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모델

Search Result 3,20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Emotivity Engineering and Emotivity Education with Emotivity Filter Model (감성 필터 모델을 통한 감성공학과 감성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 송태옥;안성훈;김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30-34
    • /
    • 2000
  • 인간의 능력은 유전과 환경에 의해 결정되며, 정보는 인지와 감성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처리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정보처리모델에서는 유전과 환경, 인지와 감성 작용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감성이론과 정보처리모델을 바탕으로 감성필터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감성필터가 입력을 선별적으로 수용하며, 수용된 입력은 자신의 현재 능력과 함께 상호작용을 하며 정보를 처리하게 된다.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인간은 지식과 경험을 재구성하거나 잠재력을 계발할 수 있다. 이 모델을 통하여, 새로운 관전에서 유전과 환경의 의미 그리고 감성과 인지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적인 관점에서 감성교육과 감성공학의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Secure Efficient Cyber University Model. (효율적이고 안전한 가상 대학 모델에 관한 연구)

  • Lee, Duk-Kyu;Park, Hee-Un;Lee, I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1053-1056
    • /
    • 2001
  • 본 논문은 가상 공간에서 운영할 수 있는 가상 대학 모델에 관해 기술한다. 인터넷을 통한 가상 교육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교육의 기회가 부여되었다. 많은 교육의 기회의 부여는 온라인을 통하여 사용자의, 자료가 도청 흑은 변경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문서의 보호와 검증에 대하여, 공개키 기반 구조 모델과 OTP(One-Time Password)를 이용하여 주요시스템의 업무 및 기능을 정의한다. 기존에 사용되는 가상대학 모델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새로운 가상 대학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한 방식을 통해 안전한 가상대학 모델의 하고 신뢰성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수업 참여를 확대(유도)하는 수단으로써 활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idactical application of ChatGPT for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수학 문장제 해결과 관련한 ChatGPT의 교수학적 활용 방안 모색)

  • Kang, Yunj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8 no.1
    • /
    • pp.49-67
    • /
    • 2024
  • Recent interest in the diverse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language models has highlighted the need to explore didactical uses in mathematics education. AI language models, capable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how promise in solv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 This study tested the capability of ChatGPT, an AI language model, to solve word problems from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analyzed both the solutions and errors ma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I language model achieved an accuracy rate of 81.08%, with errors in problem comprehension, equation formulation, and calculation. Based on this analysis of solution processes and error types,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didactical application of AI language models in education.

Python-based Software Education Model for Non-Computer Majors (컴퓨터 비전공자를 위한 파이썬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 모델)

  • Lee, Young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3
    • /
    • pp.73-78
    • /
    • 2018
  • Modern society has evolved to such an extent that computing technology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various fields, creating new and superior value to society. Education on computer literacy, including the ability to design and build software, is now becoming a universal education that must be acquired by everyone, regardless of the field of study. Many universities are imparting software education to students to improve their problem-solving ability, including to students who are not majoring in computers. However, software education contains courses that are meant for computer majors and many students encounter difficulty in learning the grammar of programming language.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analyzes the research outcomes of the existing software education model and proposes a Python-based software education model for students who are not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Along with a Python-based software education model, this paper proposed a curriculum that can be applied during one semester, including learning procedures, and teaching strategies. This curriculum was applied to a liberal arts class and a meaningful result was derived. If the proposed software education model is applied, the students will be interested in the computer literacy class and improve their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A Model for Safety Education Fit for Individual Personality of Construction Worker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 모델)

  • Kim, Eun-Jeung;Shin, Dong-Woo;Kim, Kyung-Ra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9 no.5
    • /
    • pp.116-126
    • /
    • 2008
  • Safety education, which aims to cultivate an understanding of safety, to help acquire safety skills, and to improve attitude toward safety, is an important safety measure that doesn't entail restrictions to be carried out efficiently. Furthermore, safety education is perceived to be the most preferred measure in reducing the occurrence of accident. The current practice of safety education In construction sites, however, is all formal and has no substance. Safety education became a mere boring time to workers since the material is not related to them, and does not reflect the individual personalities, which cannot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of workers. Thus, it is vital to develop various safety education models suitable for individual personalities of construction worker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establish safety education models according to individual personalities of construction workers. On this, the study seeks to present a model for safety education complying with individual personality of construction workers by a survey using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 analyses to workers on the construction sites.

EIS이론에 따른 정수 지도에서 학생의 학습 과정 연구

  • Go, Sang-Suk;Jeon, Tae-Hu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441-451
    • /
    • 2004
  • 수학의 내용을 학생에게 지도할 때 기계적인 계산법칙을 가르치는 것보다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교사의 중요한 역할이다. 그 동안 연구를 통해 정수를 지도하기 위한 모델들은 꽤 많이 알려져 왔으나 이 모델들을 학생에게 직접 적용하였을 때 일어나는 현상을 파악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위, 중위권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EIS이론에 바탕을 둔 정수의 모델을 통해 학생들이 정수의 개념을 어떻게 형성하고 그 과정에서 어떤 오류를 나타내는지, 또 무엇을 가장 어려워하는지 등 그 학습과정을 조사하였다.

  • PDF

A study on UTAUT Model of m-Learning Adoption in Higher Education (고등교육에서 Mobile learning 대한 새로운 UTAUT 모델연구)

  • Kook, Joong-Ka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465-466
    • /
    • 2014
  • 모바일 기술이 고등교육에 도입될 때, 특히 학생 사용자에 관하여 어떠한 요소들이 모바일 채택에 영향을 주는 가에 관한 연구모델과 가설을 이 논문에서 언급하고 있다. 미래 고등교육에 모바일러닝을 더욱 발전시키고 수립하고져 학생들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factor)을 찾고자 한다. 특히,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연구모델을 기초로 두고, 최근에 주요한 요소를 추가 하였다.

  • PDF

결측치를 가진 목표지향형 평가모델에서 수학학습능력의 평가에 관한 연구

  • 홍석강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33 no.2
    • /
    • pp.167-175
    • /
    • 1994
  • 결측치를 가진 회귀모형의 모수 추정법을 이용하여 목표지향형 평가 모델에서 기초고사(X)와 신고사(I)(Y), 신고사(II)(Z)등 두 개 이상의 고사지로 이루어진 고사집에서 기초고사에는 결측치가 없고 신고사(I), 신고사(II)등에는 결측치가 있는 경우 모수의 최우추정량 계산법을 논하고 E.M. 알고리즘과 평가치는 희귀방적식화에 의하여 우리나라 중등학교 학생의 수학학습능력과 수학적 사고력의 크기를 변별하며 학생들의 진능력이 반영된 평가모델과 최종 성적을 평가 할 수 있는 계산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