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 선호도 조사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3초

유치원교사의 컴퓨터활용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computer use for kindergarten teachers)

  • 박정옥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218-225
    • /
    • 1999
  •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의 근무년수별 컴퓨터활용의 차이와 유아를 위한 컴퓨터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보면 유치원교사의 근무년수별 컴퓨터활용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x^2$=138.486, df=36, p<.001), 유치원교사의 근무년수별 컴퓨터를 배우고자하는 선호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x^2$=519.566, df=64 p<.001), 유치원교사의 근무년수별 컴퓨터활용프로그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x^2$=75.42, df=80, p>.50) 이는 유치원교사의 컴퓨터활용이 유아를 위한 교육목적위주로 이루지는 것이 아니라 문서관리외에 다른 용도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의 컴퓨터을 이용한 교육적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개발과 연구가 지속적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PDF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집단 간 인식 비교 (Comparison of High School Students Group' Awareness for the God Math Class)

  • 김창일;유기종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83-102
    • /
    • 2015
  • 이 연구는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분석하고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하여 수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들 간의 인식 차이로 발생하는 수업의 갈등 해소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학생들을 학년 과정별, 등급별, 성차별로 분류하여 그들 사이의 인식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학생들은 집단 분류에 관계없이 그들이 갖고 있는 오개념을 파악하여 수정해주는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인문사회과정 학생, 중위권 학생, 여학생들은 그들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과 평가 및 수업 중 다룬 내용을 평가하는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하위권 학생들은 그들의 사고과정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는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다른 등급 학생들보다 높았다. 이로부터 인문사회과정 학생, 등급이 하위권인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인식이 향상되고 수학 수업이 긍정적인 경험이 될 수 있는 수업분위기에서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들의 수요도 조사분석 (Analysis of the Demand of Parents and Teachers for Children's Library)

  • 홍현진;강미희;정미봉;정대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9-172
    • /
    • 2009
  • 어린이도서관에 대해 학부모와 교사들의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수요조사를 시행하였으며, 학부모와 교사들의 연령, 이용빈도 등에 따른 수요조사도 비교분석 하였다. 광주지역의 학부모와 교사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항목은 어린이도서관의 필요기능, 시설설계시 고려사항, 프로그램 개발의 고려사항, 구비할 자료의 형태 등으로 이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요분석결과 첫째, 도서관의 필요기능으로 문화복지기능, 문화예술체험기능 등을 높게 평가하였고, 시설설계에서는 쾌적성(위생시설과 환기, 습도, 온도 등)과 안정성(어린이용 쇼파, 쿠션, 카펫 등)을 최우선시하였으며, 셋째, 프로그램 선호유형으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중 학부모와 교사 모두 활동, 공연,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공연 프로그램을 학부모 1순위, 교사 3순위로 꼽았으며, 활동 프로그램은 교사 1순위, 학부모 3순위로 조사되었다. 넷째, 도서관에 구비해야할 자료의 중요도로는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는 자료, 바른 인성을 길러줄 수 있는 자료 등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화학교사 교육에서 클리커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e of Clickers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 Education)

  • 차정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99-50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경북 지역의 사범대학에 개설된 화학교육론 강좌에 클리커로 알려진 교실 응답 시스템을 적용한 뒤 이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강의 첫 시간에 클리커의 교육적 활용 방법과 사용법에 대해 소개한 뒤, 수업 중 평균 4-5개의 질문을 제시하였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예비교사들에게 클리커로 입력하게 한 뒤, 응답 분포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제시된 질문은 학습 내용을 회상하는 질문, 관련 내용에 대한 이해정도를 점검하는 질문, 어떤 사안에 대한 견해를 확인하는 질문, 이해가 어려운 내용에 대한 질문이 다양하게 포함되었다. 학기 말에 클리커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리커트 형식과 에세이 형식으로 조사한 결과, 예비 화학교사들은 클리커 활용의 인지적 효과, 정의적 효과, 그리고 매체 특성 측면 모두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8가지 클리커 질문 유형 중 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유형은 개념 이해 질문과 학습 점검 질문이었다. 클리커를 활용한 구체적인 사례와 연구 결과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도 포함되었다.

끓는점 오름 현상에 대한 학생, 예비교사, 화학교사의 개념 분석 (Conception Analysis of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nd Chemistry Teachers on Boiling Point Elevation)

  • 윤희숙;정대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05-81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끓는점 오름에 대한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의 기술 양식과 고등학생, 예비교사, 고등학교 화학교사의 이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6차와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화학 II 교과서를 분석하였고 고등학생과 예비교사, 화학교사의 개념은 설문지를 통해 얻었다. 끓는점 오름의 원인에 대한 교과서의 설명 유형은 '표면의 용매 입자수의 감소', '용매-용질간의 인력', 그리고 '표면 입자수의 감소와 용매-용질간의 인력'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개념조사 결과 '용매-용질간의 인력'을 끓는점 오름의 원인으로 인식하는 학생과 예비교사, 화학교사의 비율이 높았다. 대상자들은 끓는점 오름을 설명하기 위하여 엔트로피 개념보다 엔탈피 개념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고, 그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Homes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전미경;김성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7-16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과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위한 요구는 어떠한지 분석하여 효율적인 다문화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수집한 99부의 설문조사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 접촉 경험과 다문화교육 관련 수업 및 교사연수 유무 실태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가족 접촉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 없는 교사가 약간 많았다. 대학교 재학시절 다문화교육 관련 수업을 수강하였거나 다문화교육 관련 교사 연수를 받은 경험은 드물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가정과 교사들은 다인종의 존중, 다문화의 안정, 다문화에 대한 신념, 다문화 지식 수용 태도는 매우 긍정적안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다문화가족에 대한 친밀감과 관심, 그들과의 소통에서는 유보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사회의 건설을 위해 상호 이해와 배려를 강조해야 한다는 배려중심 관점을 가장 많이 보이고 있었다. 다음으로 인간관계 강조 관점, 사회적 행동 강조 관정, 동화주의 관점 순이었다. 넷째, 가정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시 할 때 가정과 교사는 더불어 사는 다문화사회에 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가정교과에서 지향해야 할 목표는 배려 중심 관점을 가장 선호했다. 다섯째, 다문화교육은 모든 교과의 전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실시되어야 하지만, 특정 교과에서 실시된다면 기술가정과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여겼다. 다문화교육을 실시 할 때 선행되어야 할 사항으로 교사의 다문화가족애 대한 이해와 인식전환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활용 자료는 시청각 자료, 연수 방법으로는 교사 직무 연수와 외국인과 함께하는 다문화 이해 연수를 선호하였다.

