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량도로 유출수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Water Quality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f Bridge Road Runoff in Storm Event (강우시 교량도로 유출수 수질 및 입경분포)

  • Cho, Yong-Jin;Lee, Jun-Ho;Bang, Ki-Woong;Choi, Chang-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9 no.12
    • /
    • pp.1353-1359
    • /
    • 2007
  • Water quality constituents,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s were characterized in urban bridge road runoff, Bridge road runoff contains significant loads of micro-particles, heavy metals and organic constituents. Bridge road runoff was monitored on four sites of four and six lanes bridge road areas along with traffic volume. A total seven storm events were monitored to characterize the bridge road runoff. The quantity of road runoff and quality constituents, including chemical oxygen demand(COD), suspended solids(SS), total nitrogen(T-N), ortho-phosphorus$(PO_4-P)$, total phosphorus(T-P),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centrations of SS, COD, T-N and T-P ranges were $35\sim2,390$ mg/L, $40\sim1,274$ mg/L, $0.03\sim21.25$ mg/L, and $0.05\sim4.58$ mg/L,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range of particle size and $D_{90}$ for bridge road runoff were $4.75\sim14.05{\mu}m$ and $17.33\sim58.15{\mu}m$, respectively.

Application of Fluent Model for Surface Drainage Analysis on Bridge (교면에서 표면배수 해석을 위한 Fluent 모형 적용)

  • Kim, Jung Soo;Lee, Sung Ho;Cho, Hyun Ho;Han, Chung Suc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1-251
    • /
    • 2018
  • 도로설계기준(2012)에 따르면 노면 배수시설은 측구, 집수정, 배수관, 배수구(빗물받이, 맨홀) 등으로 구성되며 중앙분리대 배수에서 구조가 방호벽일 경우 원칙적으로 집수정과 종배수관, 횡배수관을 설치하여 노면수를 배수한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로 교량 배수시설의 배수능력 부족으로 교량의 노후화, 노면의 체수와 수막현상을 야기한다. 교량 설계 시, 교량의 외관은 점배수에 의한 배수불량으로 막힘부에서의 식물생육, 부식, 배수구의 오염 등으로 심미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국토교통부 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에서는 기존의 집수정으로 유도하여 배수하는 점배수 형태에서 우수의 지체시간을 저감하기 위해 배수구로 즉시 배수되어 배수 효율을 증가시켜주는 선배수시설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선배수 구조의 일반적인 내용만을 기술하고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계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에서는 교면 배수를 위한 횡배수구의 배수능력에 관한 설계 개념은 미국의 빗물받이 설계 개념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서 교량 배수시설의 배수능력 증대를 위한 수치 및 수리실험에 관한 기술적인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로의 흐름해석 및 선배수를 위한 측구 횡배수관의 흐름개선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로 전반의 유향 분석 및 횡유입관 유입부에서의 상세한 흐름해석과 통수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리실험을 통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적 횡배수관의 형상 및 간격 설정에 대한 수리실험의 물리적 및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Fluent 모형(Ansys Workbench 13.0)을 활용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다상유동 해석을 위해 VOF(Volume of Fluid)방법을 적용하였고, 수치해석 방법으로는 비정상류, 난류 모형으로는 standard ${\kappa}-{\varepsilon}$모형을 적용했다. 도로 형상에 따른 우수유출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횡경사는 2%로 고정하고 종경사를 2%로 선정하여 수치모의를 통한 배수능력을 분석하고 설계에 직접적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횡배수관의 간격변화 및 배수공의 위치 변화 등에 따른 차집량을 분석하였으며, 개략적인 수리실험 결과와 수치모의의 차집율을 비교 및 분석하여 Fluent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횡배수관의 유입부에서의 유속 변화 및 유출부에서의 유속이 모의가 가능하므로 배수시설에서 보다 정확한 흐름 해석이 가능하여 보다 적정한 배수능력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s of Improved Low-Flow Mortar Type Grouting Method for Road Safety and Constructability in Dangerous Steep Slopes (급경사지 붕괴 위험지역의 도로 안전 및 시공성을 고려한 개선된 저유동 몰탈형 그라우팅공법 적용성 분석)

