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 점막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6초

조직 배양 모형에서 정상 구강 점막 상피에 대한 국소 유전자 요법 (TOPICAL GENE DELIVERY TO NORMAL ORAL EPITHELIUM USING ADENOVIRUS IN ORGAN CULTURE MODEL)

  • 김태환;곽명호;이춘호;박준우;박영욱;김성곤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193-197
    • /
    • 2009
  • Background: Though it is clear that many types of viruses can infect the oral mucosa, its condition for infection is un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ditions for viral infection of normal oral mucosa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topical gene therapy to oral mucosa using a viral vector. Methods: Freshly taken fragments of the palate and the tongue of mice were used for organ culture. The specimens were exposed to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adenoviral vector for 1 hour except for the control. Initial viral titer was $6.3{\times}10^{11}\;pfu/ml$ and the virus was diluted to working concentrations. The dilution ratio was 1:1,000 ($6.3{\times}10^8\;pfu/ml$), 1:10,000 ($6.3{\times}10^7\;pfu/ml$), and 1:100,000 ($6.3{\times}10^6\;pfu/ml$). They were then cultured on a stainless steel wire mesh in an organ culture dish. The specimens were stereoscopically examined every 24 hours for 6 days, after which they were fixed and analyzed through immunohistochemical methods Results: There was no visible expression in the control, $6.3{\times}10^6\;pfu/ml$, and $6.3{\times}10^7\;pfu/ml$ groups. Initial expression was observed at 24 hours after infection in both the palate and the tongue in $6.3{\times}10^8\;pfu/ml$ and the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3 days in the palate and 2 days in the tongue after infection (P<0.05). In both groups, the expression was mostly observed at the resection margin. Immunohistochemical studies showed that the epithelial cells were positive to GFP.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opically applied adenovirus containing specific genetic information of GFP could successfully transduce GFP in normal oral epithelial cells at the resection margin in organ culture in terms of dose and exposure time.

스티븐 존슨 증후군 : 증례보고 (Stevens-Johnson Syndrome : A Case Report)

  • 송용호;이난영;이상호;지명관;임유진;윤영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55-460
    • /
    • 2017
  • 스티븐 존슨 증후군(Stevens-Johnson syndrome, SJS)은 피부와 점막에 광범위한 괴사를 초래하는 매우 심각한 급성 과민반응이다. SJS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으로 원인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대부분 약물 알레르기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세균감염에 의해 유발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체 표피면적의 10% 이하에서 병변이 발생한 경우를 SJS라 하며 30% 이상에서 발생한 경우를 독성 표피 괴사융해라 정의한다. SJS는 1년에 100만명 인구 당 1 - 2명 미만에서 드물게 발생하나, 성장기 어린아이에게 발생할 경우 치아발육 등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게 된다. 6 - 7세경 상하악 제1대구치와 하악중절치의 맹출이 시작되고 이 시기에 치근의 발육이 함께 일어난다. 이 케이스의 환아의 경우 6세경 SJS이 발병하였다. 현재 완치된 상태이나 몇몇 후유증이 남아있는 상태이다. 환아는 이 시기에 발육이 완성되는 치아에 국한되어 발육이상이 관찰되었다. 구강내 특징으로 이러한 전신질환을 진단하고 이로 인한 치아 발육에 대한 영향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하고자 이 보고서를 쓰는 바이다.

완전 디지털 시스템으로 기존 교합을 보전한 All-on-4 임플란트 수복증례 (All-on-4 implant restoration with full-digital system preserving existing occlusion: A case report)

  • 김경희;정승미;이예찬;안설은;최병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30-337
    • /
    • 2018
  • 무치악 환자에게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수복 치료는 그 효용성이 검증되었으나, 복잡한 치료과정이 수반된다. 반면, 현대 치의학에서 디지털 기술력은 나날이 발전하여 현재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수복치료까지 그 범위를 확장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66세 하악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에 대하여 진단부터 수술, 임시수복물 및 최종수복물의 디자인과 제작까지 디지털 시스템을 모든 단계에 이용하였다. 수술 전 진단단계에서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점막스캔과 환자의 안정적인 기존 총의치 교합을 토대로 임시수복물을 디자인하였다. 수술가이드를 이용하여 무절개 임플란트 식립 후에 사전제작한 임시수복물을 임플란트와 연결하여 즉시 임시수복물로써 사용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교합이 형성된 임시수복물의 수직고경과 중심위를 이전하여 최종수복물을 디자인 및 제작 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의 수직고경과 교합을 보전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무치악환자에서 복잡할 수 있는 임플란트 치료의 간단한 프로토콜을 정립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emphigus vulgaris의 중층 편평상피세포에 대한 면역전자현미경적 관찰 (Immuno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Stratified Squamous Epithelial Cello of Pemphigus vulgaris)

