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수단 선택

Search Result 20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Literature Review on the Commuting Behaviors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통행행태와 도시공간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 Seo, Jong G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75-18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TOD는 대중교통수단의 분담율 제고가 목적인데 이를 위한 정책대안의 모색에 필요한 새로운 분석기법을 제시하였다. 교통수단의 결정요인은 개인 특성과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도시공간특성인데 이 요인들은 상호의존적으로 복합적 결합작용은 한다. 또한 개인과 그룹 및 지역 특성은 서로 다른 차원에서 상호의존성을 갖는다. 전통적 회귀분석과는 달리 위계적 분석모형은 요인들 간의 상호의존성과 복합결합적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분석 기법에 의한 결과는 보다 효율적인 TOD정책 대한의 모색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Stochastic Demand Forecast for the Capacity Calculation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도시계획시설 용량 산정을 위한 확률적 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 Jae Young Kang;Jong Jin Kim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5 no.1
    • /
    • pp.135-146
    • /
    • 2024
  • This study predicts the means sharing ratio of the urban air transportation (UAM) when the VertiHub of the UAM in the southern western part is built at Songjeong Station in Gwanju. Based on Monte Carlo simulation of the utility function and means selection logit model for each means of transportation, our findings indicate an average mode share of 0.95%, with a variability range from 0.07% to 4.7%. Moreover, 95% of the simulation outcomes fall below a 2.02% mode share. Sensitivity analysis, conducted via Tornado Plot, highlights that the mode share is principally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he unit fare, cost parameter, basic fare, and the time required for takeoff and landing. Notably, a negative correlation exists for unit fare, basic fare, and takeoff and landing time, suggesting the necessity of setting an appropriate level of fair to enhance UAM utilization.

Estimating Probability of Mode Choice at Regional Level by Considering Spatial Association of Departure Place (출발지 공간 연관성을 고려한 지역별 수단선택확률 추정 연구)

  • Eom, Jin-Ki;Park, Man-Sik;Heo, T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5
    • /
    • pp.656-662
    • /
    • 2009
  • In general, the analysis of travelers' mode choice behavior is accomplished by developing the utility functions which reflect individual's preference of mode choice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and travel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ology that takes the spatial effects of individuals' departure locations into account in the mode choice model. The statistical models considered here are spat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 taking a spatial association parameter into account. We employed the Bayesian approach in order to obtain more reliable parameter estimates. The proposed methodology allows us to estimate mode shares by departure places even though the survey does not cover all areas.

An Assessment of Trip-maker's Behavior Under Uncertainty for Value of Travel Time (시간가치의 불확실성 아래 통행자행태에 관한 연구)

  • 문동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 no.1
    • /
    • pp.64-81
    • /
    • 1983
  • 소비자 행태에 관한 신고전 경제이론을 통행수요의 분석에 그대로 적용하는데 문제 가 되는 특기 사항으로는 운임이외에 통행시간과 같은 서어비스 질도 통행수단의 선택에 영 향을 미친다는 점과 특정 두지점간의 통행에서 동일한 소비자도 여러 수송수단을 이용한다 는 점을 들수 있다. 본 연구의 주제는 이와같은 통행수요의 독특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소비자의 효용최대화모형의 설정과 이 모형에서 유도된 수요함수의 구조를 분석함에 있다. 상술하면, 통행시간 가치의 불확실성 아래에서 효용을 극대화하는 의사결정문제를 Stochastic Programming 모형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이 모형에서 유도된 특성 통행수단의 수요함수는 이 수단이 가장 유리한 시간가치의 범위에 대한 부정적분으로 표현되며 이 적분 범위와 피적분함수는 모든 경쟁수단의 운임과 통행수단의 함수로 정의됨을 증명하였다. 또 한 수요함수는 통행수요에 관한 통계분석모형에서 묵시적으로 가정되고 있는 통행수단간 대 체성(Property of gross substitute)과 대각방향우세성(Property of diagonal dominance)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An Analysis of Decision-Making in Extreme Weather using an ABM Approach Application of Mode Choice in Heavy Rain & Heavy Snow (극한기후 시 의사결정 변화를 고려한 ABM 연구 - 폭우.폭설 시 교통수단 선택을 사례로 -)

