과 2K CCD를 이용하여 2002년 4월과 2003년 5월에 중원소 함량이 아주 적은 구상성단 M53(NGC 5024)과 M92(NGC 6341)에 대하여 BVI CCD 측광관측을 수행하였다. 구상성단 M53과 M92의 정밀한 상대 나이 측정을 위하여 M53의 측광관측 자료에 대해 조동환과 이상각이 2007년 출간한 구상성단 M15(NGC 7078)와 M92를 대상으로 수행한 측광연구 논문에서 M92의 측광관측 자료를 분석할 때 적용한 꼭 같은 방식으로 전처리, PSF 측광, 표준화 등의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구상성단 M53의 V 대 BV, V 대 V-I, 그리고 V 대 B-I 색-등급도를 제시하였다. 구상성단 M53과 M92의 상대 나 이는 ${\Delta}$(B-V) 방법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구상성단 M53과 M92 사이의 상대 나이 비교에서 M92의 절대 나이를 14 Gyr로 취할 경우 M53의 상대 나이가 M92의 상대 나이보다 $1.1-2.6{\pm}0.9$ Gyr 적은 것으로 유도하였다. 구상성단 M53과 M92의 이 상대 나이 차이는 M53과 M92의 약간 다른 수평계열 형태 차이를 유발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 PDF

A Chemical Abundance Study of 47 Tuc based on HYDRA spectroscopy

  • Cho, Wan-Su;Lee, Jae-Wo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65.2-65.2
    • /
    • 2017
  • 현재까지의 구상성단들에 대한 측/분광학적 관측 결과들은 우리은하 내 대부분의 구상성단들이 다중항성종족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구상성단 형성에 대한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우리은하 뿐만 아니라 외부은하 형성에 기여하는 building block이 무엇인지 밝히게 될 것이다. 특히 금속이 풍부한 47 Tuc (NGC104)은 무거운 구상성단들의 화학적 진화를 조사하기에 이상적인 천체이다. 우리는 CTIO 4-m 망원경과 다중천체분광기인 HYDRA를 사용하여 획득한 47 Tuc의 적색거성에 대한 분광자료들의 LTE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측정 결과로부터 구상성단 47 Tuc의 화학조성의 특징과, 더 나아가, 형성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

Finding best parameters from color-magnitude diagrams of globular clusters using numerical optimization techniques

  • Kim, Hyun-Soo;Joo, Seok-Joo;Lee, Young-Wo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9 no.2
    • /
    • pp.85.2-85.2
    • /
    • 2014
  • 최근 10년 동안의 측광 및 분광관측을 통하여 우리은하 내 구상성단들 중 대부분이 적어도 2개 이상의 항성종족을 갖는다고 밝혀졌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대부분의 구상성단의 항성종족 연구에서는 관측된 색등급도와 항성종족 합성모델 사이에 eye-fitting을 함으로써 항성종족 파라미터, 즉 중원소함량, 나이, 헬륨함량 등을 추정해왔다. 우리는 구상성단의 항성종족을 분석하기 위해 ${\chi}^2$-Minimization에 의거하여 구상성단과 항성종족 합성모델의 Hess Diagram을 비교하고, 수치계산 기법을 도입하여 최적의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가상으로 만든 성단에 대하여 Recovery Test를 수행함으로써 이 알고리즘의 Self-Consistency를 검증하였고, 실제 관측결과를 사용하여 이 연구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 PDF

Twenty Years of CCD Photometric Studies on Globular Clusters with the BOAO 1.8 m Telescope (보현산천문대 1.8 미터 망원경을 이용한 구상성단에 대한 CCD 측광 연구 20년)

