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근

Search Result 302, Processing Time 0.278 seconds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Disease and the Systemic Disease to Inpatient(I)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의 구강질환과 전신질환의 상관관계(I))

  • Chun, Yang-Hyun;Auh, Q-Schick;Hong, Jung-Py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3 no.2
    • /
    • pp.111-120
    • /
    • 2008
  • Purpose :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 of inpatient with systemic disease. Methods : A total of 110 subjects, inpatient due to systemic diseas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 was requested to answer the medical history and dental treatment record. Results : In the main systemic disease, Endocrine, nutritional and metabolic diseases is composed of Gingivitis and periodontal diseases 44.9%, Diseases of salivary glands 22.4%, Within Normal Limit, Dental caries 12.2%, Diseases of pulp and periapical tissues 4.1%, Embedded and impacted teeth, Other diseases of hard tissues of teeth 2%. In the main oral disease, Gingivitis and periodontal diseases is composed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39.2%, Cerebral infarction 29.4%, Nerve root and plexus disorders 5.6%, Intracerebral hemorrhage 3.9%, Malignant neoplasm of stomach, Thyrotoxicosis, Schizophrenia, Alcoholic liver disease, Nephrotic syndrome 2%. Conclusion :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patient due to the systemic disease i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oral disease. The patients of oral diseas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patient and outpatient of systemic disease should be validated by future research.

Reliabilityof Skin Temperature over the Trigger Points of Temporalis and Masseter Muscles in Normal Individuals (정상인의 측두근 및 교근내 발통점의 피부온도측정에 대한 신뢰도에 관한 연구)

  • 송태영;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2 no.1
    • /
    • pp.137-143
    • /
    • 1997
  • 두개하악장애는 가장 흔히 발병하는 질병중의 하나이다. 이때 저작계에 흔히 호소하는 주소가 근육의 통증이다. 통증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촉진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정량화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통증 측정기 등과 같이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근육이나 관절의 병적 소견은 해당조직의 혈액순환장애나 염증반응과 종종 관련이 있다. 이러한 상태는 신체의 표면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피부온도에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thermography로 측정할 수 있다. 피부온도의 측정은 질병의 활성 상태를 평가하는 데 유익하며, 또한 치료결과를 평가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객관적 피부온도 측정장치가 있다면 턱관절이나 저작근의 이상상태를 평가하는데 매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이면 양측성으로 특정 부위의 피부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를 사용하여 검사자내 및 검사자간 신뢰도를 측정하고 좌우 온도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질환 및 치료 겨오가에 대한 임상적 평가시 객관적 측정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는 지를 알고자 하는 데 있다. 구강내 염증이나 이상이 없으며 두개하악장애가 없는 치과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평균연령은 24.9세, 범위는 24-30세이었다. 사용한 기기는 미국산 YSI Precision 4000이다. 18-2$0^{\circ}C$의 일정한 실내온도에서 두 검사자가 각각의 검사를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별도로 정해진 부위에 검사를 시행하고, 약 1주일후 이전 검사에 대한 기억이 없어진 상태에서 두 검사자중 한 검사자가 다시 동일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측정치들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계산하고 이에 대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1. 검사자내 상관관계(r)는 좌 .798(p=<.0001), 우 .757(p=<.0001)이었다. 2. 두검사자간 상관관계(r)는 좌 .958(p=<.0001), 우 .951(p=<.0001)이었다. 3. 좌우 측정치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근육부위별 측정에서는 inferior masseter muscle의 검사자간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을 뿐 anterior masseter muscle, anterior temporalis 모두 검사자내 및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정상인에 있어 근육내 발통점의 피부온도는 검사자간에는 특정부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높은 재현성을 보여줌으로서 향후 교근 및 측두근의 임상연구 평가에 피부온도조사는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PDF

The Effect of an Interocclusal Appliance on Head and Neck Posture (교합장치물이 두경부 자세에 미치는 영향)

