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강·악안면

Search Result 2,22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NASOETHMOID-ORBITAL FRACTURE;REPORT OF A CASE (비골을 포함한 안와 근심벽의 골절의 처치;증례보고)

  • You, Jun-Young;Kim, Yong-Kwan;Chang, Hyun-Seok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8 no.4
    • /
    • pp.621-625
    • /
    • 1996
  • 중안면부의 골절은 심미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할 뿐아니라 두개부와 연관되어 뇌손상의 가능성을 가지므로 생명과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다고 할수 있다. 산업사회의 고도의 발달로 인하여 자동차의 보급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교통사고의 절대수가 증가하고 안면부 골절환자가 증가추세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구강악안면외과의사로서 중안면부의 골절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안면부 골절 가운데 비골을 포함한 안와 근심벽의 쉽게 일어나며 골절에 포함된 해부학적 구조물들이 복잡하기 때문에 골절후에 기능적 이상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본 과에서 처치한 중안면 골절 환자중 비골을 포함한 안와 근심벽의 골절환자를 경험한 바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linical Study on the Dental Abnomalities of Number and Morphology in Cleft Alveolus Patients (치조열 환자에서 치아의 선천결손과 형태이상에 관한 연구)

  • Seo, Min-Gyo;Leem, Dae-Ho;Ko, Seung-O;Shin, Hyo-Keun
    • Korean Journal of Cleft Lip And Palate
    • /
    • v.13 no.1
    • /
    • pp.1-10
    • /
    • 2010
  • 구순구개열은 선천성 악안면 기형중에서 발생률이 가장 높은 질환이며 특히 동양인에게 높은 빈도로 발생된다. 그리고 순구개열에서는 파열부 조직의 선천적 상실과 파열부 봉합 수술 후 형성된 반흔에 의한 상악골의 열성장과 상악궁의 협착, 코의 형태 이상, 등과 함께 치아의 수, 크기와 형태 및 맹출 이상도 높은 빈도로 동반된다. 선천성 치아 발육 이상이 구순열 또는 구개열 가진 환자에게서 종종 보고되고 있다. 이런 치아 이상은 과잉치, 결손치, 크기, 형태, 맹출시기, 법랑질 광화 등의 많은 특징을 포함한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구순열 또는 구개열을 가진 환자의 선천성 치아 결손 발병률을 결정하여 정상인과 비교하는 것이다. 2. 상하악에서 파열이 있는 부위와 없는 부위의 제2소구치 결손가능성을 비교 하는 것이다. 구강악안면외과에서 구순구개열로 진단한 환자 중 2005년 1월~2009년 8월까지 전북대학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치조열부위 자가골이식수술을 받은 32명의 환자로 초진시의 교정 chart, 구강악안면외과 chart, x-ray(파노라마, 치근단사진, 교합사진(상악), 석고 모델, 구강내 외 임상사진을 사용하여 순구개열군 별로 매복치, 과잉치, 결손치, 왜소치의 유무와 위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결손치는 비교적 높은 발생빈도(53.1%)를 보였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 측절치와 상악 제2소구치, 하악 제2소구치 순이었다. 구순구개열군이 구순치조열군에 비해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구순구개열군 내에서 양측성이 편측성에 비해 결손치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2. 왜소치는 71.6%에서 발견되었으며, 치아별 발생빈도는 상악측절치에서 가장 많았다. 구순치조열군이 구순구개열군에 비해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3. 치조열을 가진 환자에 있어 상/하악간 제2소구치의 선천적 결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구순구개열이 인접한 상악측절치의 발생중인 미성숙 조직에 영향을 미치며 파열부위와 좀 더 떨어져 있는 상악 제2소구치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침을 이번 연구를 통해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Non Hodgkin lymphoma in the maxillary sinus mimicking dental abscess: a case report (치성 농양과 유사한 상악동에 발생한 비호지킨 림프종의 증례 보고)

