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과지식

검색결과 1,145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생의 전자저널 수용에 관한 연구 (The Acceptance of Electronic Journal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 장혜란;정유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37-262
    • /
    • 2011
  • 대학생들의 전자저널 수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5개 대학교에서 설강중인 11개 교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전자저널에 대한 인식과 이용 경험, 목적, 방법, 수준, 선호도, 만족도, 문제점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총 813건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 일반의 전자저널과 서비스 인식 수준은 각각 63.7%와 59.9%, 이용경험자는 국내저널 43.8%, 해외 전자저널 18.0%로 나타났다. 인식경로는 교수 소개, 우연한 발견, 도서관이용교육을 통한 것이며, 이용빈도는 극히 낮다. 전공계열과 대학 규모에 따라 인식과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주된 이용 목적은 과제해결이고, 교외와 도서관내에서 이용하며, 간략검색을 한다. 접근 및 검색과 자료획득에 어려움이 있으나, 만족도는 보통 이상이다. 비이용은 기회나 지식의 결여에 기인하나, 추후 수용의지는 긍정적으로(93.8%) 나타났다.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기타전공 학생에 비해 전자저널 및 자관서비스 인식, 전자저널 이용경험은 높지만, 검색 경로와 방법에는 큰 차이가 없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전자저널 수용 증진 방안을 제언하였다.

온톨로지 기반 e-Learning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for e-learning Based on Ontology)

  • 신창하;박종훈;김철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89-394
    • /
    • 2011
  • 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자가 학습하는 과정에서 마주치게 되는 질의와 문제들의 해결책을 찾도록 도와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 누구나, 적시적, 적응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참고문헌들의 연구를 통해 시멘틱 웹과 온톨로지 이론를 고찰한 후 문제를 풀 수 있는 온톨로지화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온톨로지는 특정하게 명시되지 않은 데이터를 유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검색결과의 정확성이 더욱더 높아지고, 학습자 모두가 공감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식이 된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의문점을 해결하고 학습한 것을 재확인할 수 있는 전자회로 교과에 관한 온톨로지 프레임을 구축하여 온톨로지 기반 e-learning 적용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서의 방사선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현황과 개선 방향 (Radiological Science Curriculum on the Digital Radiology Environments : Problems and Suggestions)

  • 김창수;김화곤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8권2호
    • /
    • pp.129-135
    • /
    • 2005
  • 현대사회의 IT 정보통신 인터넷 관련 산업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여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이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동통신의 종주국을 자랑이라도 하듯이 단말기의 관련기술 및 생산도 세계의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IT 분야는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나, 방사선학과의 학부로서 정보통신 관련교육은 이에 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학부로서의 인격 및 지식교육과 방사선사로서의 기술 및 직업교육의 교과 과정은 현재의 IT 환경과 실제 임상의 디지털 관련 장비의 인터페이스에 적응하기는 다소 힘들다. 특히 의료 디지털 환경 및 병원의 정보화로 방사선과에서의 방사선사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정보 통신영역의 교육과정의 개선 및 새로운 과정의 제안은 디지털 사회의 변화에 적응할 뿐만 아니라 방사선사의 자질 및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계기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서의 방사선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각 대학 및 대학교별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며, 그 현황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초등수학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제 7차 초등 수학 교과서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to Meet the Needs of the Knowledge-Driven Society)

  • 김경자;정미화;손지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6권1호
    • /
    • pp.11-28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7th national amended curriculum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revised curriculum to meet the needs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accompanying practice books were analyzed. Teacher's manuals were also studied to examine the intentions of the textbook developers. The two major questions were sought. First, to what degree do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practice books match with the intent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ulcorner Second, how do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practice books facilitate student's learning for understanding mathematics\ulcorner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extbooks, practice books, and teacher's manuals appeared not to reflect the intentions of the 7th amended curriculum to the full extent. Second,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extbooks, practice books, and teacher's manuals were not clearly defined and therefore, they were not very feasible for teaming for understanding mathematics. The recommendations for a new revised curriculum were suggested. First, regarding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textbooks, the idea of structure of subject matter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connections of concepts and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 and functions in mathematics. Second, more ill defined problems should be presented to develop problem solving ability in real life contexts in students. Third, contents for relearning and enrichment need to be reorganized to reflect students' real ability. Fourth, uses of the concrete and the manipulative need to be more realistically suggested. Fifth, more proto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scoring rubrics, and portfolios need to be presented in a more teacher-friendly manner. Sixth,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extbooks and practice books need to be more discernible.

  • PDF

부등식의 영역 교육과정 분석: 고교-대학수학의 연계 및 수학적 연결성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curriculum on inequalities as regions: Using curriculum articulation and mathematical connections)

  • 이송희;임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1호
    • /
    • pp.1-1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경제수학'으로 이동한 '부등식의 영역(inequalities as regions)' 단원과 미적분학 사이의 연계성 및 수학적 연결성을 분석하여 '부등식의 영역'이 미적분학의 중요한 선수학습개념이라는 논지를 제시한다. 교육과정의 연계성 측면에서 직업 교과에 포함된 '경제수학'을 학습하지 않고 이공계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부등식의 영역'의 절차적 개념적 지식의 부재로 인하여 미적분학에서 학습 위계의 '격차'를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 수학적 연결성의 관점에서는 '부등식의 영역'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미적분학의 다변수함수 이론의 학습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멸종위기의 바나나 정보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an Information-oriented Content on the Endangered Species of Banana based on Storytelling Method)