  • Eun-Ha Kim;Keum-Back Shin;Ik-Jun L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19 no.2
    • /
    • pp.81-97
    • /
    • 1994
  • 두개하악장애는 환자의 신체적 소인, 관련조직의 구조적 변화, 정신적 스트레스 등의 복합적 요인에 의 발생하는 다인성 질환으로 최근 대두되는 원인중의 하나가 신체, 특히 두경부의 자세이상이다. 비정상적인 두경부자세는 하악의 위치변화를 수반하여 종종 두개하악장애를 야기시키게 되나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과학적 증거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는 두경부 자세가 교합장치물에 의해 변화되는지를 저작근의 근전도학적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21세에서 26세의 치과대학생으로 치아상실 및 교합간섭이 없고 두 개하악장애의 증후 및 경부운동제한을 가지지 않은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각도계를 사용하여 시상면상에서 인위적으로 유도한 세 가지의 두경부자세변화 (0$^{\circ}$, 30$^{\circ}$ 굴절, 45$^{\circ}$ 신전)에 따른 교합안정장치의 장착(1시 간) 전후 및 안정위와 근접촉위(초기치아접촉위)에서의 두경부 근육(측두근, 교근, 악이복근)의 근전도를 Bioelectric Microprocessor EM2ⓡ를 사용하여 측정한 후 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안정장치 장착전 하악 안정위 및 근접촉위에서 두부의 30$^{\circ}$굴절은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45$^{\circ}$신전은 교근 및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켰다.(p<0.05) 2. 교합안정장치 장착후 하악 안정위에서 두부의 30$^{\circ}$굴절은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45$^{\circ}$신전은 교근 및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켰으며, 하악 근접촉위에서 두부의 45$^{\circ}$신전은 악이복근의 근활성도를 증가시켰다(p<0.05). 3. 교합안정장치 장착 전후 및 두부의 30$^{\circ}$굴절, 45$^{\circ}$신전에 따른 측두군 및 교근의 하악 근접촉위에서의 근활성도가 안정위에서의 근활성도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p<0.05).

  • PDF

Surface Electromyographic Characteristics of a Myofascial Trigger Point of the Temporalis Muscle: A Case Report (측두근의 근막동통 발통점의 표면 근전도 특성: 증례 보고)

  • Im, Yeong-Gwan;Baek, Hey-Sung;Lee, Guem-Sug;Kim, Byung-Goo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8 no.3
    • /
    • pp.261-266
    • /
    • 2013
  • Myofascial pain is a condition associated with regional pain and muscle tendernes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myofascial trigger points. In this case report, a subject complaining of nighttime bruxism was clinically assessed, and a latent trigger point of the anterior temporalis muscle was identified with manual palpation. A surface electromyographic (SEMG) exam of the anterior temporalis muscle harboring the latent trigger point demonstrated several SEMG features, including post-contraction irritability, delayed relaxation following contraction and accelerated muscle fatigue. It was concluded that a SEMG exam may detect abnormal masticatory muscle function and, therefore, assist in the evaluation of myogenous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he Effect of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on the Occlusal Contact Stability and Masticatory muscle Activities in th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측두하악장애환자에 있어서 교합안정장치가 교합안정성 및 저작근활성에 미치는 영향)

  • Jye-Jynn Ann;Jae-Kap Choi;Jae-Hyun S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17 no.1
    • /
    • pp.73-87
    • /
    • 1992
  • 저자는 28명의 측두하악장애 환자와 31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최적기능교합의 개념에 입각하여 교합시의 치아접촉점을 동적이며 정량적인 방법으로 평가하여 교합안정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교합안정성의 개선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동시에 교근과 전측두근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치료의 경과에 따른 근활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측정항목은 개구범위, 두개하악장애지수, 치아접촉점 좌우균형치, 치아접촉점 전후균형치, 치아접촉점 평균시간간격, 치아접촉점의 개수, 접촉시간, 좌우측 교근과 좌우측 전측두근의 근활성, 근활성 비대칭 지수 등이었다. 이의 측정을 위해 T-Scan System, K-6 Diagnostic System 그리고 EM 2등을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자료에 대해 검정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교합안정장치를 이용하여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을 4주간 치료한 결과 전반적인 임상증상이 호전되어 개구범위와 두개하악장애지수에 있어서 뚜렷한 개선이 있었다. 2.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최대 악물기시의 치아접촉점 좌우균형치및 평균시간 간격이 큰 것으로 나타나 치아접촉이 일어나는 순간의 교합안정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3. 치료 4주후 교하안정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측정한 치아접촉점 좌우균형치및 치아접촉점 평균시간간격은 치료전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4. 치료 4주후 치아접촉점의 전후방 분포가 구치부위로 이동되는 양상을 보였다. 5.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최대 악물기시의 좌우측 교근 및 전측두슨의 근활성은 정상인에 비해 낮에 나타났으며, 이는 치료기간 동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전측두근의 근활성 비대칭지수는 정상인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치료기간 동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EVALUATION OF THE DIAGNOSTIC IMAGING OF THE MALIGNANT TUMORS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 COMPARISON OF CONVENTIONAL RADIOGRAMS AND MRI (구강영역 악성종양의 영상진단학적 평가 : 방사선사진과 자기공명영상소견의 비교)