  • 이차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17권2호
    • /
    • pp.1-22
    • /
    • 1987
  • Pemphigus vulgar교의 본태(本態)를 알아보기 위한 일환으로 본질병(本疾病)의 병변조직(病變組織)을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으로 관찰(觀察)하고 본질병(本疾病)에 관여(關與)하는 세포(細胞)들에 대(對)해 면역전자현미경적(免疫電子顯微鏡的)으로 추구(追究)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견(犬)의 pemphigus vulgaris의 구강(口腔) 및 식도(食道)의 점막층(粘膜層)을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으로 관찰(觀察)하였던 바 acantholysis를 일으켜도 desmosome과 기저막(基底膜)은 큰 변화(變化)가 없었으며 세포간(細胞間)은 세포간물질(細胞間物質)의 집적(集積)에 의(依)해 확장(擴張)되고 이들 세포간강물질(細胞間腔物質)은 집괴(集塊) 또는 무구조(無構造)한 물질(物質)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저세포(基底細胞)는 기저막(基底膜)에 단단히 부착(附着)되어 있었고 dendritic cell이 기저세포층(基底細胞層)위로 분포(分布)되어 있었으며, 이들 dendritic cell 중(中)에서는 가끔 여러 형태(形態)의 퇴행성변화(退行性變化)를 볼 수 있었다. Mouse 피부유리상피세포(皮膚遊離上皮細胞)에 있어서 immunogold-labeling 방법(方法)에 의해 dendritic cell을 동정(同定)하는 데에는 post-fixation, pre-embedding immunogold-labeling technique가 좋았으며 15nm와 40nm 크기의 colloid-fold 입자(粒子)로 Langerhans cell과 Thy-1양성(陽性) dendritic cell이 표식(標識)될 수 있었다. 이들 세포(細胞)들은 세포막항원(細胞膜抗元)에 따라 monoclonal antibody의 반응(反應)에 이어 치밀한 colloid-gold 입자(粒子)가 세포막표면(細胞膜表面)을 따라 일정(一定)하게 표식(標識)되었다. 또한 이들 상피세포(上皮細胞)들을 투과전자현미경적(透過電子顯微鏡的)으로 관찰(觀察)하였을 때 초미세구조(超微細構造)가 잘 보존(保存)되었으나 Langer-hans cell내(內)의 Birbeck granule은 유리전(遊離前) 피부상피조직내(皮膚上皮組織內)의 Langerhans cell내(內)의 Birbeck granule에 비(比)해 수적(數的)으로 현저히 감소(減少)되어 있었다. 그러나 Thy-1 양성(陽性) dendritic cell에서 볼 수 있는 dense-core 과립(顆粒)은 별변화(別變化)없이 쉽게 관찰(觀察)될 수 있었다. 조직배양(組織培養)을 한 견(犬)의 keratinocyte에 대(對)해 사람 pemphigus vulgaris의 항체(抗體)로 반응(反應)시킨 후 protein-A gold(15 nm)로 표식(標識)시킨 바 제일 바깥 상층(上層)의 keratinocyte에 있어서 세포막표면(細胞膜表面)을 따라 표식(標識)되어 세포막항원(細胞膜抗元)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소견(所見)으로 미루어 정상피부(正常皮膚) 중층편평상피세포(重層扁平上皮細胞)에서도 동일(同一)한 소견(所見)을 관찰(觀察)할 수 있다고 본다.

  • PDF

소타액선 종양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Analysis of Minor Salivary Gland Tumors)

  • 이종수;최종욱;이승호;정광윤;이남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5-30
    • /
    • 1994
  • 최근 7년간 저자들이 치험한 소타액선 종양 26례에 대하여 임상양상과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발생부위를 구개 10례 (38.5%), 비강 및 부비동 8례 (30.8%), 설근부 2례 (7.7%), 협부 점막 2례 (7.7%), 구순 1례(3.8%), 후두개곡 1례(3.8%), 구강저 1례(3.8%), 비인강 1례(3.8%)이었다. 2)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양성 종양 10례, 악성종양 16례이었으며, 양성 종양은 전례가 다형성선종이었으며, 구개에서 6례로 가장 많았고, 악성종양은 비강 및 부비동 5례로 가장 많았으며, 선양낭성암종 9례, 악성혼합종 2례, 점액표피암종 2례, 다형성선암종 2례, 상피근상피성암 1례이었다. 악성화율은 61.5%이었다. 3) 치료는 양성 종양은 모두 적출술을 시행하였고 악성 종양은 광범위 적출술 4례(25.0%), 수술 및 방사선요법의 병합요법 9례(45.2%),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의 병합요법 1례(5.25%), 방사선 요법 2례(12.3%)등을 시행하였다. 4) 악성 종양에 대한 치료 결과는 근치적 치료를 시행한 8례에서는 무병생존 6례, 유병생존 1례, 유병사망 1례를 보였으며, 고식적 치료를 시행한 6례에서는 유병생존 2례, 유병사망 4례를 보였다. 이상의 성적에서 소타액선 종양은 대타액선 종양에 비하여 악성화 비율이 높고 선양낭성암종의 발생 빈도가 높아 그 침범 부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고식적 치료의 범위를 확대하여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eta}$-TCP를 이용한 상악동 점막거상술 (SINUS AUGMENTATION WITH ${\beta}$-TCP)

