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건강태도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18초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의 구강보건교육 유효도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Estima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of Dental Patients)

  • 주온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19-124
    • /
    • 2005
  •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구강진료기관에 내원한 만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 350명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여 진료실에서의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을 재인식 시키고자 시행하였으며, 2004년 3월 22일부터 4일 10일까지 자기기입식에 의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환자들의 71.7%는 구강진료기관에 내원하는 이유가 구강병 치료를 위해서였으며, 구강건강 지식 습득 경로로는 매스컴 및 인터넷이 4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구강건강에 대한 궁금증 해결에 관한 요구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학력이 높을수록, 직업에서는 전문직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구강보건교육은 치과인력 중 누구의 업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성별, 연령, 결혼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환자들이 인식하는 구강보건교육은 치과의사의 업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보육교사의 구강보건교육경험유무에 따른 구강보건행태 및 인지도 (Subjective Oral Health Behaviors and Recognition of Childcare Teacher With and Without Oral Health Education)

  • 장경애;성미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19-326
    • /
    • 2009
  •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의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경험이 구강건강을 관리하는 태도 변화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보육하고 있는 아동들의 구강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구강보건형태를 변화시키는 효율적인 구강보건교육이 확대 시행되어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하고자 경상남도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67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건강과 구강건강 스트레스 경험 인지도, 구강보건관리 행태, 구강보건교육 경험, 구강보건교육 필요성 인지도 등을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용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구강건강 스트레스 정도는 스트레스가 심하다라고 한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영자가 41.4%,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28.0%로 나타났고, 없다라고 한 응답자 중에서는 구강보건교육 경험자가 8.1%,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7.7%로 구강보건교육의 유무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5). 2. 구강보건관리 행태에 있어 잇솔질 방법은 상하동작으로 한다는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25.3%,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51.8%이었고, 회전동작은 구강보건교육 경험자 35.4%,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 20.8%를 나타났고, 진동동작은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8.0%, 구강보건교용 비경험자는 2.4%로 구강보건교육의 유무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01). 구강위생용품사용 정도는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영자는 90.9%,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92.9%로 높게 조사되었다(p<.001). 3. 구강보건교육 경험 인지도에 있어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37.1%이었고, 교육경로는 보건소에서 69.7%이었으며, 교육방법은 이론지도가 61.6%로 잇솔질방법이 74.7%로 조사되었다. 4. 구강보건교육 필요성 인지도에 있어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한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40.1%,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지는 73.8%이었고(p<.05), 구강 보건교육 시 참석의향은 있다라고 한 응답자 중 구강보건교육 경험자는 67.7%이었고, 구강보건교육 비경험자는 66.1%로 구강보건교육의 유무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5).

  • PDF

커뮤니티케어 기반의 방문구강건강관리 중재 수혜자의 프로그램 운영 관련 인식 및 태도: 근거이론적 접근 (Awareness and attitudes regarding oral care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community care for older adults at home : focusing on the grounded theory)

  • 박명화;박지원;이슬아;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51-360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is based on a visiting oral health care intervention program in the community care.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identify awareness and attitudes regarding intervention program among older adults. Methods: The research team visited the homes of the target older adult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approximately an hour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voice recordings were transcribed using Clova Note, and AI program by Naver. Using the 'Word Cloud Generator 3.7' program, words of high importance and interest from interview answers were extracted, visualized, and analyzed. Results: Participating older adults acknowledged that thei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could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level of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knowledge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In addition, the older adults indicated that their oral hygiene management ability improved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 through expert oral hygiene management and oral health education. Further, as the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increased, so too did satisfaction with the intervention program increase. Conclusions: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visiting oral health car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older adults. Thus,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 for continuous competency enhancement of dental hygienists and multidisciplinary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gene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should be promoted.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대한 20대의 인식조사 (Survey of Oral Health Education Effects in Twenties)

