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합력 작용점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측두하악관절 내장증 환자의 교합력, 교합 접촉 면적 및 교합압 (Bite Force, Occlusal Contact Area and Occlusal Pressure of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Internal Derangement)

  • 김기서;최종훈;김성택;김종열;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3호
    • /
    • pp.265-274
    • /
    • 2006
  • 측두하악관절 내장증, 그 중에서도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DDwR)는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측두하악관절 질환으로, 저작 능력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어져 왔다. 저작 능력을 평가하는 객관적이고 가시적인 수단으로 최대 교합력의 측정이 널리 통용되어져 왔는데, 과거 많은 연구자들이 측두하악장애(TMD)와 교합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으나, 피험자의 개인적 특성이나 측정 방법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통일성 있는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측두하악장애로 인한 통증이 교합력 및 저작능력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으나 측두하악관절의 구조적 변화와 저작능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측두하악관절의 구조적 변화와 저작 능력의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개구시 무통성의 관절음을 보이는 환자 39명 및 대조군 59명을 대상으로 최대 교합력, 교합 접촉 면적 및 교합압을 감압필름법(pressure sensitivie film)을 이용하여 분석, 평가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높은 최대 교합력(P < 0.01) 및 넓은 교합 접촉 면적(P < 0.05)을 나타내었다. 2. 단위 면적당 평균 교합압은 대조군과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 환자군 간에 있어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3. 남녀간의 차이에 있어서, 정복성 관절원판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교합압을 나타내었으나(P < 0.05), 평균 교합압과 교합 접촉 면적은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결론은 측두하악관절의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가 교합 기능을 변화시키는 한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향후의 연구에 있어서 근전도 등을 이용한 저작근 활성도 측정을 병행함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며, 교합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가 통제된 보다 대규모 환자집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악골 전방 견인이 상악골체의 변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XILLARY PROTRACTION ON THE DISPLACEMENT OF THE MAXILLA)

  • 고정석;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43-555
    • /
    • 1995
  • 골격성 부정교합에 대한 악정형 치료시, 바람직한 악정형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악정형 장치의 역학 현상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상악의 저성장에 기인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한 상악골의 전방견인시 바람직한 견인력 방향과 견인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성인 두개골을 대상으로 3차원 유한 요소 모델을 제작하여, 제1소구치와 제1대구치에서 각각 교합평면에 평행 또는 $20^{\circ}$ 하방으로 500g의 전방 견인력을 주어 상악골체의 각 부분에서 응력과 변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경우 상악골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양상을 보였다. 2. 견인력 방향에 따른 상악골의 회전은, $20^{\circ}$ 하방으로 견인하는 경우가 평행하게 견인하는 경우보다 더 적었다. 3. 견인 위치에 따른 상악골의 회전은, 평행하게 견인시에는 견인 위치가 제1대구치일 때가, $20^{\circ}$ 하방으로 견인시에는 제1소구치일 때가 더 적었다. 이상의 결과 견인력 작용선이 상악골체의 저항 중심점에 가장 근접하여 반시계 방향으로의 변위가 가장 적게 일어난 제1소구치에서 $20^{\circ}$ 하방으로 견인한 경우가 바람직한 견인력 방향과 견인 위치로 판단되었다.

  • PDF

상악중절치 맹출시기의 $Fr\ddot{a}nkel$ III를 이용한 전치부 반대교합의 치험례 (THE TREATMENT OF AN ANTEIOR CROSS-BITE WITH THE ERUPTION OF A MAXILLARY INCISOR USING $FR\ddot{A}NKEL$ III : CASE REPORT)

  • 이상엽;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23-330
    • /
    • 1999
  • 기능성 반대교합을 가진 성장기 환자의 경우 조기에 원인을 제거하여 골격성으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성장조절에 의해 악골관계를 개선함으로써 정상적인 기능과 안모를 유도해야 된다. 반대교합의 치료방법중 기능형 치료장치가 있는데, 그중 $Fr\ddot{a}nkel$장치물은 작용발휘의 기반으로서 vestibular region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비정상적인 근육력을 차단하여 구강내 치열 및 악궁에 대한 힘의 불균형 상태를 개선하고, 결여되어 있는 근육의 긴장도를 증대시킴으로써 근육의 힘을 치아에 직접 미치지 않고, 악골 및 치아, 치조골을 양호하게 발육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근육의 힘이 장치를 매개로 하여 직접 치아에 전달되어 치아이동을 얻게 되는 다른 장치와 구별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상악중절치 맹출시기의 전치부 반대교합을 FR III로 치료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의 전방성장과 상악전치의 순측경사가 일어났다. 2. 하악의 후하방회전에 의해 하안면고가 증가하였다. 3. 정상적인 하악골과 열성장된 상악골을 가진 경우, 수직피개교합과 역수평피개교합이 더 클수록 더 좋은 예후를 나타냈다.

  • PDF

전부 도재관을 위한 지대치의 마무리선 형태와 절단연 삭제량 및 교합력 작용점에 따른 응력 분포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IN ALL-CERAMIC CROWNS WITH VARIOUS FINISH LINE DESIGNS AND INCISAL REDUCTIONS UNDER DIFFERENT LOADING CONDITIONS)

  • 고은숙;이선형;양재호;정헌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42-76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finish line design, amount of incisal reduction, and loading condition on the stress distribution in anterior all-ceramic crowns.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of an incisor all-ceramic crown with 3 different finish line designs : 1) shoulder with sharp line angle 2) shoulder with rounded line angle 3) chamfer : and 2 different incisal reductions : 2mm and 4mm were developed. 300 N force with the direction of 45 degree to the long axis of the tooth was applied at 3 different positions : A) incisal 1/3, B) incisal edge, C) cervical 1/5. Stresses developed in ceramic and cement were analyzed using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Stresses were concentrated in the margin region, which were primarily compressive in the labial and tensile in the lingual. 2. Stresses were larger in the area near line angle than on the crown surface of the margin region. In case of shoulder with sharp line angle, stresses were highly concentrated in the porcelain near line angle. 3. At the interface between porcelain and cement and at the porcelain above the margin on crown surface, stresses were the highest in chamfer, and decreased in shoulder with sharp line angle and shoulder with rounded line angle, respectively. 4. At the interface between cement and abutment on crown surface, stresses were the highest in shoulder with sharp line angle, and decreased in shoulder with rounded line angle and chamfer, respectively. 5. The amount of incisal reduction had little influence on the stress distribution in all-ceramic crowns. 6. When load was applied at the incisal edge, higher stresses were developed in the margin region and the incisal edge than under the other loading conditions. 7. When load was applied at the cervical 1/5, stresses were very low as a who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