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중합 레진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6초

레진계 치아 스플린팅 재료들의 중합능력 평가 (Evaluation of polymerization ability of resin-based materials used for teeth splinting)

  • 이정길;김수연;이재관;김진우;박세희;조경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4호
    • /
    • pp.290-296
    • /
    • 201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 스플린팅에 사용되는 레진계 재료들의 두께에 따른 중합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레진계 스플린팅 재료로 개발된 Light-Fix와 G-FIX, 수복용과 스플린트용으로 사용 가능한 고흐름성 복합레진인 G-aenial Universal Flo를 사용하여 직경 5 mm, 두께 2, 3, 4, 5 mm의 시편을 각각 10개씩(총 120개) 제작하였다. 비커스 경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시편 상면과 하면의 미세경도값을 측정하였다. 각 두께에서 복합레진의 중합정도를 95% 유의수준에서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Light-Fix와 G-FIX는 두께에 상관없이 중합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aenial Universal Flo는 3 mm 두께부터 유의하게 낮은 중합도를 보였다. 결론: 스플린팅 전용 레진계 재료인 Light-Fix와 G-FIX는 5 mm 두께까지 적절한 광중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Bulk-fill과 Conventional 복합레진의 물성비교 (Comparison of Mechanical Properties between Bulk-fill and Conventional Composite Resin)

  • 석유정;김종빈;김기섭;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27-43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교합면 수복용 bulk-fill resin인 Filtek Bulk Fill Posterior Restorative (FBF)와 $Tetric^{(R)}$-N-Ceram Bulk Fill (TBF)의 물성을 기존 복합레진($Filtek^{TM}$ Z-350 XT, 이하 Z-350)과 비교하여 그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의 중합도를 반영할 수 있는 미세경도 및 중합수축을 반영하는 미세누출 양을 염료침투실험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정형화 된 3D 프린팅 몰드에 충전하여 미세경도를 측정하고, 우치를 대상으로 미세누출을 평가하였다. 측정된 미세경도와 미세누출정도는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95%의 신뢰도로 각 군별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하면 미세경도에서 광중합 시행 1시간 이내에는 FBF와 TBF가 Z-350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미세경도를 보였으나(p < 0.05), 24시간 후에는 FBF의 미세경도가 Z-350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 만큼 현저히 증가하였다(p > 0.05). 하면을 제외한 미세경도는 Z-350, FBF, TBF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미세누출실험에서는 TBF가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은 미세누출을 보였다(p < 0.05). Bulk-fill 레진의 임상적 적용을 위해서는 중합 역학의 특성 상 수복 후 24시간 동안 저작력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미세누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광중합 복합레진의 압축강도에 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f Compressive Strength of Two Resins on the Cavity Forms)

  • 박경훈;이찬영;이승종;박동수;이정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2권2호
    • /
    • pp.83-90
    • /
    • 1987
  • Composite resins has been widely used in dental clinics because of esthetic restor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cavity designs on the compressive stress of resin restoration. So, the author made the standardized specimen of four types (Type of speciemen are width 1.5mm, depth 2mm, width 1.5mm, depth 3mm, width 2mm, depth 2mm, width 2mm, depth 3mm).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Tong Kwang Co.) The results indicating following; 1. There was a statistic significance of compressive strength between four cavity forms. 2. There was no difference of significance of compressive strength between two resins. 3. There was a significance of compressive strength between depth 3mm width 1.5mm and depth 3mm width 2mm.