  • 나인영;류시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7권3호
    • /
    • pp.51-56
    • /
    • 2018
  • 바나나는 유엔식량농업기구가 지정한 세계에서 여덟 번째로 중요한 작물이며, 주요 식량인 밀, 쌀, 옥수수 다음으로 지구상에서 생산량이 네 번째로 많다. 맛뿐만 아니라 영양분도 풍부하며 미래의 주요 식량자원으로도 주목받는 과일이다. 하지만 바나나는 인류의 이기심에서 비롯된 비정상적인 재배방법 때문에 오늘날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과정을 통해 농업혁명에 대한 배경 지식이 있는 중 고등학생들에게 바나나 멸종에 관한 정보를 쉽고 흥미롭게 전달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다. 바나나가 멸종위기에 처하게 된 원인과 과정을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여 선형적 구조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들이 흥미를 갖도록 하였다. 또한 여러 단계로 구성된 스토리와 각각의 스토리를 뒷받침하는 정보 그래픽의 관계를 상하로 움직이는 병렬구조를 활용하여 시각화시킴으로써 본 콘텐츠와 사용자 사이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멸종위기 종에 대한 인류의 관심이 증대되기를 기대한다.

융합적 사고를 적용한 응급구조학의 문제중심학습 (Application of convergence thinking in Problem-based learning on paramedic education)

  • 임세영;김수태;문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81-18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적 사고를 적용하여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현장문제해결에 도움되고자 하는데 있다. 응급구조과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78명을 대상으로 15주간 동안 문제중심학습 시나리오 수업을 20시간 진행하였으며, 수업 진행 후 미응답자 5명을 제외한 73명 학생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습관심도에 대한 질문 중 조사대상자의 "문제중심학습 시나리오 수업방식이 강의식 수업보다 학습과 지식습득에 효과적이었다'라는 질문에 각각 보통이라고 하였고, 38%로 가장 높았다. 수업에서 학습한 내용들이 문제해결에 있어 적절한 해결방안을 생각해 내는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라는 질문에 57.5% '그렇다'라고 하였고, 수업에서 학습한 내용들이 응급 현장에서 자신감을 갖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에 50.7%가 그렇다고 답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은 어느 한 학년에 국한되지 않고 단계별, 지속적으로 현장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학습교과과정으로 적용된다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방법이 될 것이다.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에 대한 PCK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CK for Lessons Using Analogies)

  • 김민환;김성훈;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41-456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 설계를 PCK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에서 교육 실습에 참여한 3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과학교육에서의 비유에 대한 워크숍을 실시한 후 교육 실습에서 비유 사용 수업을 실행하도록 하였다. 교육 실습에 참관하며 예비교사들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예비교사들이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비중 있게 다루는 비유에서만 대응 관계와 비공유 속성을 다루었고, 이 과정이 교사 중심적으로 이루어졌다. 예비교사들이 교육과정을 벗어나는 개념을 포함한 비유를 수업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비 교사들은 비공유 속성이 학생들의 오개념과 관련이 크다고 생각하였으나 비공유 속성을 다룰 때는 학생들의 의견에 폐쇄적인 모습을 보였다. 비유를 활용한 평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는 높지 않았고, 물리적 비유나 역할놀이 비유와 같은 학생 중심의 비유를 사용할 때 평가가 상대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과학교사 교육과정과 관련된 함의를 논의하였다.

지구과학 문제 풀이에서 활용되는 통합 사고 유형 (Types of Integrative Thinking Ability in Solving Earth Science Items)

  • 권수지;신동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2권3호
    • /
    • pp.322-33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학습 배경을 가진 학습자가 지구과학 문제 풀이에서 활용하는 통합 사고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중학교 2학년 4명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과학 학습 관련 배경을 묻는 사전 설문조사지, 지구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상황적 통합 영역의 문항이 포함된 검사지를 사용하여 조사했다. 검사지는 총 200문항으로, 10회에 걸쳐 시행되었다. 통합적 사고 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은 40문항이었고 일반 문항이 160문항이었다. 학생들마다 일반 문항 정답율과 통합 문항 정답율에 있어 일관된 연관성을 드러내지 않았다. 각 연구 대상자의 통합 사고력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검사 문항 풀이 후, 유형별 정답률을 분석했고, 각 문항 풀이에 활용한 사고의 특징 파악을 위하여 연구 대상자를 면담하고 그 내용을 분석했다. 그 결과 문제 풀이에 사용한 통합 사고 유형을 지식 연계형, 실생활 연계형, 통합 탐구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과학 교수 학습에서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통합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두 대응관계를 연결한 과제에 대하여 역함수 존재 여부에 대한 학생의 질문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student's question about the existence of the inverse function for the task that connects the two correspondence relations)

  • 이동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2호
    • /
    • pp.239-26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학생의 질문에서 시작된 고민을 다루고 있으며,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해당 질문이 충분히 제기 가능한 질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면담을 거쳐 두 대응관계가 연결된 새로운 대응관계에서 학생들이 합성함수 여부 판정과 역함수 존재 여부 판정에서 정의역에 대한 고민이 학생들에게서 어떻게 의미 있는 수학 지식으로 재구성 되어가는 지에 대한 사례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사례들은 제한된 상황에서의 특정한 사례라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곧바로 교수학습 상황에 적용될 수는 없으나 다른 연구자들에게 함수 학습 관련 연구에 대하여 통찰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