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정치료 후

검색결과 702건 처리시간 0.018초

성인교정환자의 내외통제소재와 치료협조도에 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treatment compliance in adult orthodontic patients)

  • 이신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2호통권91호
    • /
    • pp.71-78
    • /
    • 2002
  • 보편적인 교정치료의 적기로 알려진 청소년기가 지나 성인 연령이 되어서야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성인교정환자의 정신-심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인 312명, 청소년 765명, 총 1077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종류의 내외통제소재(locus of control) 척도를 측정한 후 연령군, 성별, 술자(교정의)에 의한 환자 협조도 평가, 진료보조원(치과위생사)에 의한 협조도 평가에 따라 분류한 후, 각각의 내외통제소재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정 환자들은 일반인에 비해 내적통제 경향을 보였으며, 성인은 청소년군에 비해 내적통제 경향을 보였고, 성인과 달리 청소년군은 여자가 남자보다 오히려 더 높은 내적통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협조적으로 분류된 성인환자는 외적통제 경향을 지닌 쪽이었지만, 청소년 환자는 내적통제 경향을 지닌 환자가 협조적인 환자로 분류되었다. 진료보조원은 술자에 비해 성인군에 대하여 더 호감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는 술자 측 분류에 비해 협조 불량군의 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정치료시에 반드시 필요한 환자측의 치료협조도를 미리 예측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편으로 내외통제소재척도와 같은 정신-심리학적 검사가 진단 자료의 일부로써 유용성을 지닐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전치부 공극의 치료후 재발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N THE RELAPSE OF DIASTEMA)

  • 박효상;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5-104
    • /
    • 1994
  • 전치부 공극의 치료법으로는 교정적인 폐쇄, 수술에 의한 방법, 보철에 의한 치료등의 방법이 있으며 이중 교정적인 폐쇄에 의한 치료법은 가장 보존적인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치료이후의 보정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저자등은 전치부 공극을 가진 3증례의 치료후 재발과정과 보정과정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양 중절치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보정장치의 사용은 영구보철물에 의한 경우에도 재발을 가져왔다. $\cdot$ 교정적으로 공극을 폐쇄한후, 순소대절제술, circumferential supracrestal fibrotomy 그리고 양 중절치가 서로 연결된 설측 부착 보정장치의 시행으로 좋은 유지 효과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때 전치부 공극은 교정적 치료후, 순소대절제술, fibrotomy등을 시행한 후 반드시 양 중절치를 연결하는 고정성 보정 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브라켓 제거에 따른 입술과 주위 연조직의 변화 (Changes in lip and periornl soft tissue after bracket removal)

  • 이정섭;최광철;박영철;김경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5-136
    • /
    • 2007
  • 교정치료에 따른 연조직 변화 양상은 개개인의 차이가 심하므로 교정치료 중 흔히 재평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고정식 교정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입술의 위치와 교정치료 종료 후의 위치에 대한 비교 예측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교정치료가 종료되어 고정식 교정장치를 제거하는 52명을 대상으로 T1(장치제거 전), T2(장치제거 직후), T3(장치제거 1.5개월 후)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입술과 그 주위 연조직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장치제거 직후(T2-T1) 하순이 후퇴하며 장치제거 직후부터 1.5개월 후 (T3-T2)까지도 계속 후퇴하였다. 장치제거 1.5개월 후 (T3-T1), 기준선(G-perpendicular line)에 대한 입술의 평균 후퇴양은 상순(Ls)에서 0.38mm, 하순(Li)은 0.88 mm를 보였다. 주로 장치제거 직후(T2-T1)에 하순이 후퇴하는 여자군과 달리 남자군은 장치제거 직후부터 1.5개월 후(T3-T2)가지 하순이 주로 후퇴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장치제거 1.5개월 후 (T3-T1)에는 남자군과 여자군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의 치료후 골격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keletal changes after treatment of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정동화;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7-279
    • /
    • 1996
  • 교정치료는 치료 후의 분석이 이루어져야 그 성공여부를 평가받을 수 있다. 왜냐하면 교정치료는 환자자신의 고유한 균형을 변화시켜 또 다른 균형을 설정해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1급이나 2급 부정교합에 비해 3급 부정교합 환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이 연구는 일반적인 교정치료시와 보정기간 중에는 어떠한 변화과정을 겪으며, 이들 중 재발 양상을 나타내는 요소에 대하여 치료 전의 골격형태와 치료기간 중 변화량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초진시의 Heilman dental age가 IIIB이상이며 1년 6개월이상의 보정기간이 경과한 24명 을 대상으로 하여 치료기간과 보정기간 중에 각항목의 변화량을 비교하고 이중 복귀현상을 나타낸 항목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FH plane에 대한 교합평면의 각과 하악평면의 각, 그리고 하악평연에 대한 하악 전치의 각은 치료기간중의 변화가 보정기간 중에 치료전의 상태로의 복귀현상을 나타내었으며 이중 교합평면각과 하악 전치의 치축항목은 치료기간중의 변화량과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2. 치료 종료시 교합평면의 상방변위가 보정기간 중에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려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치료기간 중에 변위량과 비례하여 나타났으나 기저골에 대한 상하악 대구치의 경사는 치료기간중의 변화량이 보정기간에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3. 보정기간 중의 하악평면각은 치료기간 중의 하악의 후하방 회전량이 클수록 감소하였다.