  • PDF

한반도 남동부 지진의 지각매질 특성 및 지진원 특성 변수 연구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ismic source and the Wave Propagation Parameters in the region of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 김준경;강익범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35-141
    • /
    • 2002
  • 내진설계에 이용되는 지반진동과 관련된 주요 입력자료는 지진재해도 및 지반 응답스펙트럼 등이 있고 이러한 지진재해도 및 지반 응답스펙트럼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역특성에 고유한 감쇠식이 필수적이다. 지역특성에 적합한 지반진동 감쇠식의 계수를 결정하기 위해 지진원 변수 및 지진파 전달특성 변수가 반드시 필요하고 본 논문에서는 지진원 변수 및 지진파 전달특성 변수를 평가하였다. 지진원 변수 및 지진파 전달특성 변수는 관측 지반 지진동에 대해 비선형적인 지배방정식을 이루고 있는 모델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비선형 지배방정식에 대한 수치해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지진원 변수 및 지진파 전달특성 변수 전체를 동시에 구하였다. 지반진동 자료는 주로 한반도 동남부 지역에서 발생하여 경상분지 주변 관측망에서 관측된 지반진동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3개 지진원의 모멘트 지진규모(Mw)는 각각 2.9, 3.1 및 3.2로 분석되었다. 또한 3개 지진원의 코너 주파수는 각각 8.2, 6.9 및 8.3 Hz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지각 심부의 비탄성 감쇠율(Qo) 및 주파수 지수값 (${\eta}$)은 약 211 및 0.63으로 평가되었다. 지각 천부의 비탄성 감쇠율(${\kappa}$)은 각각의 관측소에서 약 0.02에서 약 0.06의 범위의 값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하부지각 및 상부 지각의 비탄성 감쇠율 값을 미국 중동부와 서부와 비교할 경우 미국의 서부지역과 유사한 값을 보여주었다. 또한 지진원의 특성도 응력강하값 만을 고려한다면 역시 미국의 서부지역과 유사한 값을 보여주었다.TEX>의 범위로서 관측치와 거의 일치하였다. 그리고 분석유역의 양수 전의 모의발생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지하등수두분포와 유속벡터를 산정한 결과 지하수 유동분포는 높은오름과 문석이오름 등에서 월랑봉, 용눈이오름 및 손자봉 등 각 방향으로 고르게 유출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MODFLOW모델과 비교할 때 일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기 등 벼 생육의 질적인 변화를 보이는 시기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는 것이 변화추이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군에서 법랑질에 대한 광중합 복합레진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는 화학중합 복합레진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5). 4. 모든 접착제와 법랑질 계면은 긴밀한 접합을 나타내어 화학중합 복합레진과 접착제 간에 비적합성이 나타나지 않았다.이를 나타내었다. (F = 49.705, p = 0.000) 3. B-IM군의 Ra 증감율은 F 군에 비해 210.72%감소되었으며, B-8 군과 B-15군의 Ra 증감율은 B-IM군에 비해 각각 35.49%와 51.35% 증가되었다. 4. FE-SEM 관찰에서 B-IM 군은 매우 평활한 복합레진 표면을 나타내었고, B-8 군은 전체적으로 평활한 복합레진 표면을 보였지만 표면에 수직으로 아주 얕은 흠집을 나타내었다. B-15 군은 복합레진 표면의 중앙에서 B-8군보다 더 넓고 불규칙한 수직의 흠집을 나타내었고, B-18군은 복합레진 표면 전체에 넓은 흠집을 나타내었다.교적 낮은 농도의 영양염류를 가지고 있고, 많은 처리수량을 요구하는 부영양화된 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높은 수리학적 부하조건에서 시간당 정화량을 늘리는 관리방법이

시멘트 도포 방법에 따른 포스트의 push-out 접착 강도 비교 (Comparison of push-out bond strength of post according to cement application methods)

