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회건축 및 디자인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안도 타다오 교회건축의 디자인특성에 관한 연구 (the Design Character of Ando Tadao's Church Architecture)

  • 이규백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45-52
    • /
    • 2003
  • 현대 교회건축은 그 형태와 공간의 구성 및 디자인방법에서 많은 문제점들을 보여주고 있다. 많은 교회들이 기독교적인 정체성의 표현이 결여된 채 건축되어 지고 있다. 안도 타다오의 교회건축의 특성은 전이공간, 빛과 그림자 그리고 상징의 효과적인 구성으로 나타난다. 전이공간은 한국과 일본 등의 사찰에서의 공간체험의 프로세스를 도입한 것으로 보이며 그것은 예배당을 항해 접근하는 동안 사색의 시간을 제공하며 속의 공간에서 성의 공간으로의 극적인 반전을 가능하게 한다. 안도 타다오는 자립벽을 경계로 성과 속의 공간을 구획하였다. 초기 기독교건축 이래로 빛은 교회건축의 중요한 요소였다. 안도 타다오는 현대교회건축이 잃어버린 빛과 그림자를 효과적으로 도입하여 공간의 깊이와 신성을 표현하였다. 안도 타다오에게서 상징은 모든 것이 절제되어진 그의 건축공간에서 기독교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표현 방법이다. 그는 상징을 건축이나 공간에 부가적인 요소가 아니라 건축과 일체가 되게 표현함으로서 공간 전체가 하나의 기독교적인 정체성을 나타내는 오브제가 되도록 하였다.

  • PDF

알바 알토와 안토니오 가우디의 교회건축 및 디자인 비교 연구 - 지역주의 디자인의 관점에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igious buildings of Alvar Aalto and Antonio Gaudi - on the perspective of regionalistic design -)

  • 양세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31-38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ompared regional features of Aalto's buildings and Gaudi's on the assumption that their designs are based on the regional backgrounds. For it, two churches of each one we selected and analyzed about five divided spaces like disposition, the exterior, plan, structure and introduction and use of the sunlight. As result of analysis, following conclusions are induced: first, Aalto's church design and Gaudi's we similar in which they reflected the thought of regionalistic design. Nevertheless they are deferred in which Aalto accepted the international functionalism but Gaudi rejected it due to his deep belief. Second, they followed the tradition of the regional architecture. Third, both of them took in consideration the nature, but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contexts they are deferred in its use. Finally, both gave importance to the sunlight. But Aalto is from the country where lacks the light while Gaudi is from the country where abounds the light, so its use is different. This investigation shows several possibilities of design under the influence of its regional culture, which gets more important in this century.

다목적 공간으로서의 예배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for the Worship Space as a Multifunctional Space)

  • 이진영;한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호
    • /
    • pp.151-159
    • /
    • 1999
  • 종교 공간으로서의 교회 건축물은 각 지역 단체생활의 정신적, 물질적으로 다양한 활동을 공급하고 있는 장소이다. 그러나 오늘날 변화무쌍한 현대 사회의 도심 교회들은 그 참여수가 점차 줄고 있는 젊은 세대들에게 충분한 만족을 주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영국 도심 교회가 변화가 어려운 예배당 공간 하나로, 각기 다른 기능을 요구하는 이용자들에게 다기능 공간을 공급하고 있으며, 과거에 잠재적 기능을 고려하지 않고 디자인된 대부분의 한국 도심교회들도 비슷한 조건의 문제 발생으로, 현 이용자들에게 또 다른 요구사항들과 불편함을 주고 있다. 이것은 이용자가 공간을 사용함으로 즐거움과 감흥을 얻기가 어렵게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날, 젊은이들의 생활 패턴이 바뀌어 가고 있음으로 그 실태는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도심교회 공간의 전형적인 문제점과, 연령별 이용자 그룹의 우선권을 조사하고, 각기 다른 조건의 종교적 공간 사례 조사를 통해 이용자들 및 공간 디자인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있다. 이어서, 각 공간에 따른 문제 해결 방법을 성공적 공간디자인 사례자료를 토대로 정리한 후, 어떠한 종교적 공간에서도 적용 가능하도록 통합적으로 설정된 디자인목표를 바탕으로, 세가지 다른 방법의 계획서들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용자들의 응답을 통해 계획서를 평가하여, 그것에 근거한 결론적인 종합적 디자인 계획서를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회가 필요로 하는 기능에 따라 변화가 가능한 예배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기존의 교회건물이 더욱 더 많이 사용자의 요구에 만족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 PDF

시대적 의미변화에 따른 성당의 예배의식과 의식 후 활동의 건축적 적합성에 관한 연구 - 영국 리버풀 교회와 메트로폴리탄 교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Appropriateness to the Ceremony and Other Activities in Conjunction with the Change of Chronological Significance in A Cathedral - With the Reference to the Liverpool Cathedral & the Metropolitan Cathedral in UK -)

