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 로봇

Search Result 60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Change of Attitudes toward Robots of Pre-service Teachers'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한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173-17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하여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의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ICT 교육을 받는 예비 교사와 프로그래밍 교육을 받는 예비 교사와 로봇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였다. 비교를 통하여, ICT 교육을 받은 예비 교사와 프로그래밍 교육을 받은 예비 교사는 로봇에 대한 태도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을 받은 예비 교사들은 로봇에 대한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예비 교사에게서 나타난 로봇에 대한 태도 변화는 로봇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긍정적으로 바뀌는 데 영향을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이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꾸는 데 영향을 준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Robotics Education to Programming Education Using Meta-Analysis (메타 분석을 이용한 로봇교육과 프로그래밍교육의 효과 비교)

  • Yang, Changm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8 no.3
    • /
    • pp.413-422
    • /
    • 2014
  • The positive impacts of robotics education and programming education on learners are similar. However, robotics education differs from programming education because it includes purchasing and building robots that cause financial and cognitive load of learners. Due to these differences, two kinds of education may not possess equal efficacies for all schools or all learning objectives. To verify this hypothesis, we conducted meta-analysis of studies on robotics education published in South Korea to estimate the effect sizes and compare it to that of programming educ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effect sizes of robotics education and of programming education was significant, as the former was 0.4060 and the latter 0.6664. The average effect size of programming education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robotics educati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d the highest results in both robotics education and programming education. Also, robotics education became more effective than programming education as students were older. Analysis on objectives showed that programming education uniformly affected all areas, whereas robotics education had more impact on affective domain than cognitive domain. Robot construction had the largest effect size, followed by robot construction and programming, robot programming, and robot utilization. Programming education has larger positive impacts on students overall compared to robotics education. Robotics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o upperclassmen than programming education, and improves affective domain of students. Also, robotics education shows higher efficacy when combined with various subjects.

Development of the Battle Robot Fabrication Curriculum Applied by the Robot Club Activities Program (로봇동아리 프로그램 적용에 의한 배틀 로봇 제작 교육과정 개발)

  • Lim, Ho-Kwon;Shin, Seung-Jung;Ryu, D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340-343
    • /
    • 2010
  • 본 연구는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효율적인 로봇교육을 위하여 로봇에 관심과 흥미가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로봇 동아리를 조직하고, 경진대회용 배틀 로봇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로 국내외 경진 대회와 문헌 고찰을 통해 다소 모호한 용어인 배틀 로봇을 정의하고, 에듀테인먼트 로봇으로 구분하였으며,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배틀 로봇 제작이 갖는 교육적 활용가치를 탐색하였다. 둘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중에서 '로봇 기초'와 '로봇 제작'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를 분석하였고, 셋째, 배틀 로봇 제작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로봇 동아리를 실험대상으로3라운드에 걸친 실험연구를 통해 공업계 고등학교 로봇 동아리 프로그램 적용에 의한 배틀 로봇 제작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로봇이 미래의 기술로 주목받게 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로봇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는 지금, 배틀 로봇 제작이 학생들에게 체험 교육의 도구가 될 뿐 만 아니라,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다루는 로봇 교과목 및 이와 관련된 전문 교과목의 교육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Reactivation Methods of Robot Using Education at the Secondary School (중등학교에서 로봇이용교육 활성화 방안)

  • Ma, SookHee;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507-510
    • /
    • 2009
  • 7차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실과교과에 로봇에 대한 내용이 교과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각 기관의 영재 교육 기관에서도 로봇이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로봇 이용 프로그래밍 교육은 학생들의 흥미도 향상과 창의력 향상에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학교에서 방과 후 교육에서 로봇교육을 일부 많이 실시하고 있지만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이용 교육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에는 컴퓨터에 대한 친숙도가 남학생에 비해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 이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위한 기초 연구로 중등학생의 로봇이용교육의 실태를 분석한다. 특히 여학생들의 로봇 이용 교육에 대한 실태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The value and direction of robot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로봇교육의 가치와 방향)