  • Song, Ji-Young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2 no.2
    • /
    • pp.130-134
    • /
    • 2016
  • Malignant lymphomas are neoplasms with diffuse proliferation of neoplastic lymphocytes and their precursor cells.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which is a subtype of non-Hodgkin's lymphomas, rarely occurs in the head and neck area and is especially rare in the maxillary sinus. We report a case of a 76-year-old female patient who was referred to th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office for evaluation of a dental abscess as a clinical diagnosis. Laboratory tests revealed no signs of inflammation or infection; therefore, in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The final diagnosis was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in the maxillary sinus. Here we describe this case wit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A Study on the Reliability of Clinical Diagnosis for TMJ Internal Derangement (측두하악관절 내장증의 임상적 진단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

  • 김영구;이승우;정성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3 no.1
    • /
    • pp.37-44
    • /
    • 1998
  • 본연구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진단과 악안면 동통진료실에 내원한 환자 중 임상적 검사에 의해 악관절 내장증으로 진단된 총 32명 53개의 측두하악 관절을 대상으로 악관절 조영술이나 자기공명영상을 실시하여 임상적 진단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향후 이 결과를 적절히 활용하여 정확한 적응증의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되었다. 각 악관절을 임상적 검사, 조영술 및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기준으로 정상,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 퇴행성 관절 질환을 동반한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 퇴행성 관절 질환을 동반한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로 구분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악관절 내장증으로 내원한 환자 32명, 총 53개 관절중, 정상인 경우가 5예,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인 경우가 33예,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인 경우가 14예, 퇴행성 관절 질환을 동반한 정복성 관절원판변위인 경우가 1예이었고, 퇴행성 관절 질환을 동반한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인 경우는 없었다. 2. 악관절 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35개의 관절중 임상적 검사와 일치하는 경우는 32개로 그 일치율은 91.1%이었으며,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한 28개의 관절중 임상적 검사와 일치하는 경우는 20개로 그 일치율은 71.4%이었다. 3. 악관절 조영술 및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동시에 시행한 10개 관절중 악관절 조영술 및 자기공명영상검사가 일치하는 경우는 9개이었으며 이중 8개 결과는 임상적 진단과 일치되는 소견을 보였다. 임상적 검사는 악관절 내장증의 진단에 유용한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는 정상으로 진단되었지만 주관적인 증상을 가진 환자에게는 자기공명영상 검사와 악관절조영술 검사 등의 영상진단술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USEFULNESS OF MIDFACIAL DEGLOVING APPROACH IN ORAL & MAXILLOFACIAL REGION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에서의 MIDFACIAL DEGLOVING APPROACH의 유용성)

  • Cha, In-Ho;Yoon, Hyun-Joong;Lee, Eui-Wung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20 no.3
    • /
    • pp.214-216
    • /
    • 1998
  • In the treatment of maxillary lesion including a maxillary sinuses, mos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have used the vestibular incision or the Weber-Fergusson incision. However, the vestibular incision has disadvantage which it provides a rather limited exposure and the Weber-Fergusson incision leaves visible scar in the midface. Furthermore, because the scar is confined on unilateral side only, the technique is hesitated to apply especially in children, younger patients and women. Since Casson first introduced midfacial degloving technique, this approach has been used frequently to treat the lesion on nasal cavity, nasopharynx, skull base and paranasal sinuses by ENT surgeons. But, we think this technique can be used usefully in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s. So, we experienced favorable results which it provided a proper exposure, no visible facial scar and it could be used on bilateral midfacial lesions.

  • PDF

Genome sequence of Bifidobacterium dentium strain ATCC 15424 originally isolated from pleural fluid of an empyema patient (농흉 환자의 흉막액에서 분리된 Bifidobacterium dentium strain ATCC 15424의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

  • Moon, Ji-Hoi;Kim, Suegene;Yang, Seok Bin;Jang, Eun-Young;Shin, Seung-Yun;Lee, Jin-Yong;Lee, Jae-Hyung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5 no.3
    • /
    • pp.280-282
    • /
    • 2019
  • We present here a draft genome sequence of Bifidobacterium dentium strain ATCC 15424, originally isolated from pleural fluid of an empyema patient. The genome is 2,625,535 bp in length and has a GC content of 58.5%. The genome includes 2,154 protein-coding genes, 4 rRNAs, and 55 tRNAs. Unlike other B. dentium strains isolated from human dental caries, ATCC 15424 carries 247 strain-specific genes, including prophage remnants and type III/IV secretion system proteins, N-acetylmuramoyl-L-alanine amidase, and PRTRC system protein E. The sequence information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variation of B. dentium as well as the genome diversity within the bacterial species.

