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개발협력

Search Result 66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Improving The Output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Case of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Program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과학기술 국제협력 성과제고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국제화사업을 중심으로-)

  • Kim, Young-In;Lee, Byung-Mi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2 no.3
    • /
    • pp.545-563
    • /
    • 2009
  • In an era of global competition,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plays a key role in determining a nation's competitiveness. In fact, without international cooperation, it is almost impossible to keep in touch with the fast-changing technology. In regard to this, the Korean government put much efforts into building a strong base for global R&D networking. As a result, the environment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has improved a lot. However, the output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re still poor and fall short of expectations. With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rising more and more,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T and analyse the outputs of the cooperation activities to review our past and present international cooperation activities.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outputs of the MEST's international S&T cooperation programs in various ways and recommends ways to improve the outputs of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 PDF

E-learning System Development for Collaborative Learning (협력학습을 위한 E-learning 시스템의 개발)

  • 이삼순;박만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795-798
    • /
    • 2003
  •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으며 새로운 학습의 장인 e-teaming을 가능하게 하였다. e-learning 시스템은 컨텐츠. 커뮤니티 및 등 방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여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게 한다. 이에 교수·학습의 방법 중 협동적이고 상호 보완적인 학습 방식인 협력학습과 e-learning을 결합시켜 협력학습을 위한 e-learning시스템을 개발하여 교수 학습의 효율성을 기하고자 한다.

  • PDF

SW Education Program using Pair Programming Collaboration Tools (짝프로그래밍 협업도구를 활용한 SW교육프로그램)

  • Kim, Yong-Ok;Chun, Seok-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3 no.4
    • /
    • pp.375-384
    • /
    • 2019
  •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uture students should have the skills to utilize and organize high-quality knowledge, not the amount of knowledge. With the launch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the curriculum has been reorganized based on competency and the software education has been seeking capabilities such as 'Cultural computing knowledge', 'Computational thinking',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herefore, practical collaboration tools and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re developed based on Pair Programming, which is a specific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y to develop cooperative problem solving skill. The educational program using this collaboration tool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Pair Programming rather than focusing on learning grammar of programming language and programming techniques. In a educational program, students will be able to use collaborative tools for pair programming and foster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Networks of Rural Youth Education and Training in Asia (아시아 농촌 청소년 교육과 훈련의 연결망)

  • Kim, Su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9 no.1
    • /
    • pp.131-145
    • /
    • 2002
  • 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

  • PDF

A Study on Training Tools for Scenario of Disaster Response Capacity (재난유형별 재난대응역량 위한 훈련 툴에 관한 연구)

  • Lee, Jin-Ho;Choung, Hyouk-Jin;Oh, Seok-Jin;Baek, Jeo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618-1621
    • /
    • 2015
  • 본 훈련 시스템은 재난유형별 국가재난대응시나리오 기반의 대응체계를 바탕으로 재난의 종류나 규모, 복잡성 등과 무관하게 유관기관의 재난관리 관계자를 위한 교육 평가를 통해 표준화된 교육 훈련 평가체계를 확립한다. 이를 위해 국내와 해외의 사례에서 조사된 내용의 특 장점 및 표출형태를 고려하여 재난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재난 발생 시나리오 기반의 텍스트 위주의 훈련용 웹 시스템을 개발한다. 무엇보다도 현실적으로 지역의 위험과 위협을 대표하는 검증된 유형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예방(Mitigation) 대비(Preparedness) 대응(Response) 복구(Recovery) 단계의 복잡 다양한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대응역량 및 상황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지원 교육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용자 확장성이 유용한 훈련용 웹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사전에 유관기관과의 협력강화를 위한 원활한 재난대응 협력체계 강화방안을 수립하고 재난현장 협력업무와 관련된 필요역량을 도출하는 등의 활동과, 이에 대한 실효성 있는 평가로 재난현장의 기관간 상호협력 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대응기관의 역량수준을 점검하고, 대응역량에 대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효율적 재난대비태세 구축하여, 재난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nd Behavioral Elements in e-Learning Environment (e-Learning 환경에서의 협력학습을 위한 학습모형 및 학습행위요소 개발)

