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관심도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9초

황동 표면의 생물 부착 억제를 위한 접착성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코팅 (Adhesive Polyethylene Glycol Coatings for Low Biofouling Copper-Zinc Alloy Substrates)

  • 이상우;신현호;권석준;류지현
    • 접착 및 계면
    • /
    • 제24권3호
    • /
    • pp.105-111
    • /
    • 2023
  • 최근 귀금속 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있어, 생물 부착 억제를 위한 코팅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패션 주얼리와 같이 피부에 밀착하여 접촉하는 악세사리나 귀걸이, 그리고 피어싱의 경우, 금속 표면의 오염으로 인하여 접촉 부위를 자극하거나 이상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양 말단에 홍합의 접착 물질로 보고된 카테콜기를 도입하여 접착성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합성하고, 이를 구리와 아연의 합금인 황동 표면에 코팅하여 생물 부착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접착성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이 코팅된 황동 표면은 우수한 세포 생존율을 나타낼 뿐 아니라, 단백질이나 세포의 부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귀금속 산업 분야에 있어서 접착성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이 기대된다.

한.일 치위생(학)과 현황과 일부 대학의 교육 과정 비교 -일부 한국 학생 요구도를 중심으로- (Current Status of Dental Hygiene and Comparison of Some Curriculums in Korea and Japan)

  • 정현자;후지와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896-4906
    • /
    • 2010
  • 2010년 D대학 치위생과 3학년 200명을 대상으로 해외 진학 및 취업에 관심이 있는 아시아 국가를 조사한 결과, 일본이 114명(60.3%)으로 가장 높게 나왔고, '기회가 된다면 아시아권 해외 진학 및 취업을 희망하십니까?'라는 질문에 그렇다가 72명(38.1%)으로 가장 많았다. 가장 관심이 높았던 일본은 2년제 51개 대학, 3년제 101개 대학, 4년제 6개 대학으로 총 158개 대학에서 치위생학과가 개설되어 있었고, 학교 법인은 관동지방(간토)이 25개로 가장 많았다. 일개 학제별 한 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교과목이 다수였으며, 3년제는 39개 4년제는 44개였다. 일본의 국가고시 교과목이 19개 과목으로 해부학 외 9개 과목이 100점, 치과임상개요의 치과임상개론 외 8개 과목이 50점, 치과진료보조 외 1과목이 50점으로 총 배점이 200점이였고, 일본의 4년제 치위생사양성과정은 졸업 후 치과위생사 면허와 함께 동경의과치과대학 치과구강보건학과에서 사회복지사, 히로시마대학 치과 구강건강과학과는 양호교사(보건교사) 1종 면허 등을 선택적으로 동시에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업무영역을 확대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다.

양산시 거주 13-15세 학생의 치아침식증 유병율과 위험요소 (A Survey on the Prevalence and Risk Indicators of Dental Erosion among 13-15 Year Old Adolescents in Yangsan, Korea)

  • 노태환;이금랑;김지연;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64-274
    • /
    • 2016
  • 최근 세계적으로 치아침식증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인식의 변화가 나타나 많은 연구보고가 있었다. 우리나라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따르면 청소년기로 갈수록 1일 탄산음료 섭취량이 늘고 있는 추세이며, 이는 청소년들이 치아침식증에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인식이 아직 미진하고, 치과계에서도 연구적, 임상적 관심이 그리 높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양산시 청소년들의 영구치에 나타난 치아침식증의 유병율을 조사하고 설문지를 통하여 그 위험요인을 분석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양산시에 거주하는 13-15세 중학생 1,371명을 대상으로 단일 검사자가 영구치의 치아침식증 상태를 조사하였다. 치아침식증의 평가기준으로는 Visual Erosion Dental Examination system을 사용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통하여 이들의 식이습관 및 구강위생상태와 치아침식증 간 유의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치아침식증은 676명(49.3%)에서 관찰되었고, 남성(46.4%)에 비해 여성(53.0%)이 더 높은 유병율을 보였다(p < 0.05). 상악(39.3%)에 비해 하악(43.0%)에서 더 높았으나(p < 0.05), 좌 우측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구치에 비해 전치의 유병율 및 치아 당 평균점수가 높았다. 가당 및 무가당우유는 치아침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p < 0.05), 다른 음료, 식이섭취방법, 구강위생, 그리고 BMI의 영향은 미미했다(p > 0.05). 본 연구에서 나타난 유병율은 20~30% 내외인 다른 보고들에 비해 높았으며, 남성이 호발한다는 기존의 보고들과 달리 여성에서 유병율이 더 높았다.