  • Cho, Dong-Hwan;Lee, Sang-Gak;Yoon, Tae Seog;Sung, Hyun-Il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61.2-61.2
    • /
    • 2016
  • 우리는 1997년부터 현재까지 보현산천문대 1.8 미터 망원경과 이 망원경에 부착한 1K CCD, 2K CCD와 4K CCD를 이용하여 가까운 북반구 구상성단에 대하여 (U)BVI CCD 측광 관측을 수행해오고 있다. 2K CCD를 통한 관측 자료를 통해서 우리는 북반구 구상성단 M3, M13, M15, M53과 M92의 정밀한 색-등급도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 색-등급도를 통해서 M3, M13, M15와 M92의 경우는 밝은 계열 별(특히 점근거성가지별)의 특성 및 종족비(R과 R2)와 적색거성가지별의 광도함수를 유도하였고, M53과 M92의 경우는 상대나이를 유도함으로써 구상성단의 제 2 계수 문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추가로 북반구 구상성단 M5, M10과 M71의 정밀한 색-등급도를 도출하여 밝은 계열 별의 특성을 규명하고 적색거성가 지별의 광도함수를 유도함으로써 종족 II 항성의 진화 문제를 연구하고자 한다. 현재 운영 중인 4K CCD를 통해서 구상성단 M2, M3, M5, M13, M15, M53, M71과 M92를 관측하고 있으며 2K CCD 경우보다 어두운 주계열성까지의 측광 자료 도출에 주목적이 있다($V{\approx}23$ 등급까지). 도출한 측광 자료를 2K CCD 측광 자료와 결합하여 북반구 구상성단 구성별의 고유운동 자료를 도출하고자 하며 이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더불어 그 동안 보현산천문대에서의 관측 여건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Discovery of White Dwarfs in the Globular Clusters M13 and M22 Using the HST ACS Photometric Data (허블우주망원경 ACS 측광 자료를 이용한 구상성단 M13과 M22에서의 백색왜성 발견)

  • Cho, Dong-Hwan;Yoon, Tae Seog;Lee, Sang-Gak;Sung, Hyun-Il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2
    • /
    • pp.41.1-41.1
    • /
    • 2015
  • 허블우주망원경에 장착된 ACS/WFC로 획득한 Anderson 등과 Sarajedini 등의 깊고 균질한 VI 측광 목록을 이용하여 우리은하 구상성단 M13(NGC 6205)과 M22(NGC 6656)의 뜨겁고 밝은 백색왜성 탐사를 수행하였다. 허블우주망원경 VI 측광 목록으로부터 M13과 M22의 V 대 V-I 색-등급도를 작성하였고 여기에서 많은 항성으로 잘못 검출된 대상(spurious detection)을 측광 질매개변수 qfit(V)와 qfit(I)에 따라서 제거하였다. 그리고 M13의 경우에는 중심의 높은 밀집도에 기인한 높은 측광오차를 가진 중심영역 별을 제거하기 위하여 성단 중심으로부터의 추가적인 반경 제한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M13과 M22의 각각의 V 대 V-I 색-등급도에서 십여개 정도의 백색왜성 후보를 동정하였다. 이들은 동반되어 제공되는 ACS/WFC 각각의 영상에서 항성체로 동정되었으며, M13과 M22의 성단 중심부 영역에 임의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색-등급도상의 위치가 DA 백색왜성 냉각계열의 밝은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서 이들이 M13과 M22의 진짜 백색왜성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에 대해 추가적으로 분광학적인 관측 연구를 수행한다면 이들의 백색왜성 진위 여부와 다양한 물리량을 밝혀낼 것이다. 또한 가까운 구상성단에 대해서 같은 방법으로 조사를 수행하면 더 많은 구상성단에서 갓 태어난 뜨겁고 밝은 백색왜성을 찾아낼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남반구 구상성단의 변광성 탐사 연구

  • Jeon, Yeong-Beo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2
    • /
    • pp.123-123
    • /
    • 2011
  • Kepler 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한 RR Lyr 변광성의 경우 절반 이상이 Blazkho 효과를 보이며, Period-doubling 등 새로운 사실이 알려졌다. KMTNet 망원경을 이용한 24시간 연속된 BVRI 다파장 관측은 구상성단 내의 많은 RR Lyr 변광성에서 이러한 현상을 밝히고, 중원소 함량, 주기변화 등 물리량을 얻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구상성단에서 많이 관측되는 SX Phe 변광성과 같은 단주기 변광성의 체계적인 탐사 등에도 유용할 것이다.

  • PDF

구상성단 M15에서 점근거성계열성에 의한 화학적 진화의 영향

  • Jang, So-Hui;Ju, Seok-Ju;No, Dong-Gu;Han, Sang-Il;Kim, Yong-Cheol;Kim, Do-Gyun;Lee, Yeong-Uk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1.04a
    • /
    • pp.20.4-21
    • /
    • 2011
  •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점근거성계열 단계에서 방출된 질소, 탄소, 산소 등 상대적으로 가벼운 원소들이 헬륨과 함께 구상성단의 화학적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Ventura & D'Anatona(2009)에 의하면 M15와 같이 중원소 함량이 낮은 구상성단일 경우 이 영향이 더욱 두드러진다. 우리는 이 효과가 구상성단 M15의 특이 수평계열 형태 및 Sandage 주기 천이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질소 및 헬륨 함량이 대폭 증가된 항성진화트랙 및 종족합성모델을 구현하였다.