  • Na, Yu-Gyung;Lee, Seung-Ho;Joh, Chang-Hye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2
    • /
    • pp.304-313
    • /
    • 2012
  • Uncertainty increases as a result of environment change and change of individual decision-making in extreme weather. This study consider individual decision-making which has been not covered until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aking Agent-Based Model to predict it more accurate that how much change travel demand in heavy rain and heavy snow. Through this model, it can be utilized to forecast travel demand, changes in travel behavior and traffic patterns. It will be also possible to predict discomfort index and risk of accidents.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Stochastic User Equilibrium in a Multi-Modal Network (다수단 확률적 사용자 균형의 민감도 분석)

  • Kim, Byeong-Gwan;Im, Yong-Tae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5
    • /
    • pp.117-129
    • /
    • 2010
  • This study presents a sensitivity analysis method for stochastic user equilibrium of multi-modal network flows. We consider a multi-modal network consisting of a road network for passenger cars physically separated from a transit network for public transport. We first establish a sensitivity analysis method with respect to arbitrary link parameters and perform a sensitivity analysis with respect to link capacity and transit line frequency as practical link parameters. Next, We establish a sensitivity analysis method and perform the sensitivity analysis with respect to modal split by passenger car and public transit. As with the elasticity of economics, these results can be important information for analyzing changes in travel behavior due to the changes in operation and policy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as well as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these operational changes and policies. These results also can be utilized as a tool to constitute a multi-modal network design problem by using cooperative game theory.

Theoretical comparison of O-D trips and P-A trips in travel demand analysis (교통수요분석에서 통행목적별 O-D 접근방법과 P-A 접근방법의 이론적 비교연구)

  • 김익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1
    • /
    • pp.45-62
    • /
    • 1997
  • 이 논문은 O-D 접근방법과 P-A 접근방법을 이론적으로 서로 비교한 연구이다. O-D 접근방법은 전통적인 교통수요 4단계 분석기법의 모든 과정에서 통행수 산출을 통행 유출과 통행유인의 개념을 적용하여 O-D 통행량을 사용한 기법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O-D 접근방법은 우리 나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법이다. P-A 접근방법은 통행 발생, 통행분포, 교통수단선책 분석과정까지 통행생성과 통행유인의 개념을 적용하여 P-A 통행량을 사용한 기법으로 정의되었으며, 노선배경 분석단계에 앞서 P-A 통행량을 O-D 통 행량으로 전환되어져야 한다. P-A 접근방법은 구미국가들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이 다. 이러한 두 접근방법은 통행목적 분류에서 귀가통행이 별도로 분류되어있는가 혹은 아닌 가에 따라 쉽게 구분되어 질 수 있다. 만일 귀가통행이 통행목적의 분류에서 별도로 구분되 어 있으면 O-D 접근방법이 적용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전통적 교통수요 4단계 분석과정 중 통행발생, 통행분포 및 교통수단선택의 각 분석과정에서 두 접근방법간 의 이론적 차이점을 명확히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써 형태적 통행패턴을 상대적 으로 잘 설명하며 또한 집합적 오차를 상대적으로 초 lth화할 수 있는 기법이 어느 것인가 를 이론적으로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행태적 측면에서 통행패턴을 P-A 접근방법이 더 잘 표현하고 있으며 또한 집합화 오차도 P-A 접근방법이 더 적으므로 P-A 접근방법이 O-D 접근방법보다 이론적으로 더 우수하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이 연구는 통행발생, 통행 분포, 교통수단선택 분석과정이 끝난 후 P-A 통행량에서 O-D 통행량으로 전환하는 것이 통행발생, 통행분포의 분석과정이 끝난 후에 O-D 통행량으로 전환하는 것보다 더 바람직하 다고 추천하였다.