역대 대한소아치과학회지 게재논문의 분야별 분포에 대한 조사 (A THEMATIC SURVEY ON THE REPORT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김재문;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70-277
    • /
    • 2002
  • 본 조사는 한국의 소아치과학 연구 분야와 방향이 어떠한 변화를 거쳐왔는지를 연대별로 파악하여 우리의 연구관심이 시대별로 어디에 집중되어 왔는가를 알아보고, 향후 우리가 어느 분야에 관심을 더 쏟을 필요가 있는가를 파악하려는 의도로 시도되었다. 이에 저자는 1974년부터 2001년에 걸쳐 한국소아치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주제별로 분류하고 연구주제의 변화양상을 파악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1. 치과용 재료와 장비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였다. 특히, 치과용 재료에 관한 연구는 논문 수가 많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였다. 2. 치아우식증, 우식의 예방, 장애아동 및 전신질환에 관련된 연구는 전 기간에 걸쳐 균일하게 높은 분포를 보였다. 특히, 우식예방에 관한 연구는 제 1기에 비해 제 2, 3기에 들어서면서 상대적으로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3. 부정교합의 원인과 치료. 구강병리와 소수술은 제 2기부터 증가하다가 근래에 들어 감소추세를 보였다. 4. 부정교합의 골격연구, 치아의 발육과 맹출, 치아의 발육장애, 치수치료, 치열공간의 관리에 대한 연구는 과거부터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였다. 5. 신체의 발육, 행동조절, 구강악습관, 유치열과 혼합치열기의 교합에 관한 연구는 전 기간에 걸쳐 1%에 못 미치는 낮은 분포를 보였다.

  • PDF

대전 양치교실사업 30개월 경과시점의 구강병 예방효과 (Prevention Effect of Oral Disease through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 in Daejeon after 30 months)

  • 박후섭;남해성;최유경;송은주;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1-97
    • /
    • 2011
  • 본 연구는 대전 양치교실사업의 2년 6개월경과 시점에서 구강병 예방효과를 추구조사연구로 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2008년부터 2010년 5월 현재 양치교실이 설치되어 있는 대전 동구 D초등학교 5학년 학생 70명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지리적, 경제적 상태, 학교 규모가 비슷할 것으로 예측되며 학교장의 협조를 얻을 수 있었던 대전 동구 S초등학교 5학년 학생 70명을 선정하였다. 조사방법은 구강검사로 치면세균막검사, 치아우식증검사를 양치교실 경과 6개월 시점, 18개월 시점, 30개월 시점에 실시하였으며, 30개월 시점에서는 치은지수검사, 치은열구액 수집을 추가하여 치은열구액 내 MMP-9 을 분석하였으며, 구강보건지식도 및 행위도를 분석하였다. 1. 치아우식증 관련지수에 있어서 2년 6개월 경과함에 따른 양치교실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치면세균막지수는 양치교실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3. 치주질환 관련지수인 치은지수, 치석지수는 양치교실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치은열구액 내 MMP-9의 농도에 있어서 양치교실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구강보건지식에 있어서 양치교실군이 대조군에 비해 지식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구강보건행위도, 1일 잇솔질 횟수, 교내 양치도구 준비에 있어서 양치교실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양치교실사업에 있어 치면세균막제거의 효과는 검증할 수 있었으나 치아우식증예방, 치주질환예방 효과는 불분명하며 행위도나 양치도구 구비 여부를 보았을 때 현재 대전 D초의 양치교실사업이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양치교실사업의효과를 보기위해서는 양치교실 설치 뿐 아니라 적절한 운용프로그램과 운용에 대한 책임 소재, 학교측과 학부모의 관심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성별에 따른 중·장년층의 구강건강행태, 만성질환과 치주질환의 연관성 (T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Chronic Disease and Periodontal Disease in Middle and Older Adults According to Gender)

  • 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03-410
    • /
    • 2018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중 장년의 만성질환과 구강건강행태가 치주질환에 미치는 위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35~65세의 중 장년 남성 3,071명, 여성 4,273명 총 7,344명을 최종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나쁨'이 남성은 1.69배(p<0.001), 여성은 1.50배(p<0.001)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저작불편 '있음'은 남성은 2.01배(p<0.001), 여성은 1.40배((p=0.001)의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흡연자는 남성에서는 1.68배(p<0.001), 여성은 2.07배(p<0.001)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고혈압유병은 정상에 비해 고혈압전단계 군이 남성은 1.44배(p<0.001), 여성은 1.30배(p<0.05)의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비만은 정상에 비해 비만군에서 남성은 1.199배(p<0.05), 여성은 1.202배(p<0.05)의 치주질환의 위험도를 나타냈다. 당뇨는 정상인에 비해 당뇨병 유병군에서 남성은 1.28배(p<0.05), 여성은 1.53배(p<0.05)의 치주질환 위험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남성은 저작불편, 여성은 흡연이 치주질환에 가장 큰 위험도를 나타냈다. 흡연과 당뇨병군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치주질환의 위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남성이 치주질환의 위험도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남성의 구강건강관리에 좀 더 관심을 갖고 구강질병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 및 정책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치석제거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일부 지역주민의 인식도 및 만족도 융합연구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fusion survey regarding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dental scaling)