  • 심호진;박소영;송은주;신종현;김진범;박혜련;김지연;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99-507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를 졸업한지 10년 이내의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여 소아와 청소년의 구강보건교육을 제고할 방안을 찾기 위함이다. 412명의 성인에게 설문지를 배포 후 회수된 설문지 중 기준에 부합하는 388명을 선정하였다. 설문 내용은 학령기 구강보건교육 경험과 인식,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구강건강 행동과 태도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 시기는 초등학교로 인식되었다. 가장 선호하는 구강보건교육 방법은 치과의사의 구강검진 및 대면 설명이었고 구강건강 지식은 주로 웹 검색을 통해 습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불소와 홈메우기의 치아우식 예방 효과에 대한 인식은 다소 부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향후 소아와 청소년의 구강보건교육에 치과의사의 역할을 확대하고 웹 검색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성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nalysis of dental hygiene assessment data of recall patients (mainly 20s age)

  • Choi, Hye-Jung;Woo, Hee-S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131-137
    • /
    • 2022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구강 즉, 치아와 치주도 노화가 시작되어 그에 따른 준비 과정이 필요하다. 그 준비과정은 20대부터 지식, 태도, 행동으로 이루어지는 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져 구강건강관리가 계속적으로 시작되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에 경기도에는 있는 한 치과의원에 내원하여 치료 후 구강건강관리실에서 계속관리를 받고 있는 환자들을 연구대상으로 임상치위생과정을 설계하기 위하여 치위생사정의 데이터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치위생사정 도구로는 인적사항 및 전신병력을 기본으로 하여 치과방문경험, 치주검사(bleeding on probing; BOP), 구취검사, 위상차현미경으로 구강 세균 관찰, 치면세균막 검사(O'Leary index)를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치과방문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75.4%이고, 경험이 없는 경우는 24.6%로 나타났고, 치주검사 결과는 전반적으로 출혈이 있는 경우가 76.3%로 나타났다. 예방적 구강관리에서 20대의 치위생사정 단계는 중요한 첫 단추이다. 이 때 부터 본인의 구강상태를 스스로 책임질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습관화되어야 하는 중요한 연령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대 대상자의 구강검사를 통해 치위생사정 결과를 도출해 보고 그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및 구강건강 관리에 있어서 임상치위생과정 중 치과위생사의 치위생수행 능력 역량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42개월 경과시점의 양치교실사업이 구강건강과 아동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n Oral Health and Chil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rough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 in School after 42 Months)

  • 조민정;궁화수;황수정;송은주;최유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9-144
    • /
    • 2012
  • 본 연구는 2007년부터 시작된 대전 양치교실사업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양치교실 실험군 59명과 대조군 6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1년 6월- 9월까지 구강검사와 COHIP를 비롯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군 간의 경제적 상태와 주관적인 건강인식에 차이를 보여 이들 변수를 통제한 후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우식경험영구치수, 우식경험영구치면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치면세균막지수는 유의하게 낮았다(p<0.05). 3.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아동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양호하였다(p<0.01). 4.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불소와 치아홈메우기 사업에 관한 지식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5.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구강보건행위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6. 대조군이 양치교실이 있는 실험군과 비교하여 학교집단잇솔질사업에 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p<0.05) 따라서, 초등학교 양치교실사업은 치면세균막지수 감소효과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증진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치아우식경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치아우식예방법이 요구되며 양치교실 운영시 양치교실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운영방안과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이 아동의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school dental clinic operation for children's oral health)

  • 민희홍;민세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95-502
    • /
    • 2010
  • Objetives : It tries to grasp whether the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the oral health of the school dental clinic operation school and non-operation school with 6 grade childre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school dental clinic operation reaches any influence to the oral health of the child or not. Methods : The self-administered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school dental clinic operation group (201 people) and non-operation group (207 people) child 408 people from October 5th in 2009 until October 31st. By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VER 15.0), the statistical analysis performed the chi-square verification and t-test. Results : 1. The knowledge degree about the oral health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education is the health education experienced group $22.34{\pm}3.36$ and non-experienced group $20.32{\pm}3.49$ (p=0.000), and the attitude showed the health education experienced group $15.06{\pm}2.99$ and non-experienced group $13.30{\pm}3.20$,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d group significantly higher in the knowledge and the attitud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00). 2. The knowledge degree about the oral health according to the school dental clinic operation is school dental clinic group $22.84{\pm}2.92$ and non-school dental clinic group $20.83{\pm}3.73$ (p=0.000), and attitude showed high the school dental clinic group as the school dental clinic group $15.48{\pm}2.75$ and non-school dental clinic group $13.76{\pm}3.26$,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0). Conclusions : The knowledge degree and attitude about the oral health showed high in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group and the school dental clinic group when looking at the result described in the above. It thinks that the school dental clinic group has to be expanded for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the children.