  • 황경균;송승일;김상우;이성훈;김영면;심광섭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5호
    • /
    • pp.428-433
    • /
    • 2004
  • Sinus floor augmentation has been proven an effective treatment procedure to increase bone volume in the posterior edentulous maxilla. Autogenous bone considered to be the best material for reconstructive bone surgery and has been successfully used as a graft material to augment posterior maxilla. However, the collection of autogenous bone required extra risks for morbidity and complaints. So, various bone graft materials included ${\beta}$-tricalcium phosphate(${\beta}$-TCP) has been introduced for replacing the autogenous bone. The objective of this clinical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dictability of endosseous implant placed in a maxillary sinus with ${\beta}$-TCP grafting. We performed sinus elevation with ${\beta}$-TCP to install the implant in the 10 maxillary cases. The prosthetic procedure was performed 6-9 months after. The implant-prosthetics was checked about 1 year. We checked the implant and measured the maximum bite force to evaluate the function of the implant. There was not observed the specific problem and complication in dental implant and maxillary sinus in the grafted materials. The maximum bite force was 558N in case of natural tooth, 365N in implant without grafting, 318N in implant with ${\beta}$-TCP graft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ith and without sinus grafting on maximum bite force(p>0.05). As though the long term check-up is needed, the grafting of ${\beta}$-TCP as a osteoconductive materials can expand the volume and induce dense new bone formation in maxillary sinus. So, this short-term results support that ${\beta}$-TCP can be a suitable material for sinus augmentation.

생쥐의 초기 두개악안면 발생 중 p63의 발현 양상 (Expression of p63 during Early Craniofacial Development of the Mouse Embryo)

  • 호소야 아카히로;이종민;김지연;정한성;조성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2호
    • /
    • pp.89-95
    • /
    • 2009
  • p63은 다양한 상피 조직의 줄기세포와 전구세포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으나, 치아 형성, 특히 사기질과 뿌리 형성시기에서의 p63 위치느 ㄴ아직 연구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p63이 치아 발생 동안 치아상피에 편재하여 나타나는 것을 면역조직화학 기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p63은 피부, 모낭, 구강점막 그리고 턱밑샘 도관을 포함하는 상피의 바닥층과 바닥위층에 위치하였다. 그러나 치아 부위에서는 치아관의 모든 세포, 사기질기관, 헤르트비히 뿌리상피집 그리고 말라세쯔 상피잔사에 p63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치아 발생 중 p63이 줄기세포 유지 외에도 다른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PDF

오플록사신 및 리도카인 함유 수분 감응성 구강점막 패취제의 제조 및 방출 특성 (Preparation and Release Properties of Oromucosal Moisture-activated Patches Containing Lidocaine or Ofloxacin)

