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회복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초

태양광 모듈의 출력회복을 위한 PID 현상 저감에 관한 연구 (Study on PID Phenomenon Reduction for Output Recovery of Photovoltaic Module)

  • 심우식;조종민;김지찬;차한주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8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366-367
    • /
    • 2018
  • 본 논문은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저하 특성을 야기하는 PID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현상의 발생원인 및 출력회복을 위한 PID 저감 기법을 연구하였다. 태양광 모듈의 프레임과 셀 간에 발생하는 전위차로 인한 PID 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인 분극현상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PID 현상이 태양광 모듈의 출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I-V 특성곡선 변화를 통해 해석하였다. PID 현상의 발생 원인을 기반으로 태양광 모듈의 전극 출력단인 양극과 음극을 단락시키고 접지된 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태양광모듈의 출력특성을 회복하는 PID 저감 기법을 제안하였다.

  • PDF

전광 전달망(AOTN)에서의 물리적 보안 관리

  • 김성운;신주동;한종욱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2-55
    • /
    • 2003
  • 차세대 광 인터넷 백본망 기술은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기반의 고속 대용량 전광 전달망인 AOTN (All-Optical Transport Network)으로 발전하고 있고, 가입자의 원활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망 생존성 보장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광소자의 고유한 특성을 교묘히 이용하는 물리적 공격은 AOTN의 투명한 데이터 전달 특성으로 인해 기존의 오버헤드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아, 새로운 검출/회복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본 고에서는 AOTN에서 발생 가능한 공격 유형을 광소자별로 분석하고, 광 레벨에서의 공격 검출과 회복 메커니즘을 소개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격관리 시스템(Attack Management System: AMS)의 제어 모델을 기술한다.

콩의 광질에 대한 엽 색소 및 엽록소 형광반응 연구 (Response of Leaf Pigment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to Light Quality in Soybean (Glycine max Merr. var Seoritae))

  • 박세준;김도연;유성녕;김현희;고태석;심명룡;박소현;양지아;엄기철;홍선희;김태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00-406
    • /
    • 2010
  • 서리태콩 (Glycine max Merr. var Seoritae)에서 광원에 따른 엽의 광합성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콩의 제 1복엽이 완전 전개되었을 때 3일 동안 빛을 차단한 후 UV-B 와 일반광에 노출시켜 색소 함량과 엽록소 형광반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암처리에서 엽록소 함량은 감소하고, 일반 광에서 회복하였다. 카로티노이드와 안토시아닌 함량은 UV-B 조사한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엽록소 형광분석을 이용한 광합성 능률을 분석한 결과, 암처리가 진행 됨에 따라 Fv/Fm, F'v/F'm, ${\Phi}_{PSII}$ 및 NPQ는 감소하였다. 모든 변수들은 일반광에 노출되면서 회복하였으나 UV 처리한 것은 암처리 72시간의 수치와 큰 변화가 없었다. 이를 통하여 암처리 48시간 경과함으로 엽록체가 에티오플라스트로 전환되며, 일반광을 조사하였을 시 광합성 관련 광계가 복구되지만, UV-B의 강한 광이 조사되었을 때 광계가 회복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저압 및 중압 자외선 조사에 의해 불활성화된 Pseudomonas aeruginosa의 광회복능 조사 (Investigation of Potential Photoreactiv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after LP or MP UV Irradiation)

  • 문성민;조민;윤제용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55-761
    • /
    • 2006
  • Recently,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ultraviolet (UV) irradiation as a disinfection technic in drinking water production due to its effectiveness to inactivate microorganisms such as Crytosporidium parvum without forming disinfection byproducts. However, UV disinfection is known for its drawback such as photoreactivation. Despite many works concerning the photoreactivation, most of works were focused on indicator or non pathogenic microorganis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otoreactiv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which is an opportunistic pathogen as UV radiation by LP and MP UV lamp was applied. The result showed that P. aeruginosa had high photo repair efficiency regardless of the type of UV irradiation. Both of the effective log repair values of LP and MP UV irradiation were found approximately 2.6 log. In addition, photo repaired P. aeruginos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forming biofilm in comparison with non treated P. aeruginosa.