  • PDF

예비 고등학생들과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신소재'에 대한 인식 탐색 (Investigation of Prospective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Views on 'Advanced Material')

  • 윤회정;윤원정;우애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79-29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개편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새롭게 도입된 '신소재'에 대한 예비 고등학생들과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신소재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예비 고등학생 1,499명과 과학 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과 교사들의 신소재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지만 신소재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았다. 학생들은 개정 과학 교과서의 신소재 단원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교사들도 신소재 단원 수업을 어렵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과 교사들의 신소재에 대한 인지도와 신소재 관련 지식에 대한 이해도는 낮은 편이었다. 학생과 교사 모두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신소재에 대해 접했던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소재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과 교사는 많지 않았으며, 신소재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지 못한 교사들도 다수 있었다. 셋째, 학생과 교사 모두 신소재 수업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다. 신소재의 용도에 대해 알 필요가 있으며 매체 활용 수업을 가장 선호한다는 공통점을 나타냈지만 학생들은 교사들보다 체험학습을 선호하는 등 교사와 학생 입장에서 원하는 수업 진행 방식에는 차이점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소재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것과 이들이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할 때 고려할 점들을 제안하였다.

보육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DAP)에 대한 신념 및 교사효능감이 갈등해결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s' DAP Beliefs and Teacher Efficacy on Conflict Resolution Attitudes)

  • 최인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1-99
    • /
    • 2012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DAP)에 대한 신념 및 교사효능감이 갈등해결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천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다변량 분산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가운데 연령에 따른 차이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20대 교사가 30대 이상 교사보다 DAP신념, 협력형 갈등해결 수준이 높고 회피형 갈등해결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DAP신념과 교사효능감은 협력형 갈등해결과 정적 상관이 있는 반면에, 회피형 및 경쟁형 갈등해결 수준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DAP신념 및 교사효능감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갈등해결태도에 영향을 미쳐, DAP신념과 교사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협력형 갈등해결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교사의 신념 및 교수전략에 대한 교사교육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학교사들의 내용지식이 학생들의 기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고상숙;장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445-452
    • /
    • 2005
  •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교사 50명에 대하여 기하 문제의 논증기하적 또는 해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이 학생들의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 것이다.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면 도형의 문제에 대한 해석기하적인 문제해결 능력은 교육과정 상 대단히 중요하게 가르쳐야 할 내용이다. 유클리드 기하에 바탕을 둔 논증기하의 지식은 좌표평면의 도형을 방정식으로 나타내고 연구하는 해석기하의 기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은 논증기하적 문제해결을 선호하는 반면 해석기하적 문제해결은 어려워한다. 또한 논증기하적 문제 형태에는 논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 해석기하적 문제 형태에는 해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을 구사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교사들의 기하 문제에 대한 내용 지식이 학생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 PDF

과학교사교육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entoring Program Model for In-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 남정희;고미례;이순덕;고문숙;성화목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1613-1626
    • /
    • 2012
  • 이 연구는 현직 과학교사들의 교사교육에 대한 실태 및 멘토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효과적인 멘토링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요소들을 찾아내어 이를 바탕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현직 교사교육에 대한 실태 및 멘토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개발하고 중등과학교사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멘토링에 대한 심층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14명의 과학교사들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및 인터뷰를 통하여 과학교사들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사교육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교육의 구체적인 실행에 있어 일부 요소들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고 있었다. 과학교사들은 수업 전문성 향상을 목적으로 현행 교사교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험이 많은 현직 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와의 상호작용을 더욱 필요로 하였다.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방법으로 '수업 프로그램 개발', '교수이론과 다양한 교수법', '자신의 수업의 평가 및 개선', '교과서 내용 지식'에 대한 요소들을 포함하는 연수를 희망하였다. 멘토링과 관련된 인식 부분에서는 학교 현장에 바탕을 둔 멘토링 프로그램을 선호하였으며, 멘토링 프로그램에는 멘토-멘티 간의 상호작용, 멘토링 구성원들 간의 협력적인 문제 해결 경험, 멘토링으로 부터 생성된 자료의 공유, 그리고 멘토 혹은 멘티 들의 지식공동체 구성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호작용을 강조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주된 개념 요소는 '의사소통(Communication)', '멘토의 반성적 사고(Reflection for Mentor)', '멘티의 반성적 사고(Reflection for Mentee)', '평가(Evaluation)'의 4개 요소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들 주요 요소들은 '교수 피드백', '세미나와 워크숍', '자기평가', '협의회' 등의 활동으로 구성된 멘토링 모델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