  • 지민경;이미라;정수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5-25
    • /
    • 2018
  • 본 연구는 치석제거에 대한 인식과 치석제거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를 파악하여 치과건강보험의 효율적인 보건정책을 위해 전북지역 거주민 389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30일부터 7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치석제거 적정횟수는 '연 2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적정 연령은 '20대부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치석제거 급여화 인식도는 여자에서, 치주건강 관심도가 높은 경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적용 만족도도 여자에서, 치주건강 관심도가 높은 경우 높게 나타났다. 넷째, 치석제거 인식도는 치석제거 급여화 인식도, 치석제거 급여화 만족도와, 치석제거 급여화 인식도는 치석제거 급여화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치석제거에 대한 지속적인 인식 향상을 위해 올바른 정보 제공과 적극적으로 교육매체를 활용한 홍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디지털 아트 : 전치 심미 치료시 진단과 상담에 있어서의 디지털의 활용 (digital art : The use of digital in diagnosis and counseling in anterior tooth esthetic treatment)

  • 신준혁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8-97
    • /
    • 2016
  • 심미는 시대적 관심과 트렌드에 따라 영향을 받아왔다고 여겨지며 그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장비와 소재의 한계 또한 있는데 심미증례는 또한 이를 극복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환자들의 요구와 환경에 맞춘 다음의 증례를 소개하고자 하며 아날로그에서 행해져온 것들을 이어가면서 디지털이 더욱 발전하기를 희망하며 최신의 기술들을 사용함으로써 현재의 한계에 도전하는 것 그 자체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디지털은 여러 방면에서 장점들이 있는데 특히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에 관련하여 관심이 있으며 구강내 인상 장치와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치과의사와 기공사간의 보철물에 관한 의사소통이 보다 직접적으로 가능해졌으며 이제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보철과 심미의 새로운 시대를 열것이라 기대한다. 이번 증례를 통해서 다음의 2가지 요소를 통해서 직접적이고 실제적인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소개 하고자 한다.

부산시에 거주하는 9~10세 어린이의 치아침식증 유병률과 관련된 위험요소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OF DENTAL EROSION IN 9- AND 10-YEAR-OLD CHILDREN IN BUSAN)

  • 유성구;이창한;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20
    • /
    • 2013
  • 치아침식증의 유병률은 어린이에서 증가추세에 있고 전 세계적인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적, 임상적 관심이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탈락에 근접한 최종 단계의 유구치 침식의 유병률과 심도, 그리고 이와 관련된 위험인자를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788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구강 검진을 시행하였다. Modified Linkosalo & Markkanen system을 이용하여 침식성 병소를 분류하였고, 보호자를 대상으로 침식성 음식과 음료 섭취의 빈도와 소비 방법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231명(27%)의 어린이에서 치아침식증이 관찰되었고, 하악좌측제1유구치에서 가장 호발하였다. 위험인자 분석에 따르면 잦은 탄산음료와 과일주스에서 섭취 빈도는 침식의 발생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고(p < 0.05), 빨대를 이용해서 과일주스를 섭취할 때 유의하게 침식 발생이 감소하였다(p < 0.05).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구강건강 관심도 조사 (Parents' concern for child oral health)

  • 김경선;김선주;김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05-41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est level of mothers in oral heal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4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ed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K.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5 through April 30, 2007, and SPSS WIN 11.5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their answer shee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 group of mothers whose children brushed their teeth three times a day on the average made up 55.7 percent of those who were at the age of 35 and under. Among the mothers having three or more children, those mothers accounted for 59.1 percent. The daily mean toothbrushing frequency of children was higher among the better-educated mothers. 2. Concerning dietary and oral guidance, the mothers whose academic background was better curbed their children's excessive sugar intake more often,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As to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by the number of child and academic credential, those who had two children(36.0%) taught them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frequently(pE.01), and the better-educated mothers taught about it often(pE.05). The gap between the groups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 3. As for experience of visiting dental institutions, the working mothers visited dental institutions more often than the stay-at-home mothers, and the gap between th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Regarding purpose of the visit, the largest group aimed to get treatment(64.6%), followed by having a dental checkup(14.6%) and receiving preventive treatment(13.5%). As to any inconveniences in using dental institutions, those who were working and who were in the upper income bracket found it more inconvenient to do that because of a long distance or time constraints.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 4. In regard to concern for dental care, the mothers who were better educated(pE.001) and whose family income was 3 million won or more had their teeth scaled more often,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1). The rate of the regular visitors of dental institutions stood at 32.7 percent of the junior-college graduates, 31.0 percent of the mothers receiving college or higher education and 10.1 percent of the high-school graduates(pE.01). And those who earned larger income paid a visit to dental institutions more often and on a regular basis.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