  • 김서령;염지완;박정길;허복;김현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6호
    • /
    • pp.479-485
    • /
    • 2010
  •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레진 시멘트의 포스트 공간 내 적용 방법에 따른 포스트의 push-out접착 강도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0개의 발거된 하악소구치를 사용하여 시멘트의 적용 방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lentulo-spiral을 이용하여 포스트 공간 내에 레진 시멘트를 적용하는 그룹 (group Lentulo), 직접 포스트 표면에 레진 시멘트를 도포하는 그룹 (group Direct), elongation tip을 이용하여 포스트 공간 내에 레진 시멘트를 적용하는 그룹 (group Elongation tip)으로 나누었다. 근관을 성형, 충전한 뒤 Rely-X post drill을 사용하여 포스트 공간을 형성하였고, Rely-X fiber post를 Rely-X Unicem 적용하여 광중합 하였다. 시편을 아크릴릭 레진에 포매 하고 저속 절단기로 치아 장축에 수직으로 절단하여, 하나의 치아에서 치관부, 중앙, 근단부의 세 개의 시편을 얻었다. 절단한 시편을 Universal Testing Machine으로 push-out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접착 실패가 일어난 시편을 수술용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여 그 실패 양상을 결정하였다. 결과: 치근의 위치에 따른 push-out 접착 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용의 elongation tip을 사용한 그룹이 가장 높은 push-out 접착 강도를 나타냈다. 결론: 레진 시멘트를 포스트에 직접 적용하거나 lentulo-spiral을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elongation tip을 사용하는 것이 self-adhesive 계면의 결함을 줄이고 근관치료한 치아의 수복 성공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브라켓 부착시 레진 베이스의 두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AND FAILURE PATTERN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RESIN BASE IN BRACKET BONDING)

  • 김재혁;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59-668
    • /
    • 1998
  • 본 연구는 브라켓 간접부착술식시 레진 베이스의 두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을 비교함으로써 레진 베이스 두께 증가시 전단결합강도의 저하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소의 하악 절치를 포매하여 만든 레진블럭에 micromanipulator를 사용하여 치면과 브라켓 기저면 사이의 광중합형 접착제가 0.0, 0.5, 1.0, 1.5, 2.0 mm두께가 되도록 각각 브라켓을 부착한 다음 만능물성시험기를 이용하여 치면으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레진 베이스의 두께를 증가시킨 경우와 레진 베이스 두께의 증가와 함께 치면으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를 증가시킨 경우로 나누어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파절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면으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 경우 레진 베이스 두께의 증가와 함께 브라켓 기저부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전단결합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레진 베이스 두께의 증가와 함께 치면으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를 증가시킨 경우 전단결합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유의차는 미미하였다. 3. 접착제 잔류지수를 이용하여 레진 베이스의 두께에 따른 파절양상을 비교 관찰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볼 때 브라켓 부착시 레진 베이스의 두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브라켓 기저부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반면 레진 베이스 두께의 영향은 크게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침수후 시간에 따른 교정용 레진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 변화 (A Change of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Resin Adhesives under Water Immersion)

  • 이제준;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83-789
    • /
    • 1998
  • 본 연구는 침수후 시간경과에 따른 교정용 레진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 변화를 비교연구하고 파절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건전한 제1소구치를 포매하여 만든 시편에 화학중합형 레진접착제인 $Concise^{\circledR}$와 광중합형 레진접착제인 $Transbond^{\circledR}$를 이용하여 금속 브라켓을 부착하고 $37^{\circ}C$ 증류수에 1일,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동안 침수시킨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파절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침수시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 비교시 Concise군과 Transbond군 모두에서 6개월의 결합강도가 1일, 1주, 1개월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았으며(p<0.05) 상관검정 결과 침수시간이 증가할수록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2. Concise군과 Transbond군간의 전단결합강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접착제 잔류지수를 통하여 파절양상을 비교 관찰한 결과 브라켓 기저부와 접착제 경계부에서의 탈락이 가장 많았으며 침수시간에 따른 접착제 잔류지수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PDF

수종의 복합 레진의 표면 거칠기와 색 안정성 (Surface roughness and color stability of various composite resins)