  • PDF

Mini-implant를 이용한 III급 부정교합의 수술교정치료: 수평, 수직적 치성 보상의 조절 (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mini-implant: correc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dental compensation)

  • 임동혁;박현정;박재우;김정일;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88-396
    • /
    • 2006
  • 전치부 치성 보상기전과 장안모를 보이는 하악전돌증례에서 악교정 수술전 교정치료과정과 치료결과를 보이고자한다. 악교정 수술전 교정치료로 장안모의 해결을 위해 구개 정중부에 mini-implant를 식립하여 상악 구치부를 압하하였고, 하악전치부 치성보상을 해결하기 위해 하악 좌우측 견치와 제1소구치 사이에 mini-implant를 식립하여 하악전치의 순측경사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하악골 후퇴술만 시행하였음에도 수평, 수직적으로 조화로운 안모를 얻을 수 있었다. 치료기간은 11개월이 소요되었으며, 치료 후 18개월 후에도 안정적인 교합이 유지되었다.

Basic upper lip thickness에 따른 교정치료 후 입술 이동량의 차이 (The effect of lip thickness on lip profile change after orthodontically treated patients with 4 first bicuspid extraction)

  • 박선형;박성헌;조영문;김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55-360
    • /
    • 2002
  • 교정치료 후 연조직의 변화가 나타난다. 특히, 하안면부위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대표적으로 입술은 치아 이동량의 $60\~70\%$정도 이동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동량은 개인마다 그 양상이 다양하다. 본 연구는 환자의 입술두께에 따라 연조직 이동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치를 동반한 교정치료를 받은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basic upper lip thickness에 따라 환자를 분류한 결과, 두께가 얇은 군(group 1)에서 치료 후 연조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mentolabial angle와 하순의 변화간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두께가 평균인 군(group 2)에서 상순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상악전치의 변화, 하악전치의 변화, 하순의 변화, nasolabial angle의 변화로 나타났으며, 하순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상순의 변화, 상악전치의 변화, 하악전치의 변화로 나타났다. 두께가 두꺼운 군(group 3)에서 는 상순, 하순의 변화는 전치위치의 변화나 연조직 변화와는 관련 없음으로 관찰되었다.

교정치료 초기에 사용되는 4가지 호선의 초기 치료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전향적 임상 실험 연구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four initial orthodontic archwires)

  • Quintao, Catia C. A.;Jones, Malcoim L.;Menezes, Luciane M.;Koo, Daniel;Elias, Carlos 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81-38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치료 초기에 사용되는 스테인레스스틸, 다가닥철선. 초탄성 NiTi, 열활동성 NiTi재료로 이루어진 총 4가지 호선의 초기 치료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으며, 실험의 설계는 전향적 임상 실험(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으로서 브라질 리오데자네이로 주립 치과대대학에 내원한 45명의 고정식 교정장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각 호선의 재료는 환자의 치열에 무작위로 배당되었는데 스테인레스스틸은 20명, 다가닥철선은 22명, 초탄성 NiTi는 22명, 열활동성 NiTi는 20명에게 할당되었고. 8주 후에 모형을 다시 제작한 후 3차원 디지털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모형의 치관에 설정된 해부학적 지표의 변화를 측정하였는데 치료전 및 치료후 치열불규칙지수(Dental Irregularity Index)의 차이로 초기 교정치료 효과를 비교하였다. 분산분석을 시행하여 불규칙지수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호선의 재료에 따른 초기 치료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III급 부정교합의 조기 치료 예후 예측를 위한 두부방사선 계측 변수의 평가 (Evaluation of various cephalometric measurements to predict the prognosis of early Class III malocclusion treatment)

