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 건강상태

검색결과 565건 처리시간 0.022초

근로자의 구강건강실태 및 구강보건행동에 관한 조사 (Survey on the Dental Health Status & Dental Health Behaviors of Workers)

  • 장지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5-62
    • /
    • 2012
  • 근로자의 구강검진사업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2008년 5월 7일부터 5월 23일까지 대구 인근지역에 소재한 산업장 근로자 1,0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구강검진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질환 유소견율은 전체 1016명 중 58.2%이며, 치주질환이 가장 높았으며, 중복질환, 치아우식증, 결손치, 발치, 치아파절 및 마모 순으로 나타났다. 2. 지난 6개월간 치과의료기관 방문율은 40%이며,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이 높을수록, 미혼보다는 기혼이,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불건강할수록, 근무년수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3. 하루 칫솔질 횟수 3회 이상인 경우는 성별에서 여자가 더 높았으며, 연령은 40대가 가장 높았으며, 경제상태는 보통이 가장 높았으며, 근무년 수는 10년이 가장 유의하게 높았다. 4. 구강위생보조용품 사용율은 41.8%이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미혼보다는 기혼이, 경제상태가 여유있을수록, 근무년수가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5. 구강질환과 구강보건행동의 관련성은 치주질환이 없는 사람이 치주질환이 있는 사람보다 하루 칫솔질 횟수가 3회 이상 더 유의하게 높았으며, 발치를 하지 않아도 될 사람이, 치아파절 및 마모가 있는 사람이, 중복질환이 없는 사람이 구강위생보조용품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많은 근로자들이 구강질환을 앓고 있으며, 구강질환과 구강보건행동간에는 서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행 1년 주기의 구강검진사업이보다 많은 산업장에서 확대되어 실시되어야 하며, 구강검진과 더불어 구강보건교육이 함께 병행되어 근로자들의 올바른 구강보건행동이 건강한 구강건강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하겠다.

기초 수급 노인들의 구강건강 행태가 잔존 치아 수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t effects of oral health behaviors on number of remaining teeth of the elderly welfare recipients)

  • 조민정;박의정;신해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537-54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 수급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노인들의 불소도포 및 스켈링 사업을 통하여 그들의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건강 관련 행태를 살펴보고 잔존 치아 수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65세이상 기초 수급자 노인 66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구강검진을 통하여 틀니사용 유무와 잔존 치아 수 등을 조사하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잔존 치아 수는 줄어들었으며, 성별, 연령, 구강위생용품의 사용, 자가 구강상태 진단, 점심 식사 후 칫솔질 유무에 따라서 잔존 치아 수에 차이가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5). 잔존 치아 수는 대상자 개인의 구강 예방에 대한 관심과 노력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노인들의 구강건강 행태가 잔존 치아 수에 미치는 융복합적 용인을 샆펴보고, 취약계층에 대한 예방 진료의 확대와 보건관리의 제공을 유지하기 위한 구강관리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제공되었으면 한다.

대학생의 구강위생용품 관리실태에 따른 구강건강인식도 (Oral Health Awareness According to Actual Condition of Oral Hygiene Products Management of College Students)

  • 오나래;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13-321
    • /
    • 2018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에 소재하는 대학생 222명을 대상으로 구강위생용품 관리실태에 따른 구강건강인식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p<0.05). 연구대상자가 사용하는 칫솔이 2개인 남성은 43명(19.4%), 여성은 50명(22.5%)이었고(p=0.047), 전공계열은 문과인 대상자는 칫솔을 2개사용하는 대상자가 18명(8.1%)로 이과전공대상자 75명(33.8%)으로 차이를 나타냈다(p<0.001). 칫솔을 휴대하지 않는 대상자 중 남성은 72명(32.4%), 여성은 46명(20.7%)로 남자가 휴대하지 않는 대상자가 많았고 (p<0.005), 이과계열 대학생이 휴대하는 대상자는 83명(37.4%), 문과 대학생의 경우 21명(9.5%)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인식도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3.031배였고(p<0.001), 전공계열이 이과인 집단이 문과인 집단에 비해 2.57배였다(p<0.001). 칫솔을 살균하는 하지 않는 대상자는 살균하는 대상자에 0.459배로 구강건강 인식도가 낮았다(p<0.05). 우리나라의 대학생의 구강보건청책의 수립 및 평가를 위해 객관적 구강건강상태만을 지표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구강건강인식도가 구강건강상태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학적 변수, 구강건강에 관한 변수의 효과까지 반영하는 만큼 다양한 구강건강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연구하여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대안학교 고등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A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Model for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 김영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07-814
    • /
    • 2015
  • 이 연구는 횡단면 조사연구로 Pender (1996)의 건강증진모형에 관한 선행 문헌고찰을 통해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설명, 예측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고, 모형의 적합성과 제시된 가설을 PLS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대안학교 고등학생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유익성, 통제의 소재, 자기 효능감, 자아 존중감이 높을수록 구강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를 검정한 결과에서는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과거 구강건강관련행위를 잘할수록 구강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이용하여 구성한 대안학교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 예측모형은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향후에는 구강건강증진 예측모형에 입각한 구강건강증진방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장기요양 환자의 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Long-Term Care)