  • 이성이;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6호
    • /
    • pp.542-549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네 종류의 복합레진의 연마 후의 표면 거칠기에 있어서의 차이와 염색액에 담근 후 색 안정성에 있어서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필러 크기와 함량이 다른(나노입자형, 혼합형, 미세입자형, 흐름성) 네 종류의 광중합 복합레진(색상 A2)을 사용하였다. 산화 알루미늄 마모 디스크(Super-Snap)로 연마하기 전과 후에 평균 표면 거칠기(Ra)를 표면 조도 측정기 (Surftest Formtracer)로 측정하였다. 2% 메틸렌 블루 용액으로 착색하기 전과 후 표본의 색은 SCI geometry를 이용해 spectrophotometer(CM-3700d)로 측정되었다. 표면 거칠기와 색 변화 값은 one-way ANOVA, Scheffe multiple comparison test와 Student t-test로 분석되었다. 연마 후, 표면 거칠기 값은 복합레진의 종류에 관계없이 감소하였다. 연마 후 표면 거칠기와 착색 후 색 안정성에 있어서, 나노입자형 복합레진이 흐름성 레진을 제외한 다른 복합레진들과 유사하였다.

Bonding agent의 종류 및 적용 방법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Bonding Agent and Application Methods on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

  • 이재희;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9-426
    • /
    • 2017
  • 맹출 장애 치료를 위해 교정력을 이용한 매복치의 맹출 유도를 시행하며, 이 과정 중 여러 원인에 의해 부착 실패가 일어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부식 레진 접착 시스템과 자가 산부식 접착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단 결합 강도를 평가해보고, 접착 과정 중, 프라이머 도포 후 광중합 단계를 생략하여 시간 절약이 전단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발거된 사람의 상악 전치부 40개 치아를 대상으로 I군과 II군은 산부식 후 프라이머로 Transbond$^{TM}$ XT Light cure Adhesive primer를 적용 하였으며 III군과 IV군은 Transbond$^{TM}$ Plus Self Etching primer을 적용 하였다. I군과 III군은 제조사의 지시 사항대로, II군과 IV군은 접착제 도포 후 광중합 단계를 줄여 부착을 시행하였다. 그 후 전단결합강도와 접착제 잔류 지수(Adhesive Remnant Index, ARI)를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전단결합강도는 I군, II군, III군 그리고 IV군 순으로 컸으며 대조군인 I군과 실험군 간에만 유의차가 있었다(p < 0.05). ARI 지수는 I군, III군, IV군 그리고 II군 순으로 대조군에서 치면과 레진 사이의 결합력이 컸다. 대조군이 유의하게 전단결합강도가 높았으나 다른 군에서도 임상적으로 유용한 전단결합강도를 가진다.

직접 부착법과 간접 부착법이 열순환 후 부착강도와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s of direct and indirect bonding techniques on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after thermocycling)

  • Ozturk, Firat;Babacan, Hasan;Nalcaci, Ruhi;Kustarci, Alper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93-401
    • /
    • 2009
  • 본 연구는 직접 또는 간접 부착법으로 부착한 교정용 브라켓을 열순환 처리 후에 전단 결합 강도(shear bond strength, SBS)와 치아-접착제-브라켓 복합체의 미세 누출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50개의 치아우식증이 없는 사람 소구치를 구하여 동등한 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직접 부착군에서는 광중합 접착제 및 primer (Transbond XT)를 사용하였고 간접 부착군에서는 광중합 접착제와(Transbond XT) 화학중합 primer (Sondhi Rapid Set)를 사용하였다. 중합 후에 치아는 24시간 동안 증류수에 보관하였고 이후 500회 열순환 처리를 하였다. 미세누출의 평가를 위해 각 군에서 10개의 치아에 nail varnish로 추가 봉연을 실시하고 0.5% basic fuchsin에 24시간 동안 염색한 후 입체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각 군의 치아 15개로 SBS를 계측하였고 adhesive remnant index (ARI)를 평가하였다. 결과 자료는 Mann-Whitney U 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로 통계 분석하였다. 직접 부착군과 간접 부착군 사이에 SBS 및 미세누출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간접 부착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ARI 점수가 낮았다. 브라켓의 탈락은 법랑질-레진 계면에서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부착법의 차이는 미세누출의 양과 SBS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