  • 손명호;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5-218
    • /
    • 2004
  • III급 부정교합을 조기에 치료했을 때, 치료 후 retention 기간 중에 교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와, 재발되어 성장 완료시기에 악교정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를 경험하게 된다. 어린 년생부터 장기간에 걸쳐 교정치료를 했음에도 재발되어 악교정수술을 하는 경우에, 환자와 보호자는 소모된 시간과 경비에 대해 많은 실망을 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교정치료 후 보정기간 중에 있는 30증례를 조사했다. 치료 완료된 교합상태를 교합안정 정도에 따라 good, fair, relapse군으로 나누어 치료 전 골격형태를 관찰한 결과, AB-MP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조기에 III급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경우에, 치료 후 안정에 관한 예후를 평가하는데 AB-MP를 활용할 수 있다. AB-MP이 65이상인 경우에 조기치료가 권장되고, 60이하인 경우에는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연기할 수 있다.

교정 치료 후 교합력, 교합면적의 변화 (Changes in occlusal force and occlusal contact area after orthodontic treatment)

  • 최윤정;정주령;김경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6-183
    • /
    • 2010
  • 고정식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정치료 후 교합의 기능적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교합력 및 교합접촉면적을 측정하여 단기적인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소구치 발치 여부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였다. 고정식 교정장치로 치료를 종료한 18세 에서40세 사이의 성인을 남자군과 여자군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군을 4개의 소구치를 발치한 군과 비발치로 치료한 군으로 세부 분류하였다(남자발치군 16명, 남자비발치군 18명, 여자발치군 19명, 여자비발치군 21명). Dental prescalesystem (Fuji Film Corp., Tokyo, Japan)의 pressure sensitive sheet를 5초간 최대교두감합위에서 최대근력으로 교합하도록 한 뒤 CCD camera를 이용해 교합력과 교합면적을 측정하였다. 고정식 교정장치를 제거하고 고정식유지장치를 붙인 직후, 교정장치 제거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뒤에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모든 군에서 교정장치 제거 후 1년간의 유지기간 동안 교합력과 교합면적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5). 모든 측정 시기에서 남자군은 여자군보다 높은 교합력과 교합면적을 보였으며 (p < 0.05), 남자, 여자군 모두에서 발치군과 비발치군 사이에는 교합력 및 교합면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p > 0.05). 본 연구를 통해 교정치료 후 1년간의 유지기간 동안 교합이 기능적으로 향상됨을 파악하였고, 소구치 발치로 인한 교합의 기능적 저하는 없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었다.

교정치료와 관련된 치조골 높이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alveolar crest height following orthodontic treatment)

  • 강경화;이경원;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99-611
    • /
    • 2000
  • 교정치료에 의해 빚어지는 치조골 소실의 정도를 좌, 우측 제1대구치의 근, 원심면에서 치료 전, 후의 파노라마 필름을 이용하여 비교평가하고 치조골 소실에 미치는 영향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정식 교정장치 치료를 받은 216명의 환자들은 104명의 성장군과 112명의 성인군으로 나뉘어 졌으며 4개 소구치의 발거가 이루어진 경우는 각각 50명씩이었다. 치료 전, 후 파노라마 사진에서 상하 좌우 제1대구치의 근심 및 원심 부위의 치조골 높이를 백악법랑질경계에서 치조골의 최첨점까지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료 시작시, 성인군은 성장군보다 유의하게 치조골 수준이 낮았다. 2. 치료 후 치조골 수준은 치료 전 수준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3. 성장군과 성인군 간에 치조골 변화량의 유의한 차가 없었다. 4. 성인발치군은 비발치군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치조골 소실을 모든 원심면에서 보였다. 5. 상악은 하악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은 치조골 소실을 근심면에서 보였다. 6. 성인군은 원심면에서 근심면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치조골 소실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