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의 자질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18초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 반영을 중심으로 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cusing on the Reflect Qualities of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 조규성;정덕호;박경진;김희진;박선옥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543-55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영재교육 담당교사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이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연수 프로그램이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을 충분히 반영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각 지역 교육청, 대학 부설 연수원과 원격연수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재교육 관련 20개의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자질에 관한 프레임을 선정하였고, 이 자료를 토대로 연수 프로그램을 강의별로 코딩하여 정제한 뒤 분류 작업을 거쳐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교육과정', '교수법', '교육과정 개발'에 중점을 두어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많은 교사연수프로그램이 정의적 자질보다 전문성 및 교수능력 자질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연수 프로그램을 다양하고 균형 있게 재편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교사의 자질을 균등하게 개선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초, 중, 고등학생들의 과학 교사 자질에 대한 이미지 (Images of Competencies of Science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 김영신;조윤정;임수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61-73
    • /
    • 2020
  •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교사이다. 그러므로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교사의 자질은 교직에서 요구되는 기능 즉, 교수 활동 뿐 아니라 생활지도, 학급경영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생들이 원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 중, 고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과 기피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을 개방형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개념들을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1) 학생들은 선호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과학 교사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면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다양한 면에서 긍정적인 또는 선호하는 교사의 자질을 보여 줄 수 있다는 것이다. 2) 학생들은 실험을 통해서 과학 현상과 이론,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해주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은 직접적인 활동이나 체험을 선호하였다. 3) 학생들은 과학 교사의 자질에서 수업과 관련된 내용을 중요시하고 있다. 과학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과 학생들을 긍정적으로 대함으로써 학생들의 과학 교사 나아가 과학에 대한 이미지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과학 교사의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따른 이미지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초등영재 담당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영재교육 전문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 여상인;최남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15-28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를 담당하는 영재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영재교육 전문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교사의 개인변인은 성별, 근무지역, 교육경력, 영재교사경력, 최종학력, 영재교육 직무연수의 정도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과 경기지역에서 초등과학영재를 지도하는 영재교사 98명이며, 영재교육 전문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최남구(2011)가 개발한 것을 토대로 사용하였다. 영재교육 전문성의 하위 영역은 '철학적 이해와 사명감', '전문적 자질', '인성적 자질'이며, 전문적 자질은 다시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개인변인에 따른 영재교육 전문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서는 전문적 자질에서 남교사의 평균이 여교사의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근무지역에 따른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에서는 지역간에 차이가 있었지만, 하위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으며, 교육경력에 따른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재교육경력에서는 경력이 3년 이상은 되어야 전문성이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전문적 자질과 인성적 자질에서 유의하게 전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과 관련된 연수를 이수한 정도에 따른 영재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연수를 경험한 횟수가 많을수록 평균은 높았다. 전체적으로 영재교육 전문성의 하위 영역인 '철학적 이해와 사명감'과 '인성적 자질'은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교사의 개인변인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유아교육 현장의 원장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director for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임난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243-824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원장이 갖춰야 할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에서 종사하는 10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원장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이 교육현장에서 경험하고 탐구한 원장으로서의 필요한 자질과 역할, 태도와 이미지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그것이 교사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내고자 토론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현장에서 요구하는 원장의 자질은 전문가적 자질이나 지도자적 자질보다 인성적 자질이 우선적으로 요구되었다. 둘째, 교사의 역량을 키우고, 교육을 활성화시키는데, 교육에 대한 책임감 있는 자세와 전문가적인 태도는 원장이 갖춰야 할 중요한 요소로 요구되었다. 셋째, 원장의 이미지는 교사의 의사결정과 교육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서교사 역할 및 자질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the Roles and Qualifications of Teacher Librarians based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81-102
    • /
    • 2020
  •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사서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의 학생과 교사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사서교사의 역할, 자질, 건강 및 용모, 도서관환경에 대한 평가라는 4개의 프레임과 20개의 하위범주를 토대로 분류한 뒤 하위범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의 중심에 존재하는 핵심적 개념은 학생의 경우 '도서관운영'이었으며, 교사의 경우는 '독서교육'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정보활용교육'은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형성하는 데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업 지원', '도서관활용수업 및 협력수업'과 같은 사서교사의 교수협력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높지 않은 데 비해 교사들은 이와 관련한 역할을 비중있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료추천과 안내 활동을 하위개념으로 구성하는 '정보봉사'는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중심적 기능을 하고 있으며,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도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사서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서는 '전문성 및 전문지식'이 중심적인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서교사의 역할 설정, 학생 및 교사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과 인식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비 중등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사로서의 자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Teaching Practice on their Teacher Competence as Future Teachers)