눈의 광피로회복시간 검사를 위한 도구의 탐색 (Investigation of Instrument for Photostress Recovery Time Test in the Eye)

  • 김상엽;문병연;조현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3-196
    • /
    • 2013
  • 목적: 눈의 광피로회복시간(photostress recovery time; PSRT) 검사를 위해 직상검안경을 대체할 수 있는 도구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단안 최대교정시력이 0.8~1.2인 남녀 48명(평균연령 22.88세, 96안)을 대상으로 직상검안경, 투광기, 펜라이트, 카메라 플래쉬를 사용하여 PSRT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직상검안경, 투광기, 펜라이트, 카메라 플래쉬로 측정된 평균 PSRT는 각각 $27.90{\pm}18.40$초, $23.73{\pm}12.99$초, $21.31{\pm}15.57$초, $18.98{\pm}11.64$초로 측정되었다. 두 눈 중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눈과 1.0 미만인 눈 간의 PSRT 차이는 없었다. 우위안과 비우위안 간의 PSRT 차이도 없었다. 결론: 투광기가 직상검안경과 가장 유사한 도구로 나타났으나, 카메라 플래쉬와 펜라이트도 PSRT 검사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굴절률 1.60 광변색성 자외선 차단기능을 갖는 편광안경렌즈 연구 (A study on the polarized spectacle lens with photochromic UV blocking function of refractive index 1.60)

  • 한두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47-152
    • /
    • 2018
  • 자외선 완전차단 및 청색광을 일부 차단하고 광변색성을 가지는 편광안경렌즈를 개발하였다. 심야 운전이나 반사광에 의한 눈부심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자외선이 강한 공간에서는 선글라스 역할을 하며 평상시는 안경렌즈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안경렌즈이다. 광변색성은 명반응에서는 0.5초 암반응에서는 3초 정도의 회복시간이 걸렸다. 편광기능은 95% 정도를 얻었다. 자외선은 완전히 차단되었고 청색광은 30%정도의 저감 효과를 얻었다. 광변색성 및 자외선차단기능과 편광기능을 하나로 결합한 렌즈는 국내 시장을 조사한 결과 최초의 시도이다.

차세대 광 인터넷 백본망에서 망생존성을 위한 Fault/Attack Management 프레임워크 (Fault/Attack Management Framework for Network Survivability in Next Generation Optical Internet Backbone)

  • 김성운;이준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0권10호
    • /
    • pp.67-78
    • /
    • 2003
  • 인터넷 트래픽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한 높은 대역폭의 요구와 광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되면서 DWDM 네트워크가 국가적 혹은 범세계적인 차세대 광 인터넷(NGOI) 백본망의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DWDM 네트워크 기반의 NGOI에서는 RWA(Routing and Wavelength Assignment) 문제와 생존성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가지는 DWDM 네트워크에서 일어나는 짧은 서비스 파괴는 막대한 트래픽 손실을 야기하므로, AOTN에서의 fault/attack 검출, 지역화, 그리고 회복시킴은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광 백본망 소자들의 fault/attack 취약성 분석을 통한 fault/attack 관리 모델을 제안하고, IP/GMPLS over DWDM 내의 제어프로토콜인 Extended-LMP (Link Management Protocol)와 RSVP-TE+(Resource Reservation Protocol-Traffic Engineering)를 이용하여 fault/attack 회복 절차를 제시한다.