  • Lee Young-Mi;Park Tae-W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 /
    • v.23 no.2
    • /
    • pp.323-332
    • /
    • 1993
  • 저자는 1988년 6월 1일부터 1993년 6월 30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에 내원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인된 구강악안면부 악성종양환자 35명의 방사선사진 소견과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반적인 방사선사진소견으로는 미만성의 골파괴가 15례 (42.9%), 연조직종괴의 음영이 7례 (20,0%), 부유치를 보인 경우가 3례 (8.6%), 골경화가 2례 (51.7%)로 나타났다. 2.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연조직종괴가 23례 (65.7%), 골수침범이 12례(34.5%), 피질골 파괴가 14례(40.0%), 정상피질골에 골수침범이 1례 (2.9%), 지방층소실이 19례(54.3%), 림파절전이가 8례 (22.9%), 조영증강이 15례 (42.9%), 골증식이 1례 (2.9%)였다. 3. 구강악안면부의 악성종양환자에 있어서, 방사선사진에서 관찰하기 힘들었던, 종양의 구강저, 저작근, 부인두강, 사골동, 측두하와, 악하선, 비강 등 인접조직으로의 침범여부 및 골파괴 정도와 림파절전이를 평가하는 데 자기공명영상은 도움을 주었다. 4. 정진율은, 방사선사진에서 35례중 16례로 45.7%였고, 자기공명영상에서는 35례중 27례로 77.1%로 자기공명영상의 정진율이 더 높았으나, 일반적인 방사선사진이 자기공명영상보다 더 우세한 경우도 2례 있었다.

  • PDF

Electromyographic Conmparative Study on Elevator Muscles before and after Occlusal Splint Therapy in Group Function Patients (Group function군에 대한 교합장치치료 전후에서 저작근의 근전도학적 연구)

  • Soo-Guen Lee;Keum-Back Shin;Bok Choi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0 no.1
    • /
    • pp.205-215
    • /
    • 1995
  • 저자는 두개하악장애 환자에 대한 교합장치 치료시 group function 교합이 있는 환자에서도 canine guidance교합으로 변화시켜 치료함이 정당한지를 근전도학적 측면과 임상적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Group function 교합을 가진 20명의 두개하악장애환자와 10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교합장치치료 전, 도중, 후의 좌우측 교근 및 전측두근의 근전도를 측정하고 두개하악장애지수를 조사한 수 이들 자료를 분석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인군에서 최대이악물기상태의 좌우측 교근 및 전측두근의 근전도는 교합장치치료 도중의 cannine guidance교합시가 교합장치치료전후의 group function 교합시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1). 2. 두개하악장애군에서 최대이악물기 상태의 좌우측 교근 및 전측두근의 근전도는 교합장치치료 도중의 canine guidance교합시 교합장치치료전후의 group functin교합시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P<0.01). 3. 두개하악장애지수는 교합장치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었다(P<0.01)

  • PDF

Synchronous Multiple Primary Cancers of the Esophagus, Stomach, Lung and Oral Cavity (식도, 위, 폐 그리고 구강에 동시 발생한 다발성 원발암)

  • Shin, Su-Min;Shim, Young-Mo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42 no.5
    • /
    • pp.662-665
    • /
    • 2009
  • A 65-year-old-male had a mass in the oral cavity, and this was ultimately determined to be squamous cell carcinoma and he underwent wide excision for it. Postoperatively, he underwent the staging work up; this showed that he had other cancers in the esophagus, stomach and lung. We performed a curative resection of all the lesions simultaneously. We report here on a case of synchronous multiple cancers of the esophagus, stomach, lung and oral cavity.