  • 김정현;강명숙;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5-70
    • /
    • 2009
  • 교육실습을 통해 교사자질에 어떤 변화가 있는 지 알아보고자 중 고등학교에서 교육실습에 참여한 교육실습생 98명(사범계열 40명, 일반 교직이수자 58명)을 대상으로 4주간에 걸쳐 교육 실습 전, 후에 따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실습 전 예비중등교사는 유능한 교사자질 5가지 영역에 대하여 교직관 영역에 대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사범계열 전공자들의 경우, 전반적으로 일반 교직 이수자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1) 나타냈다. 교육실습 후 교사자질에 대한 5가지영역(교직전문능력, 교과지도능력, 학급관리능력, 교사인성, 교사태도)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사범계열 전공자의 경우, 교사자질에 대한 5가지 영역에서 모두 실습 후 유의적으로 증가한(p<.001) 반면, 일반 교직이수자는 교사로서의 태도 영역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예비 증등교원의 교사 자질 함양을 위하여서는 교육실습을 통한 교사교육 과정의 내실화가 요구되며 특히 일반 교직이수자들의 경우는 교사로서의 태도에 관한 영역의 강화가 필요함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을 위한 교사의 자질과 역할 (A natural aptitude and role of teacher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 김광찬;이재호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63-271
    • /
    • 2004
  • 교육은 인간이 지닌 잠재적인 능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따라서 우수한 잠재능력을 가지고 있는 아동을 조기에 발굴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자질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내재된 능력을 발현하도록 하는 것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함을 물론 나아가 국토가 좁고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의 발전에도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교육적 과제이며, 이러한 교육은 우수한 잠재적 능력을 가진 영재에게도 요구된다 할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이 미미한 실정에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확립되어 있지 못하고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이 실제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적합한 영재의 선발 등 많은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더불어 초등정보과학영재의 교육의 실제를 담당하고 있는 영재교사에게 필요한 자질과 소양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명한 논의가 필요하고, 이러한 소양과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제 그 싹을 피워가기 시작한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초등정의과학 영재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할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유아영어교사의 자질과 양성 교과목에 관한 실태연구 (A Study on the Qualifications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and Curricula for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in Training)

  • 최혜정;조성자
    • 아동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7-36
    • /
    • 2007
  • This study examined educational and career backgrounds of 180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and curricula of training courses for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in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cross 6 areas in Korea. Data analyses showed that (1) curricula for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consists of basic practical conversation, English teaching skills, understa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general English knowledge. (2) Most teachers are women between 30 to 40 years of age, university graduates with majors in English literature, English education and/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confidence in speaking in and listening to English. (3)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retraining courses. (4) English pronunciation skill was not always related to English conversation skill, but clarity of pronunciation influenced teaching confidence.

  • PDF

중등 과학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평가 도구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elf-Evaluation Test Items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 Professional Growth)

  • 김성원;정세미;황윤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36-745
    • /
    • 2005
  • 교사는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교과의 전문가일 뿐 아니라 교육활동에 있어서 특별한 노하우를 갖고 있는 전문가이며, 교사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수업이다. 그러나 교사들의 전문적 수업지도성 확보를 위한 동기유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할 교사평가가 그 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문성 향상을 위한 과학 교사의 자기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교사 평가의 준거와 과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할에 대한 선행 연구와 문헌을 고찰하고, 중등 과학 교사의 업무와 과학 수업의 특징, 실험과 수행 평가가 강화된 현실을 반영하여 과학 교사 자기평가 도구의 평가 영역과 평가 요소를 결정하고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을 수정 보완하고, 과학교육 석사 학위를 소지하고, 교직 경력이 8년 이상인 현직 중등 과학교사 10명으로부터 검사 도구의 내용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개발된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중등 과학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SPS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신뢰도와 교사 집단별로 총점과 하위 영역별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갇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 교사를 위한 자기평가 도구는 과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인 여섯 가지 하위영역에서 과학 교사의 자질을 스스로 진단해 볼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평가 도구는 교과 지식, 교수 전략, 교수 기술, 실험실 경영, 평가, 전문성의 6개 하위영역, 총 7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의 형식으로 제작되어 점수가 높을수록 과학 교사의 자질이 높음을 의미한다. 자기평가 도구의 내용 타당도는 80.8%로서 평가목표에 문항의 내용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계수는 하위 영역별로 .54$\sim$.69의 범위에 있었고 전체 검사의 신뢰도는 .95로 양호하다. 하위영역과 전체 검사간의 상관계수는 .54$\sim$.79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성 영역의 상관계수가 .79로서, 전문성이 교사의 자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서울과 경기지역 중학교 과학 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평가 도구를 적용해 본 결과, 성별로는 교과 지식 영역과 실험실 경영에서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고(p<.05 ), 경력별로는 경력이 많은 교사집단이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p<.05). 전공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위별로는 교과 지식 영역에서만 석사 이상의 교사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p<.05)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중국 대학교 교원들의 디지털 자질 육성의 딜레마와 경로 연구 (A study on the dilemma and path of cultivating digital qualifications of Chinese university teachers in the digital media era)

  • 왕금령;유문염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
    • 제3권2호
    • /
    • pp.87-104
    • /
    • 2023
  • 정보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디지털 교육은 국제 교육 개혁의 주류가 되었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디지털 자질은 교육과 교수의 필수 능력이 되었으며, 교사는 디지털 교육이 직면한 기회와 도전에 더 잘 대처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디지털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본 논문은 주로 중국 대학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대학 교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현황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딜레마와 개선 방안을 정리하여 대학 교원의 디지털 자질 향상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법을 도출함으로써 디지털 교육 실현을 위한 유용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