  • 심미애;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9-389
    • /
    • 2014
  • 요양병원에서 6개월 이상 입원 가료중인 노인환자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였고, 전신질환 및 우울감 상태를 파악하여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요인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잔존치아 수는 11.22개였고, 우식치아 수는 1.17개, 동요치아 수는 0.93개였으며, 81.9%에서 구취가 확인되었다. 전신질환이 없거나 한 가지 미만인 경우는 29.70%에 불과하였고, 70.31%가 두 개 이상의 복합적인 전신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대상자의 87.8%에서 우울감이 있었으며, 이 중 55.40% 는 심한 우울감을 나타냈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평균 2.62점이었고, 관련요인으로는 요양등급, 입원기간, 연령과 함께 잔존치아 수와 우식치아 수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요양병원에 장기입원 중인 노인환자는 일반노인에 비해 전반적으로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전신질환 수와 우울감이 높고,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아 고령화사회에서 노인인구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며, 특히 요양시설 노인환자를 위한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중년여성의 경제활동여부에 따른 구강건강 및 삶의 질(HINT-8)의 연관성 :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HINT-8) according to Economic Activity of Middle-Aged Korean Women :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유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27-135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중년여성의 경제활동여부가 삶의 질과 구강건강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였고, 경제활동 여부가 구강건강관련 요인과 건강관련 삶의 질 (Korea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strument with 8 Items; HINT-8)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위해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인구학적 특성을 통제하고,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HINT-8의 하위항목 중 4개의 항목(기운, 일하기, 기억, 잠자기)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구강건강 상태를 보정한 경우 HINT-8의 2개의 항목(일하기, 기억)에서만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p<.05). 따라서 한국 중년여성의 경제활동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구강건강상태가 그 영향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다문화 가정 이주 여성을 위한 구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oral care program for multi-cultural women)

  • 조민정;강재민;송근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319-326
    • /
    • 2016
  • 최근 우리나라는 국제결혼이 증가함에 따라 다문화 여성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강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문화 여성의 구강 건강 상태를 추적 조사함으로써 구강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개선점 및 이와 관련되는 요인들을 조사하여 향후 다문화가족의 구강관리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대구광역시 다문화 가족 센터에서 모집하여, 1년 동안 지역의 치과 병.의원과 연계하여 필요한 치료를 받도록 하였다. 전체 참가자 608명 중에서 1년간 추적조사 한 표본은 40명이었다. 면접조사로 사회 경제적 수준과 구강 상태에 관한 일반적인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구강 검사를 실시하여 치아우식증과 치주 건강 상태를 알아보았다. 통계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강관리 프로그램의 전과 후 결과를 비교 하였을 때, 1년 동안 DMFS, DS, FS, DT, FT 및 CPI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문화 여성 및 가족에 대한 관심과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일부지역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구강건강 (Oral Health and Stress of College Women in Some Areas)

  • 김서연;이재라;최문실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03-508
    • /
    • 2015
  • 본 연구는 여대생들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한 대학 생활을 위해 포괄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으며, 스트레스가 구강건강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여 2014년 6월 16일부터 7월 18일까지 광주광역시와 전남지역에 있는 5개 대학에 재학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실시하였다. 스트레스 지수가 가장 높은 학년은 4학년($3.14{\pm}0.42$), 1학년($2.92{\pm}0.55$), 2학년($2.92{\pm}0.53$), 3학년($2.85{\pm}0.54$) 순으로 나타났으며(p>0.05), 최근 1년 동안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 경험에 따른 스트레스는 교육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교육 경험이 없는 응답자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는 구강상태 만족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고, 저작 시 불편함을 느낄수록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발음 시 불편함을 느낄수록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여대생들의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으로 스트레스는 구강상태 만족도(-), 저작 시 불편함, 발음 시 불편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또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발음 시 불편함, 구강상태 만족도, 저작 시 불편함으로 치아나 잇몸 등 입안의 문제로 명확히 발음을 하는 데 어려움이나 불편함을 느낄수록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고, 구강상태 만족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으며(p<0.05), 모형의 설명력은 8.2%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여대생들의 스트레스와 구강 건강에 미약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해 대학 내에서는 대학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방안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교정치료 중인 환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Main cause of influencing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and self-esteem of patients on orthodontic treatment)

  • 민경진;도정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09-113
    • /
    • 2009
  • 이 연구는 교정치료중인 환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대구시내에 소재한 교정 전문치과 4곳에서 교정치료를 받고있는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방법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교정치료 특성, 구강건강영향지수, 자아존중감을 조사 분석하여 교정치료환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OHIP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이 낮을수록(P<0.01),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P<0.001), 가족의 권유로 교정치료 받는사람이(P<0.05), OHIP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남자가(P<0.05), 미혼이(P<0.01), 수입이 많을수록(P<0.05),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일부 중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지식이 구강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dental health behaviors on the subjective dental health status and knowledge in some middle school students)

  • 여안나;이수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85-595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rehend the subjective dental health status and the level of dental health knowledge in som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dental health behavior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in som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final 637 survey data were analysed. A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e subjective dental health statu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dental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and Scheffe. The correlations among the subjective dental health statu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dental health behavior were foun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ubjective dental health statu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dental health behavior, al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affecting dental behaviors, subjective dental health status was the highest (${\beta}=0.304$, p<0.001).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dental health status and dental health knowledge related to dental behaviors health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dental health education should focus on improving subjective dental health status through motivation rather than knowledge transfer training. Moreover, development programs appropriate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behavioral changes are hard to obtain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