임상가를 위한 특집 1 - 구강악안면영역에서의 낭의 영상 진단

  • Jeong, Yeon-Hwa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628-636
    • /
    • 2009
  • 낭은 상피세포로 싸여있는 병적인 공간으로 내부가 액체나 반액체로 채워져 있다. 악골에서 낭은 다른 골 부위에서보다 더 흔하게 발생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낭이 치아 형성 후에 악골에 남아있는 치성잔류물로부터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구강악안면부에서 발생하는 낭은 연조직에서 발생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 골내에서 발생하고, 법랑질 상피나 치배와 관련해 악골내에 발생하는 치낭성이다. 치낭성은 WHO분류에서 발생근원에 따라 크게 염증성과 발육성 기원의 두 가지 군으로 분류되고, 발육성 낭은 치성과 비치성으로 세분할 수 있다. 악골에 발생하는 낭은 대부분이 치낭성이며 가장 흔한 악골 낭종은 치근단낭으로 염증성이고, 발육성인 함치성낭과 치성각화낭도 다음으로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소아환자에서 함치성낭과 치성각화낭의 발병률이 성인보다 더 높았다. 비치성낭 중에서 비구개관낭이 가장 많이 발생하며, 연조직에서 발생하는 낭과 상피세포 경계가 없는 낭성 병소인 가성낭(pseudocyst)은 드물게 관찰된다. WHO에서 치성각화낭과 서회화치성낭은 파괴적 성장을 하고 재발 경향이 높으므로 양성 낭성 종양으로 재분류하고 있다.

  • PDF

RECONSTRUC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DEFECTS USING TEMPORAL MUSCLE FLAP (구강악안면 영역에서의 측두근판(temporal muscle flap)을 이용한 재건술)

  • Bae, Chan-Yong;Hwang, Soon-J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v.28 no.1
    • /
    • pp.69-73
    • /
    • 2002
  • Temporal muscle flap is usefull for the reconstruction of tissue defect at the oral and maxillofacial area. This article reports 3 cases of temporal muscle flap for the soft tissue reconstruction of infraorbital, palatal and mandibular retromolar area after tumor ablatio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echnical variations were reviewed and our 3 cases were evaluated in this aspects.

Multiple Dentigerous Cysts in a Nonsyndromic Patient: A Case Report (전신적 증후군을 보이지 않는 다발성 함치성 낭)

  • Jo, Eunjong;Lee, Jewoo;Ra, Jiyoung
    •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 /
    • v.42 no.5
    • /
    • pp.129-133
    • /
    • 2018
  • Dentigerous cysts, the most commonly occurring developmental cysts of the jaw, develop in association with impacted teeth. Most dentigerous cysts are solitary. Multiple dentigerous cysts are rare and generally occur in association with a developmental syndrome or systemic disease, such as mucopolysaccharidosis and cleidocranial dysplasia. However, in the absence of a syndrome, occurrence of multiple dentigerous cysts is rare. Development of multiple dentigerous cysts on first molars extremely rar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port on a nonsyndromic, 8-year-old boy who presented multiple dentigerous cysts on first molars.

Root Submergence of Permanent Incisors After Complicated Crown-Root Fracture during Adolescence: Case Reports (성장기 환아의 복잡 치관-치근 파절 영구전치의 Root submergence)

  • Jo, Eunjong;Lee, Jewoo;Ra, Jiyoung
    • The Korean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 /
    • v.42 no.5
    • /
    • pp.153-158
    • /
    • 2018
  • Complicated crown-root fractures are considered rare occurrences in young permanent dentition; however, they often present complicated and unpredictable treatment options. The most common treatment option for crown-root fractured teeth is reattachment of fractured segment, but if it is thought impossible to maintain, it should be extracted. However, when unfavorable crown-root fracture occurs in the adolescents, extraction of fractured teeth is expected to be poor due to excessive resorption of alveolar and prosthetic replacement cannot be performed immediately, various treatment options should be considered. This report suggests root submergence in the complex crown-root fracture in growing patients is performed and the functional and aesthetic results including preservation of the alveolar bone are ob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