  • PDF

New insights on the chemical evolution in proto-globular clusters and galaxy building blocks (원시 구상성단과 은하 빌딩블럭의 새로운 화학적 진화모델)

  • Lee, Young-Wook;Kim, Jaeye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1
    • /
    • pp.29.2-29.2
    • /
    • 2017
  • 초기 우주의 구상성단과 같은 소규모 은하 빌딩블럭이 은하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는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화학적 진화모형을 구축하였다. 최근의 이론적 진보를 바탕으로 우리의 모델에서는 이전 모델과 달리 초신성의 폭발과 분출물이 원시 구상성단 내 잔존 가스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대부분 빠져나간다. 이 경우 화학적 진화는 질량이 큰 별의 윈드와 점근거성계열성의 분출물에 의해 좌우된다. 놀랍게도 우리의 모델은 오랜 난제인 구상성단 내 Na-Oxygen anticorrelation 및 다중항성종족의 기원을 자연스럽게 설명하면서 동시에 Lee, Joo, & Chung (2015) 이 최근 주장한 것처럼 은하벌지에 헬륨 함량이 매우 높은 항성이 존재할 것으로 예측한다. 이 결과는 은하의 헤일로와 벌지 형성에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 PDF

g, r, i 필터에 대한 Yonsei-Yale Isochrones의 분석과 적용

  • Im, Dong-Uk;Han, Sang-Il;Cheon, Sang-Hyeon;Jeong, Mi-Yeong;Jang, Cho-Rong;Han, Mi-Hwa;Kim, Myo-Jin;Son, Yeong-J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1
    • /
    • pp.53.1-53.1
    • /
    • 2010
  • $Y^2$(Yonsei-Yale) Isochrones은 Yale의 항성 진화 계산을 이용한 정밀한 등연령곡선으로 구상성단의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Y^2$-Isochrones를 Kurucz 모형을 이용한 색변환을 통해서 SDSS로 널리 알려진 ugriz 필터 체계에 대해 적용하고 실제 관측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우선 ugriz 필터의 등연령곡선을 제공하는 BaSTI와 DSEP, Padova 모델간의 비교를 통해 $Y^2$-Isochorones이 MSTO에서 g-r값이 다른 모델에 비해 0.05정도 큼을 확인하였다. 또한 CFHT 3.6m 망원경의 가시광 카메라 MegaCam으로부터 얻은 중원소 함량이 낮은 다섯 개의 구상성단 M15, M30, M53, NGC 5053, NGC 5466에 대한 g, r, i 필터의 색등급도에 각각의 등연령곡선을 적용하여 모델에 따른 구상성단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Y^2$-isochrones를 이용한 (g-r, r) CMD의 분석 결과, BaSTI와 DSEP 모델에 비해 0.1~0.3만큼 거리지수가 크고, 성단의 나이는 1~3Gyr 정도 어리게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SDSS 관측으로부터 얻어진 구상성단에 대한 색등급도와 비교 분석과정을 수행하여, 다른 망원경에서의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각 모델에 따른 등연령곡선의 차이를 확인하고, 현재 여러 망원경에서 사용되고, 앞으로 여러 대형망원경에서 사용될 ugriz 필터 체계에 $Y^2$-Isochrones를 적용할 수 있는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BV CCD PHOTOMETRY OF M71: DISTANCE AND AGE (구상성단 M71의 BV CCD 측광: 거리 그리고 나이)

  • 임홍서;천문석;변용익;손영종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1 no.1
    • /
    • pp.1-10
    • /
    • 2004
  • We present BV CCD photometry of metal-rich globular cluster M71. Based on our color-magnitude diagram (CMD), we derive the distance to M71 using a sample of Hipparcos subdwarfs of similar metallicity. Our distance modulus is (m - M)v = 13.46(${\pm}0.17$. CMD comparison was also made between M71 and 47 Tuc. We confirm that there exists a significant age differonce(> 2 billion years) in spite of their Similarity in metalli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