  • Choi, Gisung;Kim, Seokhyun;Kim, Nak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0 no.4
    • /
    • pp.409-415
    • /
    • 2020
  • Low-flow mortar injection method grouting technology was selected and the traffic area was preserved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secure safety for road traffic when the outflow and subsidence of landfill occurred due to ground-water, and etc. In particular, the current existing method was newly improved since there are risks of damage such as hydraulic fracturing at the lower part of the road, spilling of soil particles on steep slopes, and bumps on the road due to excessive injection pressure during construc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the site of reinforcement work on the road as a maintenance work for the danger zone for collapse of the steep slope of the 00 hill, which was ordered from the 00 city 00 province. The improved low-flow mortar type grouting method adopted a new automated grouting management system and especially, it composites the method for grouting conditions decision by high-pressure pre-grouting test and injection technology by AGS-controlled and studied about grouting effect analysis by using new technology. By applying the improved low-flow mortar type grouting method, it was possible to lay the groundwork for road maintenance work such as the prevention of subsidence of old roads, uneven subsidence of buildings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nd of soil leakage of ground-water spills.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n future grouting work not only for just construction that prevents subsidence of old roads but also for various buildings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such as railroads, subways, bridges, underground structures, and boulder stone and limestone areas was confirmed.

Improvement of Nash's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model for estimating design flood of ungauged mid-/small watersheds (미계측중소유역에서의 설계홍수량산정을 위한 Nash 순간단위도모델 개선)

  • Kang, Boo-Sik;Kim, Jong-Min;Kim, Jin-Gy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46-946
    • /
    • 2012
  • 현재 국내 하천의 설계홍수량은 하천정비 기본계획이나 유역종합 치수계획 등을 통하여 고시 되고 있다. 이러한 설계홍수량은 홍수량 산정 지침에 따라 산정되며, 최종적으로 결정된 설계홍수량을 기준으로 하도계획이나 교량, 암거 등의 설계를 실시하였다. 현재 많은 수의 홍수조절용 다목적 댐과 강변저류지 등 각종 수리조작 구조물들이 축조되면서부터 홍수량을 시간별로 조절할 수 있게 되었지만, 미계측 유역에서는 유역의 유출량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수리조작 구조물들의 효과를 예상하고 조작 및 운영방법을 결정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 내 축조하는 수공 구조물의 최적 설계 및 운영방법 결정을 위하여 설계홍수량과 함께 합성단위도법을 적용한 수문곡선을 적용할 수 있도록 Nash 모형을 이용하였다. 유역의 유출특성이 반영된 대표단위도를 산정하기 위해 여러 유역의 다양한 형상계수를 이용하여, 도달시간과 첨두유량에 관한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회귀식을 여러 형태의 유역과 강우-유출 사상에 적용하여, 미계측 유역의 특정지점에서 발생의 개연성이 충분하고 수공구조물의 설계와 효과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설계홍수수문곡선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나는 대표홍수수문곡선을 미계측 유역에 적용한다면 미지의 설계홍수량을 추정함과 동시에 설계홍수량에 상응하는 수문곡선을 도출하여 수공구조물 설계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Stormwater Improvement Model for the Estimation of Wash-off Pollutant in Parking Lot (주차장 지역에서의 유출 및 수질모의를 위한 강우유출수 개선모형 적용성 평가)