  • 곽혜선;송연화;전인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6호
    • /
    • pp.417-422
    • /
    • 2005
  • This study was aimed to design and formulate the moisture-activated patches containing ofloxacin and lidocaine for antibacterial and local anesthetic action. The solubility of lidocaine at $32^{\circ}C$ in various vehicles decreased in the rank order of PG $759.5{\pm}44.5\;mg/mL$ > PGL > IPM > PEG 300 > PEG 400 > Ethanol > PGMC > DGME > PGML > OA > $Captex^{\circledR}\;300$ > $Captex^{\circledR}\;200$ > water $(4.0{\pm}0.1\;mg/mL)$. Ofloxacin revealed very low solubility, which the highest solubility was obtained from PEG 400 $(18.7{\pm}6.3\;mg/mL)$ among the vehicles used. The addition of lactic acid increased the solubility of ofloxacin dramatically; the solubility at 5% lactic acid was $133.7{\pm}9.7\;mg/mL$. As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was added at the concentrations of 40, 80, 120, 160 and 200 mM, the solubilities of lidocaine and ofloxacin were enhanced up to three and two times, respectively, with concentration-dependent pattern. Gel intermediates for filmtype patches were prepared with mucoadhesive polymer, viscosity builders, lidocaine or ofloxacin at pH values from 5 to 7. Gels were cast onto a release liner and dried at room temperature. Dried patch was attached onto an adhesive backing layer, thus forming a patch system. Patches containing a single drug component were characterized by in vitro measurement of drug release rates through a cellulose barrier membrane. The release study was carried out at $37^{\circ}C$ using a Franz-type cell. Receptor solutions were isotonic phosphate buffers (pH 7.4). Samples $(100\;{\mu}L)$ were taken over 24 hours and quantitated by a verified HPLC method. The releases from all tested were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ime. The release rates were 0.9, 157.3 and $281.7\;{\mu}g/cm^{2}/min^{1/2}$ for the lidocaine patches and 19.8,37.2 and $50.7\;{\mu}g/cm^{2}/min^{1/2}$ for the ofloxacin patches at the concentrations of 0.3, 0.5 and 1 %, respectively. The release rates were dose dependent in both drug patches $(R^{2}\;=\;0.9077\;for\;lidocaine;\;R^{2}\;=\;0.9949\;for\;ofloxacin)$ and those were also thickness-dependent $(R^{2}\;=\;0.9246\;for\;lidocaine;\;R^{2}\;=\;0.9512\;for\;ofloxacin)$.

3개월 이하 영아에서 가와사끼병의 임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Kawasaki Disease in Infants Younger than 3 Months of Age)

  • 이수정;김수정;김혜순;손세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6호
    • /
    • pp.591-596
    • /
    • 2003
  • 목 적 : 3개월 이하 영아에서의 가와사끼병은 매우 드물고, 그 임상 양상이 비정형적이어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어렵고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생률이 높다. 이에 저자들은 이들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이 환아군에서 가와사끼병의 조기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치료했던 전체 가와사끼병 환자 중에서 3개월 이하의 영아 1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 과 : 전체 환자 291명 중 3개월 이하의 영아는 11명(3.8%)이었다. 이들 중 10명이 비정형 가와사끼병 환아로서, 주증상의 발현은 기존의 보고보다 적게 나타났고, 발열을 제외한 주증상 중 가장 흔한 증상은 구강점막의 변화(72.7%)였다. BCG 접종부 위의 발적은 6명의 환아에서 관찰되었는데(나머지 5명은 기록 미비로 알 수 없었음) 그중 2명에서는 아급성기에 심혈관계 합병증이 발생됨으로써 이러한 소견이 명백한 진단의 단서가 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면역글로불린(IVIG)의 발병 4.4일 이내의 조기 치료로 10명에서 즉각적인 임상적 호전을 보였으며, 1명에서는 IVIG 재치료를 하였다. 6명(54.5%)에서 심혈관계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나 추적검사에서 대부분 정상화되었다. 결 론 : 3개월 이하의 영아 가와사끼병 환아는 대부분 비정형적인 양상을 보이고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생률이 높은 고위험군으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이때 BCG 접종부위의 발적은 임상 증상이 거의 없는 나이 어린 영아 환아에서 매우 중요한 진단의 단서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견인을 이용한 치험례 (THE FORCED ERUPTION OF IMPACTED MAXILLARY INCISOR: CASE REPORT)

  • 김종식;김은정;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6-32
    • /
    • 2005
  • 치아 매복이란 여러 가지 이유로 구강 점막이나 악골내에서 치아가 맹출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악 중절치 매복의 원인은 치아종, 과잉치, 공간의 상실, 선행유치의 만기잔존 또는 조기상실, 선행유치의 외상으로 인한 치관이나 치근의 기형, 치배의 이소위치 등이 있다.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경우, 측절치가 빠르게 근심으로 이동하여 공간을 상실하고, 정중선의 변이가 발생하며, 낭종을 형성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매복치의 조기 진단과 그에 따른 적절한 처치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매복의 정도가 심하지 않거나, 각화조직에 의해 매복이 초래된 경우 외과적인 노출만으로도 맹출을 유도할 수 있지만, 외과적인 노출후에 일정기간의 관찰에도 맹출이 되지 않는다거나, 치아의 맹출 방향이 자가 교정될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변위되어 있는 경우, 매복의 위치가 너무 심부에 있는 경우에는 교정적 견인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증례는 매복된 상악 중절치 중 일정기간의 주기적 관찰후 맹출이 기대되지 않았기에, 교정적으로 견인하여 치료하였으며, 치료후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