임상가가 알아두면 유용한 LED 광중합기의 특성과 세대별 분류 (Characteristic of LED light curing unit and classification by generation for clinicians)

  • 심영보;최안나;박정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4호
    • /
    • pp.245-251
    • /
    • 2017
  • 1960년대 광중합 레진이 소개된 이후 현재의 수복학에서 광중합은 중요한 과정으로 고려되고 있다. 광중합을 위한 다양한 중합기들이 소개되어서 발전하면서 사용되어져 왔다. Quartz-tungsten-halogen (QTH) 광중합기는 1990년도까지 널리 사용되었으며 2000년 들어 LED 광중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1세대 LED 광중합기는 여러 개의 LED가 출력을 내는 광중합기로 QTH 광중합기에 비해 높은 출력을 내짐 못했다. 2세대 LED 광중합기는 하나의 LED로도 충분한 출력을 낼 수 있게 되었으며, camphoroquinone (CQ) 이외에 부가 중합개시제를 고려하여 3세대 polywave 중합기가 시장에 출시되었다. 현재는 LED에서 방출하는 빛이 계속 switching되는 4세대 광중합기가 개발되어 출시되었다. 이러한 LED 광중합기의 발전에 따라 사용하는 광중합기의 대부분이 LED 광중합기로 자리잡고 있다. LED 광중합기의 사용의 증가에 따라 임상가들은 광중합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본 리뷰 논문의 목적은 LED 광중합기에 대한 세대별 분류와 특징에 대한 정보를 주기 위함이다.

$Pr^{ 3+}$이 첨가된 광섬유 증폭기의 이득회복 특성 (Characteristics of Gain Recovery Effect in $Pr^{3+}$ -Doped Fiber Amplifier)

  • 이재명;이영우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44-45
    • /
    • 2002
  • 1.3$mu extrm{m}$ 대역에서 증폭특성을 갖는 광섬유 증폭기인 Praseodymium-doped fiber amplifier(PDFA)는 Ohishi 등에 의해서 처음으로 제안되었다. 수십 nm의 이득 대역폭을 갖고, 30dB 이상의 높은 신호 이득을 갖는 PDFA는 1.3~l.6$\mu\textrm{m}$에 이르는 광대역 WDM을 위한 중요한 증폭기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1.3~1.6$\mu\textrm{m}$에 이르는 광대역 WDM을 위해 광섬유 증폭기의 이득을 shift시키고, 이득 평탄화를 위한 많은 연구가 진해되어 지고 있으나, 광섬유 내에서 초고속의 광 신호를 증폭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호채널 간섭, 상호변조 왜곡, bit rate 높은 펄스열의 증폭 시 발생할 수 있는 이득소멸(gain depletion)과 이득회복(gain recovery) 등과 같은 과도응답 현상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보고되어있지 않다. (중략)

  • PDF

The Effect of Sb doping on $SnO_2$ nanowires: Change of UV response and surface characteristic

  • 김윤철;하정숙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69-269
    • /
    • 2010
  • $SnO_2$ 나노선은 n-type의 전기적 특성과 우수한 광 특성을 보이며, 전자소자, 광소자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가스 센서 등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SnO_2$ 나노선은 공기중에서 전기적으로 불안정한 특성을 보이며, 도핑을 하지 않은 나노선 소자에서는 전자의 모빌러티가 높지 않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화학기상증착법 (Chemical Vapor Deposition)으로 Sb을 도핑한 $SnO_2$ 나노선을 성장하여 전계방출효과 트랜지스터 (field effect transistor: FET)를 제작하여 전기적 특성과 UV 반응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Sb 도핑 양을 늘려감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반도체 특성에서 점점 금속 특성으로 변하는 것과 게이트 전압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핑을 해준 $SnO_2$ 나노선의 경우 UV 반응과 회복 시간이 기존에 비하여 크게 감소하여 UV 센서에 더욱 적합해진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슬라이딩 트랜스퍼 공정을 이용하여 나노선을 원하는 기판에 정렬된 상태로 전이할 때 도핑한 나노선은 표면특성의 변화로 정렬도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기판에 윤활제를 사용하여 정렬도를 높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