  • 문정묵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42-252
    • /
    • 2007
  • 성당은 인간의 세계와 신의 세계를 연결해주는 영역적 전환의 성격을 갖는 건축물이다. 그리고 이곳에서 벌어지는 찬송과 주문 등의 일련의 예배의식과정은 신의 영역으로의 전환을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성당에서의 예배는 성직자들의 의식 진행과정이 신도들에게 잘 드러나지 않도록 배치되어왔다. 성직자와 일반신도는 철저히 구별되고 그 거리를 최대로 하는 건축계획이 이루어져왔는데 이것은 예배의 의식과정이 보다 신비스럽고 경외의 대상이 됨으로서 신권을 보다 확고히 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될 수 있다. 그러나 모더니즘의 탄생과 더불어 시작된 자유화는 사회의 각 분야를 변화시키고 성당에서도 예전의 신권 중심의 예배의식에서 벗어나, 보다 인간적인 의식으로의 전환이 정착되기에 이르렀다. 신도는 보다 적극적으로 예배의식에 참여할 수 있게 되고 예배의식 이후에는 신도들의 인간적 교류를 증진하는 다양한 활동이 제공되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전통적 형태의 영국성당은 매우 성스럽고 예배를 위한 좋은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데 비하여 모더니즘 이후의 성당은 현대 성당이 요구하는 예배 후의 다양한 활동을 수용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반적 견해에 대한 보다 과학적 분석 및 해석을 위하여 스페이스 신택스 기법을 사용하여 정량적 접근을 시도하였고 다양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이에 대한 보다 면밀한 정성적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그 결과 이에 대한 일반적 견해와는 반대로 전통적 형태의 성당이 예배후의 다양한 활동에 적합한데 비하여 현대적 형태의 성당은 예배의식에 보다 적합하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현대 교회건축에 있어서 창의 형태에 따른 빛의 유입 방식 및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y of light input pattern and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by the shape of windows on the Modern Christian Architecture)

  • 이종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0호
    • /
    • pp.68-77
    • /
    • 2002
  • From ancient to modern architecture, the light in the architecture spaces as the only changing factor, was the most important theme contributing vitality to the space and judging its character and expression. The efforts, to acquire both natural-physical light and internally experienced spiritual-supernatural light, had been revealed in several ways of the architecture from the ancient architecture. It was the main issues on the christian architecture. In this study, 1 have intended to determine how the light,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the christian architecture symbolizing the blessing of God and forming the pious and restrained spaces has been expressed in the church spaces. For this purpose, I have compared and analysised the examples of the using the light, to the arts of the modern maestros of architecture and newly constructed churches in Korea on the way of light input pattern by the shape of windows. The results from the examples show that the most outstanding point of the modern christian architecture compare to the past, is that the natures of the inputted light has many diversities by the architects. And I reached the fact that the constructers by their own will to acquire the intended light, they are chose progressive light expressing methods through the shape of windows.

한국 현대 개신교 예배공간의 조도, 색온도, 광원 특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2010년 이후 건축된 서울 지역 교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Plans of Illuminance, Color Temperature, and Luminous Sources of Contemporary Korean Protestant Church - Focusing on the Churches Constructed in Seoul Since 2010 -)

  • 전예진;최상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86-93
    • /
    • 2013
  • Illumination in church building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workship space more suitable for divine service. As time has changed, however, the worship space of Protestantism is no longer somber and reverent, but changing into practical and multipurpose space with bright and colorful image. This study investigates intensity of illumination of worship space during day and night respectively and figures out the change of psychological change of congregation in accordance with brightness and color temperature in worship space in order to find out preference and look into the usage and change of illumination in recent Protestantism in compliance with the needs of the time and influence. Then, result value is to be compared to Korean Standard intensity of illumination.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color temperature by Kruithof's curve theory is used to identify the comfortableness of the worship space during day and nigh. And it is a common task of space designers and pastors to map out the worship space in terms of illumination suitable for its own purpose with even more modern and Korean sensibility and to create spiritual space for worshippers by collecting opinions from congregation, the main user of the space. With appropriate usage of illumination in Protestantism worship space, the atmosphere and purpose of worship can be enhanced.

홍도의 소리경관 자원의 발굴, 보존 및 육성을 위한 사운드스케이프 조사연구 (Research on the Soundscape for Excavation,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Soundscape Resources in Hongdo Island)

  • 한명호;오양기;노태학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43-355
    • /
    • 2009
  • 이 연구는 지역의 소리환경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소리문화로 계승/발전시키기 위하여, 그 지역의 소리경관 자원을 발굴하여 보존하고 육성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이 연구는 한국의 서남해안의 섬인 홍도를 대상으로 주민의 면담조사와 소리들으며 걷기를 이용한 관찰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홍도에서 들을 수 있는 소리는 새소리, 파도소리, 바람소리, 갈매기소리, 몽돌구르는 소리 등의 자연의 소리, 그리고 뱃고동소리, 선박의 안내방송, 관광객들의 말소리, 교회의 종소리, 등대의 에어사이렌 등의 인공의 소리에 이르는 많은 소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연구의 결과, 홍도의 고유한 사운드스케이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방안을 배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선박 안내방송의 효율적 운영개선, 몽돌해수욕장의 선착장 이전, 당산제 행사의 운영 및 관리, 홍도 등대 및 무종의 보존 및 관리, 마을 복개하천의 복원 및 정비, 마을 공동어시장의 운영 및 관리, 풍어제 및 홍어축제의 복원, 홍도운동회의 운영관리, 뱃고동소리의 음질 변경, 상여소리 등의 민속문화자원의 복원, 생태자연환경 및 도서해양환경의 보존활동, 지역의 활력과 매력을 위한 어메니티 증대를 꾀하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많은 관광객들이 이러한 홍도의 사운드스케이프의 정체성과 소리환경의 중요성을 깨닫고 홍도의 사운드스케이프를 직접 체험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리지도 (Sound Map)를 작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