청소년의 치주질환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구강건강행위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ttitude of periodontal diseases and dental health behavior in adolescents)

  • 이수정;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817-825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degree of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of periodontal diseases and dental health behavior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in 12-year-old adolescents. Method : Participants were 2,196 adolescents who live in Seosan with an average age of 12.2.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 administrated questionnaire from April 10 through June 10, 2011. Results : The knowledge of periodontal disease of the subjects was $2.46{\pm}1.52$ and the attitude was $1.88{\pm}1.11$. It appears that knowledge and attitude concerning periodontal and dental health among young Korean 12-year-old adolescents living in Seosan city are in need of improvement. The knowledge and attitud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igh group than low group of income.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periodontal and dental health was positively related to dental health behaviors. Conclusion : Based on the findings, dental health behavior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periodontal and dental health.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implementation of oral health promo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various factors related to attitude of oral health in adolescents.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교육 후의 구강보건지식과 관리 및 태도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f oral health knowledge, management and attitude change after health education program designed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 최미숙;김한곤;최규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69-579
    • /
    • 2013
  • Objectives : 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marriage imimigrant women. This study focused on the pre and post education effects including knowledge and attitude of oral health. Methods : Subjects were 51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4 phases of oral health program for two weeks from March 26 to June 30, 2012. Results :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oral health perception.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enhanced the knowledge level of marriage immigrant women. Oral Hygiene Index (OHI-S)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suggested that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increased the level of knowledge related to oral care.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otivation factors and influential factors changing the oral health behaviors, knowledge and attitude related to oral health. Further study will be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by countries, social class and age.

초등학교 6학년의 구강보건인식과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Recognition and Practices of Sixth Graders)

  • 류혜겸;최성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71-579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의 구강보건인식과 구강보건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6학년 수준에 맞추어진 지속적인 동기유발로 인한 실천 가능한 구강보건관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창원시에 위치한 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총 259명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기기입 방식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강보건인식의 전체 평균점수은 $3.19{\pm}0.41$점이고, 구강보건실천의 전체 평균점수는 $2.95{\pm}0.43$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학력(p<0.01), 학생의 구강건강상태(p<0.01), 학생의 주관적인 성적(p<0.01), 구강보건교육의 참석의지(p<0.001)에 따른 구강보건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학생의 주관적인 성적이 '좋은' 학생이 '나쁜' 학생보다 구강보건인식의 평균이 높았고, 구강보건교육의 참석의지가 '있다'가 '없다' 또는 '모름'에서보다 구강보건 인식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학력(p<0.01), 학생의 구강건강상태(p<0.001), 학생의 주관적인 성적(p<0.05), 자녀 칫솔질에 대한 부모의 관심(p<0.01), 구강보건교육의 유무(p<0.05), 구강보건교육의 참석의지(p<0.001)에 따른 구강보건실천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학생의 주관적인 성적이 '좋은' 학생이 '나쁜' 학생보다 구강보건실천의 평균이 높았고, 구강보건교육의 참석의지가 '있다'가 '없다' 또는 '모름'에서 보다 구강보건실천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구강보건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으로 구강보건실천, 구강보건교육의 참석의지, 자녀 칫솔질에 대한 부모의 관심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실천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으로 구강보건인식, 자녀 칫솔질에 대한 부모의 관심, 학생구강건강상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초등학교 6학년의 구강관리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서는 6학년 수준에 알맞은 동기유발을 위한 학생들의 주변 환경, 구강관리에 대한 태도, 구강관련 관심사, 현재 구강질병상태 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교육내용으로 구성된 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