  • Seo, YoungMi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155-15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정규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로봇교육으로서 2011년 고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실과 교육과정 5-6학년의 (생활과 전기, 전자) 단원에서의 로봇교육과 교사 로봇 연구대회에서 발표한 로봇교육 지도안의 몇 가지 사례들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로봇교육이 어떠한 가치를 지니고,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에서 언급한 사례들은 로봇의 작동 원리와 센서 등 공학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로봇교육이 지니는 다양한 장점 중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주어진 매뉴얼을 통하여 수행되는 최소한의 공학적 이해 수준을 가리키는 것을 넘어 문제해결 및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객체로서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로봇이 정규교육과정 속에서 수행되기 어려운 한계점을 제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A Curriculum Development on the Robot Literacy Related with A mathematics and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초.중등 학생의 로봇교육을 위한 수학.과학과 교육과정 연계 로봇 소양 교육과정 개발)

  • Shin, Seung-Young;Cho, Hye-Kyung;Kim, Mi-Rya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6 no.6
    • /
    • pp.55-70
    • /
    • 2013
  • This study tried to redesign a robot curriculum and proposed it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supporting sustainable development of robot in educations. For doing so, this study referred relevant existing literacy contents at robot literacy educations, and defined a robot literacy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elements of robot literacy by dividing them into five kinds. In relation with the scope of robot literacy education suggested here, this study proposed basic robot area, measurement and observation along with robots based on three elements of robotics, movement and expression made by robots, my own robot design, and comprehensive activity area. Regarding to development stages of robot literacy, the study applied the classical model of curriculum development by Tyler (1949), and intended to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on the curriculum composition, and then developed a curriculum after analyzing mathematics and science curriculums in existing elementary, middle schools accordingly.

  • PDF

A Study on Contents of Robot Education Curriculum (로봇 교육과정 단계별 학습내용에 관한 연구)

  • Kim, Ch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8 no.3
    • /
    • pp.443-452
    • /
    • 2014
  • In this study, robot curriculum was developed to fulfill systematic robot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For literature research, robot curriculum cases in the UK, the US, and Korea were surveyed to choose and organize robot education contents. The robot curriculum developed is categorized into five areas-robot basic course, sensor, structure/motion, control, and problem-solving-and consist of four step-robot experience, robot creation, robot exploration, and robot control. Stepwise learning contents reflected difficulty and sequence to let students experience intensive repetitive activity. This study will lay the foundation for applying systematic robot education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stud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developed robot curriculum.

Analysis on Problems of Special Ability Robot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초등특기적성 로봇교육과정의 문제점 분석)

  • Nam, Gil-Hyu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193-19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다가 올 로봇시대의 변화에 적응할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해 기초 기본 교육인 초등교육에서 로봇교육을 운영해야 하며 체계적인 로봇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해 인천지역 초등학교에서 시행 중인 특기적성 로봇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기적성 로봇교육과정의 가장 큰 문제점은 '로봇 구성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내용체계이며 그 밖의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Robot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sing Educational Robot and its Application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예비초등교사 로봇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Song, Ui-Su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4 no.3
    • /
    • pp.333-341
    • /
    • 2013
  • Robot education has the favorable influence 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Therefore, it is commonly know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ir parents and teacher through robot education for after school and contests. However, it has not been actively taught at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because of the lack of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robot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educational robot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 have examined their recognition on robot education and education program after a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Interviews for improving robot education program were also conducted. We find out robot education program has the favorable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for robot education. In particular, we know that education will related to robot was augmented by this education program.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towards Robots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167-169
    • /
    • 2017
  •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회, 경제, 산업에서 다양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4차 산업 혁명이라고 부르며, 이러한 변화를 주도하는 기술로 로봇이 주목받고 있다. 로봇은 다양한 연구에서 교육적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에 따라 로봇을 교육에 도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로봇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이 로봇 교육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었다. 특히, 다른 나라에 비해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이었으며, 이러한 부정적인 태도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로봇 교육의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와 다양한 요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K 대학에 다니고 있는 317명의 예비 교사이었으며,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에서 활용한 Negative Attitude towards Robots Scale(NARS)를 사용하였다. NARS를 통하여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로봇을 조작한 경험과 로봇 관련 강의를 수강한 여부가 로봇에 대한 태도가 차이 나게 만드는 요소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매체를 통한 로봇을 접촉한 경험은 로봇에 대한 태도에 관련이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볼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꾸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