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욕창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의료인을 위한 구강점막욕창 시각적 감별도구의 신뢰도 (Reliability of the Visual Discrimination Scale on Oral Mucosa Pressure Ulcer for Healthcare Providers)

  • 엄주연;김명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43-450
    • /
    • 2020
  • 본 연구는 구강점막욕창의 시각적 감별도구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의 절차는 개발단계와 평가단계로, 개발단계에서는 자료수집, 자문단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 최종도구개발이 수행되었으며, 평가단계에서 대상자들에게 9장의 사진도구를 평가하게 하였다. 세 군에서 측정자 간 신뢰도를 구한 결과, 상처 전문간호사군에서는 Krippendorff's alpha 가 .75이었고, 중환자 전문간호사군에서는 .70이었다. 치과의사군에서의 Cohen's weighted kappa값은 .78 로 나타났다. 측정자 내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중환자실 일반간호사군들의 intra-rater reliability는 .73으로 나타났다. 신뢰도가 입증된 9장의 사진은 실제 중환자실과 같은 구강점막욕창 위험을 가진 환자를 돌보는 임상환경에서 교육용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구강점막의 통합성 사정기록 체계화를 위한 최소자료세트(Minimum Data Set) 규명 (Identifying Minimum Data Sets of Oral Mucous Integrity Assessment for Documentation Systematization)

  • 김명수;정현경;강명자;박남정;김현희;류정미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6-56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inimum data sets for oral mucous integrity-related documentation and to analyze nursing records for oral care. Methods: To identify minimum data sets for oral status, the authors reviewed 26 assessment tools and a practical guideline for oral car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minimum data sets was assessed by three nurse specialists. To map the minimum data sets to nursing records, the authors examined 107 nursing records derived from 44 patients who received chemotherapy o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one tertiary hospital. Results: The minimum data sets were 10 elements such as location, mucositis grade, pain, hygiene, dysphagia, exudate, inflammation, difficulty speaking, and moisture. Inflammation contained two value sets: type and color. Mucositis grade, pain, dysphagia and inflammation were recorded well, accounting for a complete mapping rate of 100%. Hygiene (100%) was incompletely mapped, and there were no records for exudate (83.2%), difficulty speaking (99.1%), or moisture (88.8%).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nursing records on oral mucous integrity were not sufficient and could be improved by adopting minimum data sets as identified in this study.

성인 중환자실에서 인공기도를 가진 환자의 의료기기 관련 구강점막욕창 발생의 위험요인 (Risk Factors for Medical Device-related Oral Mucosa Pressure Ulcer Development of Intubated Patients in Adult Intensive Care Unit)

  • 강민경;김명수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2권4호
    • /
    • pp.271-27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oral mucosa pressure ulcer development in intubated patients in adult intensive care unit. Methods: Comparative descriptive study design using prospective observational design and medical record review was used. The inclusion criteria of case was that a) patients of 18 years in their age, b) patients with endotracheal tube. Data of 34 patients were analysed.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Spearman's rho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ampling methods such as bootstrap was used in this study because of small number of patients. Results: Oral mucosa pressure ulcer developed in 44.1% of the intubated patients. The risk factors of oral mucosa pressure ulcer were steroid use, biteblock use and serum albumin level. Compared to the non-user of steroid, user of steroid had 32.59 times (95% CI: 1.47-722.44) higher risk of developing oral mucosa pressure ulcer. The user of biteblock had 18.78 times (95% CI: 1.00-354.40) and albumin level had 0.03 times (95% CI: 0.00-0.80) higher risk of oral mucosa pressure ulcer inciden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ailored pressure relief strategies considering sex and therapeutic condition should be provided to decrease oral mucosa pressure ulcer.

임종 전 말기 암 환자의 임상 증상 및 징후의 변화 (Clinical Change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t the End-of-life Time)

  • 고수진;이경식;홍영선;유양숙;박혜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2호
    • /
    • pp.99-105
    • /
    • 2008
  • 목적: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보다 정확한 잔여 수명을 예측하고자 임종의 시기에 객관적으로 임상적 증상 및 징후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방법: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센터를 방분한 말기 암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시부터 임종까지 말기에 흔히 나타나는 증상과 신체적 징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증상의 정도는 $0{\sim}3$점수화하였으며 신체적 징후는 있다 또는 없다로 구분하였다. 이밖에 활력증후와 통증 정도, 진통제 사용을 관찰하였다. 결과: 호흡곤란, 혼수의 증상은 입원 시와 비교해서 임종 $1{\sim}2$일 전에 악화되었다. 대상자의 활동 수행 능력은 임종 시간이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섭취량과 소변 배설량도 줄어들었다. 특히 임종 $1{\sim}2$2일 전부터 현저하게 혈압이 감소하였다. 임종 시점을 기준으로 시기에 따라 증상의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난 임상 지표는 활동수행 능력, 수축기 혈압, 구강건조증, 식욕저하, 쇠약감, 변비, 황달, 부종, 욕창, 호흡곤란, 진정, 혼수, 청색증, 호흡이상, 가래 끓는 소리, 눈을 뒤로 젖힘 등이었다. 결론: 말기 암 환자에서 수축기 혈압의 감소, 호흡곤란, 진정, 혼수, 청색증, 호흡이상, 가래 끓는 소리, 눈을 뒤로 젖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임종이 임박했음을 예상하여 가족들과 환자가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의료진도 임종에 관한 돌봄을 시행하도록 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