  • Lee, Insook;Leem, Junghoon;Sung, Eunmo;Jin, Sunghee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9 no.2
    • /
    • pp.27-36
    • /
    • 2006
  •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essential models for collaborative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 as well as to analyze learning behavior elements appearing in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In order to achieve goal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existing cooperative learning models for face-to-face classroom, collaborative activity models based on instructional theory, and the structures and activities elements of learning community and collaborative activity models focusing on e-learning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produced a generalizable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for e-learning which include general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nd further analyzed specific learning behaviors performed by learners while they proceed in this model based learning processes. The adequacy of this model and reliability of learning behavior elements were tested through experts' review meetings. The research result, suggesting generalizable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s well as learning behaviors elements which might occur within e-learning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ight work as a foundational model for software infrastructure and e-learning solution business. Moreover, its value might be maximized if its being used for enhancing learning content interoperability and reuse as well as for establishing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for collaborative technology.

  • PDF

A Study on the Collaboratory curriculum Model of the foundation NCS through exemplary international cases (해외 우수사례를 통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산학협력모델에 관한 연구)

  • Kim, Kyung-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8
    • /
    • pp.673-683
    • /
    • 2016
  • The purpose of the NCS-based curriculum is to prepare students for practical competencies to perform tasks demanded by industries by applying nationally and industrially developed and certified NCS to the currently held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is academic goal, education institutions must dedicate their utmost efforts to train trainees to attain flexibility in rapidly changing industry environments and competitiveness to perform the various tasks demanded by industries. The 47th article of the Higher Education Law explains that the purpose of the College corresponds with that of the NCS-based curriculum because the contribution of na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n industry. The college purpose and the NCS-based curriculum require close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industries and colleges. This thesis analyzes cases of industry and college cooperation, researches adequate cases that suit the purpose of the NCS-based curriculum and proposes an appropriate industrial-education cooperation model that suits college and NCS-based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ooperation model held by highly acknowledged universities oversea.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a process and guideline to establish the industrial-education cooperation model. The industrial-education cooperation model proposed herein not only practically aligns the NCS-based curriculum to fit the industry environments, but also supports each party in pursuing and achieving its goals through an effective cooperative structure. The NCS-based industrial education model is anticipated to improve colleges' employment rates, allow industries' procurement of brilliant human resource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omestic industries through effective college education and training competent professionals for society.

학교교육을 통한 인구 가족계획 및 모자보건의 교육적 가치

  • 이시백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4 no.2
    • /
    • pp.1-8
    • /
    • 1987
  • 학교는 교육과 연구의 기능을 가친 특수한 사회조직이다. 새로운 과학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집단생활 속에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상호협력 할 수 있는 경험을 터득하게 하는 장소이다. 그러나 학교는 사회집단으로서 지식제공에 의한 인간개발이나 인간관계에 의한 인격 및 정서발달을 개인 스스로의 체험과 책임으로 돌려 방치하는 자유방임적인 조직은 아니다. (중략)

  • PDF

열린교육을 위한 가정에서의 수학 학습

  • Kim, Chang-Bok;Park, Seong-Se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15-29
    • /
    • 1999
  • 최근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열린교육은 종래의 규격화된 일제식 수업과 경직된 교육운영의 틀을 깨고, 다양한 수업의 방법들을 도입하고 개발하고 보급하고자 하는 교육운동이다. 이것은 교육을 ‘하는 사람’이 아니라 ‘받는 사람’을 위주로 하여 행하는 민주주의적인 교육형태로서, 이른바 학습자 및 학부모의 요구에 부응하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임을 뜻한다. 따라서 진정한 열린교육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현재 일반적으로 주력하고 있는 학교교실에서의 교수학습방법 개선 노력 이외에 학부모와 학교간의 건전하고 진정한 협력 관계가 수립, 유지되어야 할 필요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교사와 어머니와의 동반자적 관계를 수립하고 서로 협력함으로써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수학 학습의 방향 및 활동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ing a Collaborative Mode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t First Career Period (유치원 초임교사의 교육계획안 개발에서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협력 모형 구안)

  • Hwang, Yoon-Se;Kang, Hyeon-Suk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28 no.5
    • /
    • pp.233-251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about educational planning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 constructed by kindergarten teachers at early career stages and then developed a collaborative model of educational planning. Subjects were 6 teachers at early career stages. Using the ethnographic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Research outcomes were : (1) teachers specifically worked on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teaching job', 'age of children that the teacher cares for',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nd 'variety of actual teaching situations.' (2) A model for collaborative educational planning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eachers' knowledge, educational planning for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learning of commun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