Effects of Nutrient Intake on Oral Health and Chewing Difficulty by Age Group (연령층별 구강건강과 저작불편이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 Kim, Seol-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2
    • /
    • pp.202-209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nutrient intake on oral health and chewing difficulty according to the age group. The subjects were 5,855 participants of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 20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aged 20 years and ove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1.0, classified as the difficulty in chewing group (DC) and no difficulty in chewing group (NDC). As a result, the DC rates were 5 times higher in the 60+ year age group (39.5%) than in the 20-39 year age group (8.1%). The DC group were experience periodontal disease (33.4%), dental caries (30.1%), diabetes (41.8%), myocardial infarction (57.3%), arthritis (44.0%), asthma (48.0%), and depression (41.9%). In addition, 86% of the DC group were experiencing speech problems. The DC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intakes (1446.59g), than the NDC group (1666.62g), and the protein, carbohydrate, dietary fiber and other dietary intake were significantly low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hewing difficulty is related to the nutrient intake, and psychological status in the elderly DC group. Therefore, the care of chewing difficulties is essential for the elderly to maintain a healthy lifestyle. Accordingly, oral care and myofunctional therapy are needed to maintain oral health.

Survival Value of Myocutaneous Flaps in the Management of Epidermoid Carcioma of the Oral Cavity (구강내 상피암의 치료에서 근피부판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 Seel David John;Park Chul-Young;Yoo Chung-Joon;Lee Samuel;Park Yoon-Kyu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6 no.2
    • /
    • pp.79-84
    • /
    • 1990
  • This paper is a review of our experience with radical resection for cancer of the oral cavity with particular emphasis upon the value of myocutaneous(i.e., musculocutanous) flaps employed in the surgical reconstruction in patient survival. During the past 15 years, 98 patients underwent resection of cancer arising in the oral cavity and oropharynx. Of these, 14 had composite resections in which the mandible was not sectioned, and 4 underwent en bloc resections without neck dissections in the face of post-radiation recurrence. When these excluded, 84 patients who underwent COMMANDO procedures with or without myocutaneous flaps were suitable for analysis of recurrence and survival according to the various surgical technics employed. 1) According to the surgical technic, there were 24 standard COMMANDO procedures in whom no regional or myocutanous flap was used; 12 patients who underwent reconstruction employing a forehead flap; 19 patients in whom a posterior cervical 'nape' flap was employed; 27 patients who underwent myocutaneous or osteo-myocutaneous flap repair; and two patients who had double flap repair. 2) The uncorrected two-year disease free survival was 41% for standard COMMANDOs, 17% for forehead flap COMMANDOs; 35% for nape flap COMMANDOs; and 35% for myocutaneous flap COMMANDO procedures. 3) The two-year disease-free survival by Stage was 100% in Stage I, 45% in Stage II, 41% in Stage III, and 18% in Stage IV. 4) When myocutanous flaps cases were compared with Group I, comprised of matched historical controls including both Standard COMMANDOs and those who had undergone regional flap repairs(that is, forehead and nape flap COMMANDOs)there was no difference, both groups showing a 40% 2-year disease-free survival. 5) When musculocutanous flap cases were compared with Goup II, which was composed of matched historical controis limited to patients who had undergone regional flap repairs(that is, forehead and nape flap cases only)there was no difference, both groups showing a 27% 2-year desease-free survival. 6) When musculocutanous flap cases were compared with Group III, composed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classic COMMANDO procedures without any sort of flap repair, there was a striking difference; the patients undergoing MC flap repair showed 50% 2-year disease-free survival, whereas the classic COMMANDO cases showed a 25% survival free of disease. 7) Locoregional recurrence was also evaluated in the four categories; for standard COMMANDO cases it was 25%, for nape flap cases 26% ; for forehead flap cases, 33%, and for the musculocutaneous flap cases, the lowest recurrence rate, 22%. These results are of particular significance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proportion of advanced cases(Stage III and IV)in each category was 67% of standard cases, 79% of nape flap patients, 100% of forehead flap cases, and 96% of musculocutaneous flap ca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