  • PDF

Study on Determinant of Mode Choice based on Analysis on Median Exclusive Bus Lane Effects (중앙버스전용차로 시행에 따른 통행수단선택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My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2 no.4
    • /
    • pp.33-43
    • /
    • 2013
  • Comparing to the constant-increasing number of vehicles, road facilities supply such as road construction has already reached the uppermost limit. As one of the most serious issues that the public would personally deal with every day, such is some road traffic problem to be solved instantly. Median exclusive bus lane is now being conducted as a way to enhance efficiency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 Transportation System Management, and with a main arterial that connects Kyeryong-ro (Wolpyeong 3~West Daejeon 4, 6.3km) and Daedeok-daero (Daedeok Bridge 4~Kyeryong 4, 2.6km) in Daejeon adopted as a research target, the study analyzed effects of the arterial by VISSIM the microsimulation. During the analysis, the study focused on figuring out effects of owner-drivers' transport mode choice to take a bus a public transit.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as people take a bus at the median exclusive bus lane not crb bus lane, traffic for general vehicles has been negatively effected with less drive ways for the vehicles.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bus traffic, the new transport mode choice appeared to have a quite positive influence after all. A binary logit model analysis reported that owner-drivers might take a bus more often when they earn lower incomes, when they do not travel far, when poor parking is expected and lastly, when they are familiar with using the median exclusive bus lane.

A Study on the Status Quo of Short-term Operation and Issues of KTX (개통 초기의 KTX 운영현황 및 문제점 고찰)

  • An, Byeong-Uk;O, Se-Ch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6
    • /
    • pp.219-226
    • /
    • 2004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여객 및 화물량의 증가로 기존 수송수단이 포화에 이른 실정에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추진한 고속철도 사업에 대해, 고속철도 개통 후 단기간에 드러난 이용현황 및 문제점을 도출해 기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 단체 및 기관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광범 위한 고속철도 사업의 특성아래 여객 부문에 대한 대중교통 측면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고속철도 개통 후, 여객 및 화물 수송의 형태에는 단기간이나마 큰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에 반해 고속철도의 이용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문제점 또한 조사되었다. 주요 사항으로는 역방향 유해성, 일반열차로의 불편전이, 터널통과시의 소음 등으로서 이는 개통 초기 고속철도에 대한 그릇된 대국민 인식을 가져오게 함과 동시에 향후 개인들간 교통수단 선택에 있어서까지 그릇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현재 각각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일반열차 확대 및 할인혜택, 점진적인 순방향 좌석으로서 교체 및 소음 저감방안을 위한 연구 용역 등이 실행되거나 준비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뚜렷한 개선 징후는 아직 미미한 상태로 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아직까지는 고속철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개별 문제점에 대한 좀더 깊은 고찰과 개선안 제시가 이루어진다면 향후 고속철도에 대한 대국민 인식을 한 단계 더 높여, 그 이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Analysis for Changes of Mode Choice Behavior from Providing Real-time Schedule for Public Transportation by Smartphone Application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중교통 운행정보 제공에 따른 통행자 수단선택 행태변화 분석)

  • Choi, Sung-Taek;Rho, Jeo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1 no.6
    • /
    • pp.60-69
    • /
    • 2012
  •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Service which use smartphone Apps has received attention as the way of solution that reduced transport problem. Smartphone can offer real-time information because of a LBS(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This study try to find out which factor affect mode choice ratio of public transport, especially smartphone Apps. The result shows that rising oil price, traffic congestion, public information service with smartphone apps, BIS(Bus Information System) factors get 0.39, 0.27, 0.18, 0.16 scores with paired comparison. Younger and student respondents prefer smart phone public information service. Decision Tree shows that the most important decision factor is smartphone information service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