  • Jung, Min-Jae;Pak, Gi-Jung;Kim, Hwan-Suk;Kim, Deok-Woo;Yoon,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0-443
    • /
    • 2012
  • 도시지역의 도로, 교량 및 주차장과 같은 포장지역은 작은 면적이지만 강우 시 다른 토지이용에 비해 강우 유출량이 높고, 상수원인 하천의 종 및 횡방향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오염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최적관리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s, BMP) 또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과 같은 관리 방안을 적용하여 강우에 의해 발생되는 강우유출수와 비점오염물질을 동시에 저감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으나, 모델링을 통한 비점오염물질 배출량의 정량화와 저감시설의 성능평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차장 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배출량 모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 외에서 강우유출수의 모의와 저감시설의 성능평가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MUSIC(Model for Urban Stormwater Improvement Conceptualization) 모형과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강우유출수 수문 수질 모의를 실시하여 각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 두 모형 모두 총 유출체적 오차가 ${\pm}6%$ 이내로 수문모의에 대한 적용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지만, 수질의 경우 SWMM 모형이 MUSIC 모형에 비하여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실측치와 가깝게 모의함으로서, 결과적으로 대상지역에 대해 SWMM 모형이 MUSIC 모형에 비해 주차장의 초기우수현상을 더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termination of Heavy Metal Unit Load from Transportation Landuses during a Storm (교통 관련 토지이용에서의 중금속 오염원단위 산정)

  • Kim, Cheol-Min;Lee, So-Young;Lee, Eun-Ju;Kim, Lee-H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6
    • /
    • pp.155-160
    • /
    • 2008
  • The urban areas have various landuses such as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and official purposes that are highly concerned with human activities. The other landuses are relating to vehicle activities, which are roads, parking lots, bridges, parks etc. The mainly using landuses by human activities are possessing three different areas that are buildings, parking lots/roads and landscapes. Of these areas, the buildings and landscapes can be classified as non-pollution areas. However, the parking lots or roads are classifying as the main pollution areas because of vehicle activities. Therefore, the landuses arising the nonpoint pollution during a storm in urban areas are roads and parking lots. The vehicles are emitting lots of nonpoint pollutants such as metals and particulate matters and it is impacting on water qualities and aqua-ecosystems nearby the city areas.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characterizing the pollutant types and determining the EMCs (Event Mean Concentrations) and unit pollutant loads during a storm. The monitoring was performed on 9 locations such as highways, service area, tollgates, parking lot and bridges. All of the landuses selected for monitoring are concerned with transportation. The results can be effectively used to predict the pollutant loading before urban planning and to select the BMPs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reducing the pollution.

Analysis of First Flushing Effects and EMCs of Non-point Pollutants from Impervious Area during Rainfall (강우시 불투수성 지역의 비점오염물질 EMCs 산정 및 초기세척효과 분석)

  • Ahn, Tae-Woong;Kim, Tae-Hoon;Oh, Jong-M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5 no.4
    • /
    • pp.459-473
    • /
    • 2012
  • This study evaluated the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NPS) of the impervious area through on-site monitoring. In this study, trend analysis was performed by various runoff analysis method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at impervious area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rainfall strength. It is judged that the measure is required to be prepared against that now that concentration difference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appeared to be big by precedent number of days of no rainfall. However, it appeared that Rainfall Sustaining Time (RST) has nothing to do with effluent concentration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however, the rising tendency that effluent concentration did not appear because the tendency that concentration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reduces more than 50% within initial 60 min due to first flushing effects and rainfall sustaining time is long. If looking into the outflow tendency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at the impervious area, it showed the tendency that the concentration lowers gradually as time goes by after initial concentration appeared very high. However, it could be recognized that the concentration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appeared to be high as the pollutants integrated on the surface of the road during dry season. The Event Mean Concentrations (EMCs) in impervious area were ranged $9.2{\sim}199.3mg{\cdot}L^{-1}$ for TSS, $8.1{\sim}24.2mg{\cdot}L^{-1}$ for $COD_{Mn}$, $0.070{\sim}1.860mg{\cdot}L^{-1}$ for T-N. Based on such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it is judged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process initial rain efficiently as the measure against initial rain phenomenon at the impervious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